1 / 1
" 국영에너지"으로 검색하여,
6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2-04-06스위스 취리히 기반의 글로벌 금융투자기업인 UBS에 따르면 2022년 3월 프랑스의 물가상승률은 4.5%로 전월 3.6% 대비 상승했다. 하지만 프랑스는 영국 및 유럽연합(EU) 국가들에 비해 물가 상승을 억제한 것으로 분석된다. 2022년 3월 영국의 물가상승률은 6.2%, 독일 7.3%, 스페인 9.8%, 네덜란드 11.9% 등으로 조사됐다.영국 및 유럽연합의 물가 상승 주요인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높아진 생계비 위기다. 여기에는 에너지 가격의 급등이 크게 자리하고 있다. 2022년 3월 프랑스 물가상승률 억제의 주요인은 프랑스 국영에너지공사들의 요금 억제로 분석된다. 2021년부터 프랑스 국영에너지회사들은 에너지 가격을 인상할 수 있는 비율을 제한하기로 결정했다.이에 따라 소비자에게 혜택을 제공했고 가스 및 전기에 의존하는 산업체들에서 물가상승 압력의 일부를 제거할 수 있었다. 프랑스는 전력의 3분의 2가 원자력발전소에서 나온다. 2022년 3월 기준 지난 12개월 동안 프랑스 물가상승률의 전력 가격 상승 부문은 4% 확대에 그쳤다.반면 2022년 3월 기준 지난 12개월 동안 영국 및 유럽연합 물가상승률의 전력 가격 상승 부문은 평균 27% 이상 늘어났다.▲UBS 로고
-
2021-07-01남아프리카공화국 에너지 및 화학회사인 사솔(Sasol)에 따르면 2021년 7월 가스 파이프라인 프로젝트 내 자사 지분 30%를 매각할 계획이다. 2021년 5월에 상기 매각 의사를 밝힌 바 있다. 사솔은 남아공 국영가스 자회사들, 모잠비크 국영에너지 기업들과 더불어 가스 파이프라인 865킬로미터(km)를 소유하고 있다. 이들 기업은 가스 파이프라인 프로젝트 내 사솔 지분 30%를 R41억랜드에 인수하길 원하고 있다.865km 가스 파이프라인에 대한 자산 지분은 남아공 국영가스 자회사 40%, 모잠비크 국영에너지 기업들 40%, 사솔 20% 등으로 소유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사솔(Sasol) 홈페이지
-
2021-06-29말레이시아 국영 에너지 기업인 페트로나스(Petronas)에 따르면 남아프리카공화국 연료 소매업체인 엔젠(Engen)의 퇴출에 대한 논의를 다시 시작한 것으로 드러났다.페트로나스는 엔젠의 지분 74%를 매각 또는 상장(IPO)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잠재적인 인수자들로부터 관심을 받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2020년 연초 페트로나스는 엔젠의 상장을 논의했지만 거래가 성사되지 않았다. 2019년 연말 기준 엔젠의 총 자산은 R408억랜드(US$ 29억달러)로 집계됐다. 2020년 12월 엔젠은 화재 발생 이후 1일 12만배럴 규모의 정유시설을 저장시설로 전환하기로 결정했다. 엔젠은 1881년 설립됐으며 2021년 6월 기준 아프리카 7개국에 1280개의 주유소를 소유하고 있다. ▲엔젠(Engen) 홈페이지
-
2021-01-14글로벌 에너지 컨설팅기업인 CITAC에 따르면 최소 2022년까지 남아프리카공화국 정유 용량의 43%를 차지하는 2곳의 석유정유소가 폐쇄될 것으로 예상된다.스위스 및 영국의 다국적 에너지기업인 글렌코어(Glencore), 말레이시아 국영에너지기업인 페트로나스(Petronas) 등의 남아공 국내 석유정유소들이다. 2020년 7월 글렌코어의 계열사인 에스트론 에너지(Astron Energy)는 치명적인 폭발과 화재 사고가 발생했다. 이후부터 2021년 1월 현재까지 1일 10만 배럴의 케이프 타운(Cape Town) 정유소를 재가동하지 못하고 있다.페트로나스의 자회사인 엔젠 홀딩스(Engen Holdings)의 더반(Durban)정유소 역시 화재 사고 이후 2020년 12월 생산을 중단했다.▲CITAC 홈페이지
-
2018-10-19인도네시아 국영에너지기업 페르타미나(Pertamina)에 따르면 2018년 10월 지진피해로 복구작업인 한창인 팔루(Palu)에 액화석유가스(LPG) 5040통을 수송했다.수송수단은 LPG상륙선(Landing Craft Tank, LCT)이며 LPG통은 1통당 3kg짜리다. 항로는 최대 유전지대 개발지역인 발릭파판(Balikpapan)에서 출발해 46시간만에 팔루항에 도착했다.이번 지진은 7.5 규모의 강진과 쓰나미까지 강타한 대재해였다. 공식집계 사망자만 1000명을 넘어섰고 주택 및 사회간접자본 등 관련 시설물 피해도 상당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페르타미나 경영진은 팔루지역에서 운영되던 정유시설(보관, 송유관 등)이 파괴돼 주민들의 기본 생활이 보장되지 않는다고 판단했다. 결국 시설보수와 병행하면서 직접 액화석유가스를 지원하게 된 것이다.현재는 유지보수팀이 파견돼 팔루지역의 정유보관소 및 수송스테이션 대부분을 복구한 상태다. 곧 팔루 외에도 인근 피해지역인 동갈라, 시기, 포소 등에도 액화석유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페르타미나는 과거에도 지진과 쓰나미로 큰 피해를 입었던 이 지역에 액화석유가스 공급 및 기타 이재민 지원에 적극적으로 대응했다. 이러한 행동이 공공이익을 우선하는 국영기업다운 모습이라고 판단된다.▲페르타미나(Pertamina) 홈페이지
-
2017-11-27인도 정부에 따르면 자동차 제조기업들과 전기 자동차 1만대 입찰의 첫단계를 완료했다. 1단계로 타타모터스(Tata Motors)에서 전기 자동차 250대, M&M에서 150대를 각각 공급할 예정이다.국영에너지기업인 EESL에 따르면 이번 대형 입찰을 통해 국내 전기자동차 도입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가 소유하고 있는 차량을 몇 년 내에 전기차량으로 변환할 계획이다.현재 국내 배터리 충전소는 200개 정도에 불과해 인프라 시설이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국영석유기업인 인디언오일(Indian Oil corp)이 충전소 설치를 늘릴 예정이기 때문에 2018년 충전소가 늘어날 것으로 판단된다.▲정부 로고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