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대유럽연합"으로 검색하여,
3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16-04-14우크라이나 정부는 2016년 독일 연방정부와 국가경제발전을 위해 1000억유로 규모의 지원을 논의 중이다. 일각에서는 2차 세계대전 이후 유럽부흥계획인 '마셜플랜'의 일종이라고 표현한다.독일은 우크라이나의 2015년 외국인직접투자(FDI)국 3위로 전체 투자액 중 12.5%를 점유하고 있다. 대독일 상품수출시장도 성장 중이며 현재 자동차부품 및 농업제품 업계로부터 투자지원도 검토되고 있다.최근 4월에는 독일 엔지니어링업체 레오니(Leoni AG)가 카르파티아 지역에 '자동차 케이블' 생산공장을 건설하기로 결정했다. 또한 농축수산물의 대유럽연합 수출이 확대되면서 독일까지 시장확대를 계획하고 있다.우크라이나는 올해 초부터 유럽연합을 비롯한 IMF, UN 등 국제기구로부터 기금조달에 주력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금융지원 외에도 이처럼 '산업적 협력지원'을 병행해야 균형적 발전이 가능하다고 조언한다.참고로 우크라이나-독일은 1992년에 공식적인 외교관계를 수립해 양국에 대사관을 설치했으며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다. ▲ 우크라이나(좌)와 독일(우) 국기(출처 : 글로벌리서치센터 홈페이지)* 레오니(Leoni AG)설립 : 1917년본사 : 독일 뉘른베르크주요사업 : 부품제조, 엔지니어링
-
2016-03-28캄보디아 특별경제구역청(CSEZB)의 자료에 따르면 2015년 유럽연합(EU)에 수출된 '자전거완제품' 규모는 170만 대로 지난해에 비해 10% 증가됐다.동기간 수출총액도 3.64억 달러로 9.3% 확대돼 지역공급업체의 실적도 개선됐다. 14%의 수입관세가 일반특혜관세제도(GSP)로 면제돼 생산성과 가격경쟁력이 동시에 확보된 것이다.현재 대유럽국 자전거 수출시장의 점유순위는 대만에 이어 세계 2위로 자리잡고 있다. 그러나 전년도 5월에 2개 국내업체가 중국산 자전거의 무관세 수출을 시도하다 적발돼 48.5%의 보복관세조치를 받기도 했다.한편 동기간 아시아 및 오세아니아 지역의 수요가 급성장하면서 출하량이 278% 폭증됐다. 유럽국의 면세혜택과 판매성장세로 편향됐던 시장이 점점 '글로벌'하게 확장되는 추세다.* 일반특혜관세제도(GSP): 선진국의 개발도상국에 대한 관세면제 및 최혜국세율 보다 낮은 관세를 적용하는 세금특혜제도다. 1968년 2월 인도에서 개최된 '제2차 유엔무역개발회의 총회'에서 채택돼 현재까지 시행되고 있다. ▲ 국내서도 교통수단/관광상품으로 자전거 매매·임대시장이 활성화돼있다.(출처: 무빙투캄보디아닷컴)
-
[캄보디아] 정부, 2015년 대유럽연합(EU) '자전거 완제품' 주문량 10% 증가...세계 2위 자전거생산국이면서 수입관세(14%)가 일반특혜관세제도(GSP)로 면제돼 생산성 및 가격 경쟁력 확보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