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루마센터"으로 검색하여,
2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4-05-19□ 방문개요구분내용일시/장소▪2016. 1. 28(목), 11:00∼13:00 / Chemistry Lab Gadolin(헬싱키)홈페이지▪www.helsinki.fi/luma/english/활동내용▪비즈쿨 및 연수단 소개▪핀란드 융합교육 및 교사양성 프로그램▪중학생 가돌린 수업 참관▪사전질의 답변 및 질의응답면담자▪Maija Aksela(The head of the LUMA STEM Centre)▪Veli-Matti Ikävalko(FL, DI Koordinaattori)일반현황▪(개괄)핀란드의 융합교육 정책은 경제침체기인 1990년대 이후부터 정부와 고등교육기관을 중심으로 시행됨. 핀란드 국가교육위원회(OPH)는 1996년부터 2002년까지 핀란드의 과학교육과 역량을 국제적인 수준으로 높이기 위해 3천 4백만 유로를 투입하여 국가과학교육개발 프로젝트인 ‘루마(LUMA)’를 헬싱키대학교 과학학과에서 진행* ‘루마(LUMA)’란 핀란드어로 자연과학(Luonnontieteet)과 수학(Matematiikka)의 합성어임.▪(설립목표)3∼19세 아이들이 융합교육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지원하고, 모든 교사들이 융합교육을 할 수 있도록 평생학습을 지원□ 핀란드의 융합교육○ (교육현황) 2007년 이후 여러 대학교에서 지역산업과 기업, 초등·중학교와 연계하여 융합연구기반 교사교육을 할 수 있는 지역과학교육센터 루마를 설립하고 아동과 청소년들의 방과후활동 지원과 함께 현재까지 그 기능을 유지* 핀란드 전역에 13개의 루마센터가 있으며 그 중 11개는 대학과 연계하고 있으며 13개의 루마센터 중 헬싱키대학교 루마센터가 루마센터 네트워크의 중심 역할○ (헬싱키 루마센터) 대학, 기업의 연계 협력을 통해 모든 교육수준에서 융합교육(STEM) 과목들의 연구기반 교수와 학습을 지원* (중점분야) △생물학(BioPoP) △지구과학(Geopiste) △물리학(F2k) △화학(Kemma) △컴퓨터 공학(Linkki) △교수법(LumO) △수학(Summamutikka) 총 7개 과목의 센터를 공동 운영○ (지원규모) 2014년부터 2019년까지 500만 유로를 투입하여 유치원부터 중학교까지 수학, 과학 및 환경, 공학을 교육하도록 지원○ (대외협력) 대학 내 최근 연구결과 및 최신 장비를 지역 내 초등·중·고등학교에 개방하여 지역□ 루마센터 청소년 지원 프로그램① 잇뽀 프로그램(Jippo program)○ (개요) 핀란드에서 인기 있는 프로그램 중 하나로 2003년 11월 이래 온라인을 기반으로 아동들이 수학과 자연과학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갖도록 자녀와 학부모 교사 모두에게 무료로 개방○ (프로그램) 아동들이 여가에 과학을 즐기며 문제해결 학습을 통해 탐구하도록 하며, 아동들은 과학적 현상에 대한 동기를 가지고 학습의 즐거움을 경험• 학교교과목 연계프로그램 내 각종 주제 활동을 통해 발견할 수 있는 팁과 아이디어를 온라인상에 제공 → 교사들이 학교수업과 방과 후 과학클럽에서 사용• 최근 연구실험활동 프로그램은 3~6세의 아동들이 학부모와 함께 6회의 활동수업에 걸쳐 과학, 기술, 예술, 문학, 음악 교과를 융합한 개별프로젝트를 고안② 화학실험실 가돌린(Chemistry Lab Gadolin)○ (개요) 이트륨원자를 발견한 요한 가돌린의 이름을 따라 설립한 가돌린 교실은 화학교수와 학습을 지원하기 위해 2008년에 설립○ (프로그램) 문제해결학습의 형태로 7~19세의 학생들이 1주 2회 화학교실을 방문하여 2시간 이상 실험 연구 작업과 분자모델링 등 체험활동 및 대학 연구원들과 질의응답식 토의* 방문비는 무료이며, 현재까지 24,000명의 참가자와 1,300개 그룹이 참가③ 밀레니엄 청년캠프○ (개요) 2011년 시작된 캠프는 자연과학, 수학, 기술에 대한 관심과 정보공유의 장○ (참가대상) 16~19세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진행되며, 루마센터와 핀란드 기술아카데미(TAF), 각 협력대학, 비정부기구, 국제기업이 후원④ 루오바(Luova)○ (개요) 중등부 학생들을 대상 제작되는 웹진으로 자연과학, 수학, 기술에 관한 새로운 관점을 열어놓음으로써 연구, 혁신에 관련된 발명과 창의의 즐거움을 스스로 찾도록 지원• 루오바는 연구자와 교사, 중등부 학생들이 흥미로운 만남의 장을 갖고 재능을 계발할 수 있도록 블로그나 사회미디어를 이용하여 정보를 제공하고 공유• 청소년의 그림이 들어간 기사, 이미지와 비디오 등을 이용하여 과학 기술, 혁신에 관련된 뉴스들을 출간⑤ 드나미띠(Dyna-miitit)○ (개요) 비형식교육의 형태로 청소년들이 개인과 사회, 자연환경 안에서 수학과 자연과학, 기술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전문가들과 조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 (현황) 헬싱키대학뿐만 아니라 시내에 위치해 있는 개별연구소와 기업에서 8월에서 5월까지 매달 2회 간담회를 진행□ 루마센터의 교사 직무연수① 교사 직무연수○ (주요내용) 과목교사와 초등학교 교사들을 위해 재직교사훈련, 워크숍 등 온라인 직무연수 진행하며 모든 활동들에서 나온 새로운 연구결과물들 지원 및 공유* 매년 6월 초에 컨퍼런스를 열어 연구 성과를 공유하며, 2016년에는 라흐티(Lahti) 지역에서 열릴 예정② 루마 사노맛(LUMA Sanomat)○ (주요내용) 교사들에게 일상생활에서 접할 수 있는 과학에 관한 흥미로운 정보들을 제공하며, 시각자료들을 포함한 교수자료들과 과학교육과 과학교육연구에 관련된 기사 출간③ 싸비 프로젝트(SAVI Project)○ (주요내용) 미국과 핀란드의 교사들이 스마트폰 기술을 통하여 얻는 정보를 어떻게 교실수업에서 활용하는지에 관한 싸비(Science across Virtual Institue, SAVI) 프로젝트는 대학수준의 컴퓨터공학과 중학교 수준의 물리와 생물의 융합교육 내용을 시각화하고 디지털로 표현하는 상호 문제해결학습 방법* 핀란드 알토대학 컴퓨터공학과, 뚜르끄대학 교육학과, 국가경제연구소, 템페레대학 정보공학과와 미국 아우번대학 컴퓨터공학 및 소프트공학과, 위스콘신대학 학습공학과, 버지니아 공대 컴퓨터공학과들로 구성□ 질의응답- 인문학과의 융합교육의 구체적인 예를 알고 싶다."보통 주제별 수업을 통해 과학과 다른 인문학을 접목한다."- 융합교육을 배우는 학생들의 연령대는 어떻게 되는지."평균적으로 유치원 교육(3살 이상)부터 배운다. 화학을 예로 들면, 화학이라는 과목은 중학생부터 배우지만 유치원과 초등학교 때는 다른 학문과 연계된 통합교육으로 이루어진다."- STEM이 미국에서 왔다고 알고 있는데 미국에서 STEM을 운영하는 커리큘럼과 핀란드에서 STEM을 운영하는 방법에 차이점은."STEM이 미국에서 왔다고 알고 있는 것은 오해다. STEM은 원래 과학, 수학, 기술 과학 융합교육센터인 LUMA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미국에서 발전 된 것이다."- 학교현장에 있는 교사들 간의 협력과 관계성이 어떻게 진행되는지."예를 들면 가정수업시간에 화학과목이 접목해서 수업이 이루어졌었다. 정부나 우리 쪽에서 명령이 있지 않고 선생님들이 자발적으로 협력 핀란드는 2016년부터 교육과정이 새롭게 바뀌면서 학과 간 협력, 공동작업이 필수과정으로 편성이 되었다."- 학교에 제공되는 과학실의 장비와 기구들의 수준은."리소스가 많이 없다. 여기서 실제로 연구가들이 사용하는 모든 장비가 있기 때문에 심화교육을 하기 위해서 이곳을 방문한다."- 코딩프로그램에 대한 교사 역량 강화 프로그램이 있는가? 아니면 다른 외부 전문가를 섭외하는지."코딩교육 전문가로부터 교사들이 교육을 받은 후에 교육하고 교사교육은 주로 인터넷 강의를 통해 한다."- 보통 실험을 하면 어느 정도 시간을 소요하는지."정해져 있지 않았다. 한 시간을 원하는 그룹도 있고 이틀을 원하는 그룹도 있다. 먼저 연락이 오면, 학생들의 수준과 교사가 원하는 수업의 수준에 대해 충분히 상담 후 시간을 편성해 준다."
-
Ⅳ. 결론 및 시사점□ 기업가정신 우수 프로그램 및 교육시설◇ 산학협력 프로그램 강화○ (디자인 팩토리) 유니세프 적정기술 프로젝트 등 산학협력을 통한 실질적인 프로젝트 진행으로 학생들에게 가치창출을 통한 동기부여<디자인 팩토리>○ 코끼리 수도꼭지• 유니세프 사회혁신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아프리카 물부족 문제를 해결하기위해 유니세프와 디자인 팩토리가 연계하여 진행하였고, 학생들이 1년 동안 다양한 시제품을 제작하며 ‘코끼리 수도꼭지*’를 개발* 드럼에 고무꼭지를 달아 손으로 누르면 물이 여과하여 나옴○ (DTU Skylab) 산업체의 필요 요구에 맞는 프로젝트 진행, 아이디어 공유, open wall* 등 산학협력을 통해 기업가정신 활성화장 마련• (Open wall) 시설의 한 벽면을 네트워킹 공간으로 마련하여 자신의 아이디어 및 프로젝트를 공개하고 파트너 및 지원기업을 모집하는 프로그램◇ 종합적인 시제품 제작 공간 구축○ (시제품 제작 공간) 3D프린터, 목공, 금속, 전자 등 손쉽게 프로토타입 및 시제품을 제작할 수 공간을 구축을 통해 제조기반 창업 인프라 활성화○ (개방적인 공간) 네트워킹 중심설계 및 필수 설치를 통해 공간 내 개방성을 살리고 화상통화 장비를 통해 글로벌 네트워킹 강화<디자인 팩토리 및 DTU Skylab>▪(디자인 팩토리) 3D프린터, 목공, 금속, 섬유 등 다양한 분야의 시제품제작공간을 구비하고 있으며, 화상통화 시스템을 통해 글로벌 네트워킹 공간 마련▪(DTU Skylab) 3D프린터 등 다양한 분야의 시제품제작 및 공간개방성 강조◇ 창업 실패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및 제도적 시스템 구축○ (JA Eesti) 청소년의 창업교육 내용 및 프로그램에 ‘폐업’내용 및 과정을 마련하여 실패에 대한 인식 개선을 포함한 교육 진행○ (덴마크 창업시스템) 청소년의 지식기술 창업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창업에 따른 위험요소 및 실패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사회적 인식 확산과 제도적 시스템 구축이 필요□ 시사점◇ 융합교육을 통한 기업가정신 함양교육○ (기업가정신 융합교육) 기업가정신 교육은 문제정의, 도전정신, 문제해결능력을 가르치는 과정으로 사회교과목 다양한 연계성을 고려하여 교과 개발에 반영○ (교과협의회) 융합수업을 위해 교과별 협력 연구 필요하며 우리나라 특성상 교과목 연계 협의회가 쉽지는 않지만 융합 수업을 위한 연구회 활성화 필요○ 우리나라는 현재 2018년 중·고등학교 사회교과목으로 기업가정신교육 정규 교과화를 앞두고 교과서 개발 방향에 대한 기대감과 우려가 교차◇ 기업가정신 교육 활성화 방안○ (아이디어 경진대회) 학생기업 경진대회 수상자 총리실 초청 행사, 미국의 오바마 대통령이 DECA(고등학교 및 대학생 창업교육 기관) 경진대회 입상자를 백악관 초청, P-Tech(Pathways in Technology Early College High School)의 입학식에 참석 등 기업가정신 교육을 제고할 수 있는 행사 필요○ (학생 자치위원회) 학생들이 주축이 된 창업동아리 ‘알토ES’에서 주최한 창업 컨퍼런스 SLUSH가 10년도 안 되는 짧은 기간 안에 세계적인 행사가 된 것은 큰 의의○ (민간 교육 프로그램 연계) JA Eesti의 사례를 통해 기업가정신 함양에 대한 국가 정책에 대한 수립과 동시에 기존에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는 민간 교육 프로그램과의 연계가 필요○ 지역의 청소년들을 위해 지자체와 민간 부문이 연계하여 이들을 위한 기업가정신 함양과 창업에 필요한 기술과 자금, 그리고 창업 운영과정에 대한 정보지원을 위한 협의체 운영시스템 구축도 절실히 요구○ (창업지원기관 연계 프로그램 확대) 비즈쿨 창업동아리 활동에 청소년들의 눈높이에 맞는 창업선도대학 대학생을 멘토로 활용, 중학교의 자유학기제 전면실시에 따라 창조경제혁신센터의 체험교육을 대폭 확대하는 방안도 필요• 한국경제교육연구소, OEC, 카이스트 영재교육원, 동그라미 재단 등의 민간기관에서 모의창업 체험, 진로 및 직업찾기, 비즈니스 체험 캠프 기업가정신 교육을 제공 중이나 교육 대상과 규모 등이 한정된 한계점 발견○ (진로발달 단계별 기업가교육과정 운영) 루마센터 운영사례를 통해 초·중·고는 기초단계→ 역량인식단계 → 창조적 적용단계로 구분하여 기업가정신 교육 및 실습과정을 운영○ (기업가정신교육 콘텐츠 개발 및 보급) JA Eesti의 청소년들 창업교육 사례와 같이 새로운 형태의 다양한 교재 제작, 창업교육 전문가를 활용한 콘텐츠 개발, 해외 콘텐츠 도입 고려• 창업수요를 반영한 세부분야별 표준교재, 기업가정신 관련 웹툰 및 애니메이션, 온라인 창업 시뮬레이션 등 새로운 분야의 콘텐츠 도입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