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쓰레기소각발전소"으로 검색하여,
5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0-12-23일본 종합상사인 이토츄상사(伊藤忠商事)에 따르면 환경 및 플랜트 기업인 히타치조선(日立造船)과 아랍에미리트(UAE)의 두바이 쓰레기소각발전소를 수주받았다.세계 최대 규모의 쓰레기소각발전소로 가정 쓰레기를 온열 발전에 이용한다. 사업 규모는 약 1200억엔으로 2024년 가동할 예정이며 35년간 가동된다.쓰레기를 소각하는 발전소는 일본, 유럽과 달리 중동에서는 선례가 적다. 두바이 현지에서 환경을 위해 재생에너지 도입도 진행할 계획이다.▲이토츄상사(伊藤忠商事) 홈페이지
-
2019-02-14오스트레일리아 빅토리아(Vic)주정부에 따르면 생활쓰레기 소각발전소를 건설할 계획이다. 주내 140만가구들의 생활쓰레기를 태워 에너지로 사용하기 위한 목적이다. 주내 최대 제지공장인 오스트레일리안 페이퍼(Australian Paper)와 폐기물 및 수질관리기업인 SUEZ 등이 합작을 제안해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된 것이다.양사는 협력해 쓰레기소각발전소를 매리베일(Maryvale)에 건설할 계획이다. 주도인 멜버른, 교외지역인 깁스랜드 등으로부터 수거한 쓰레기 중 연간 65만톤을 태워 에너지를 생산할 방침이다. 쓰레기소각발전소 건설은 2020년부터 시작하고 2024년 운영을 시작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25년간 발전소 운영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발전소를 건설하는 동안 건설업계 풀타임 일자리 1600개, 향후 발전소 운영에 정규직 일자리 440개가 각각 새로 생길 것으로 예상된다.▲SUEZ의 관리자 및 직원(출처 : 홈페이지)
-
▲ 태국 정부 로고태국 에너지규제위원회(ERC)의 자료에 따르면 쓰레기소각발전소로부터 26메가와트 전력을 구입하기 시작했다. 쓰레기소각발전소는 11곳의 산업단지에 위치해 있으며 200개까지 확대할 계획이다.정부는 전력구입협약(PPA)에 따라 이들 발전소에서 생산한 전력을 구입하고 있다. 산업화와 국민경제의 성장에 따라 쓰레기의 발생량이 늘어나고 있어 쓰레기소각발전소에 대한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
필리핀 항만운영 및 화물취급업체인 ICTSI는 일본 유센그룹(NYK)과 합작한 완성차 보관기지 착공식을 루손지역 라구나주 카부야오시에서 개최했다고 밝혔다.1기 사업은 5000평방미터 규모의 창고를 건설하는 것으로 총 2800여대의 완성차를 보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필리핀 정부는 자동차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다양한 세제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ICTSI 홈페이지필리핀 마닐라전력(Meralco)은 2016년 9월 청구된 전기요금의 기본요금을 1킬로와트시 당 0.104페소 인하한다고 발표했다.국제유가의 하락으로 발전비용이 감소했기 때문이다. 또한 폭염으로 인해 전력사용량이 급증했기 때문에 서민들의 전기요금에 대한 부담감을 덜어주기 위한 조치의 일환이다.필리핀 메트로패시픽인베스트먼트(MPIC)의 자료에 따르면 마닐라광역시의 쓰레기 1/3을 처리할 수 있는 쓰레기소각발전소를 케손시에 제안했다. 계획대로 진행되면 2020년대 초에 가동될 것으로 전망된다.이 쓰레기 발전소는 30~40메가와트의 전력을 생산한다. 8월에 히타치조센이 케손시에 쓰레기소각발전소를 제안했는데 차별점이 무엇인지는 밝히지 않았다. 필리핀 관광부에 따르면 2016년 6월 외국인 관광객은 45만9138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17.6% 증가했다. 증가율은 2월에 기록한 20.42%에 이어 두번째로 높았다.또한 상반기 전체의 관광객 수는 약 298만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13.7% 증가했으며 연간 목표인 650만명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필리핀 교통부는 최근 의회에 1조페소이상의 국내 철도 사업계획을 제출했다. 2190억페소 규모의 수도권 지하철 건설사업 등 총 14건의 사업을 제안했다. 그 중 대부분인 11개의 사업이 루손지역에 할당됐다.
-
일본 히타치조선(日立造船)은 2016년부터 해외 쓰레기소각발전소의 애프터서비스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현재까지 EPC(설계, 조달, 시공)가 중심이었으나 애프터서비스 업무를 통해 사업의 수익성을 넓힌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