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4
" 임업"으로 검색하여,
36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TEKES, The Finnish Funding Agency for InnovationPorkkalankatu 1, 00180 Helsinki, Finland 핀란드 헬싱키□ 연수내용◇ 핀란드 혁신 시스템 전환과 산학협력 노력○ 핀란드 경제는 혁신주도형 성장 단계를 거치며, 변화의 핵심 요소로 ‘국가혁신체제’ 와 ‘지식과 노하우’를 강조하면서 혁신체제 전환을 이끌어 왔다.국가혁신체제 개념은 일종의 메타(meta) 개념으로 전체 사회의 기능을 하나의 틀 내에서 바라볼 수 있는 포괄적 관점을 제시한다. 핀란드는 혁신체제론적 시각에 기반을 두고 기업과 대학 간 연계를 강화다.지식과 노하우의 창조 및 이용을 강조하고 기술개발과 도약에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교육 및 R&D 시스템 등의 혁신 환경 조성에 중점을 두어 왔다.○ 1990년대부터 핀란드 정부는 혁신체제의 고도화를 위해 어느 국가에서도 시도하지 않았던 다양한 정책과 프로그램을 추진했다.국가혁신체제(NIS) 개념을 도입하고 이에 기반을 두어 국가기술프로그램, 산업클러스터 프로그램, 우수 센터 프로그램 등 다양한 정책 실험을 시도했다. 이들 프로그램은 산학연 간 유기적인 협력체제와 지역의 주도적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핀란드의 R&D 지원기관은 상위기관으로 핀란드의회가 있고 의회 소속 연구・혁신협의회(Research and Innovation council)가 있다.실질적 수집행하는 기관은 행정부의 고용노동부에 속한 TEKES와 VTT(핀란드기술연구센터, Technological Research Centre of Finland)이다.▲ 핀란드 공공기관에서의 혁신 및 R&D 지원조직 체계도[출처=브레인파크]○ VTT는 핀란드 국내외 기업, 공공부문에서 광범위한 기술연구서비스를 제공하는 북유럽 최대의 응용기술 연구기관이다.비영리기관으로 핀란드 고용경제부 소속이며, 일반기업과 공공부문 조직을 포함하는 핀란드 국내외 고객들을 위해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고 연구, 개발, 시험, 그리고 정보 서비스를 생산하는 역할을 한다.○ VTT는 지식에서 비즈니스를 만들어내고, 비즈니스 지원을 한다. 다른 부처에서도 R&D 지원이 이루어지나 가장 크게 VTT와 TEKES에서 진행된다고 할 수 있다.○ 이외에 중요한 혁신관련 부서로 교육부가 있으며, 교육부 소속으로 핀란드아카데미(Academy of Finland)와 개별 대학이 속해있다. 대학은 새로운 연구를 통해 순수한 지식을 창출해내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핀란드아카데미에서는 기초 연구가 진행되며 기업은 기업에서 필요한 기술을 개발을 하는 것이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핀란드가 제시하는 혁신주도형 국가의 특징은 기술과 기술체제가 경제적·산업적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사회 전부분에 걸쳐 핵심적인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이다.핀란드는 혁신주도형 국가를 표방하면서 혁신정책을 사회 전반의 목표와 활동을 포괄하는 것으로 확장시켰는데, 이는 혁신정책이 단순한 섹터 정책의 범주와 경계를 뛰어넘어 사회개발까지 포함하는 국가사회정책으로 확대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이다◇ 산학연간의 상호 협력에 대한 자금 지원을 주요 인센티브로 활용▲ 핀란드 공공기관의 R&D 투자 성격 분포[출처=브레인파크]○ 핀란드 공공기관 R&D듣 각 성격에 따라 구분이 가능하다. TEKES는 응용연구와 비즈니스 R&D 성격으로 분포도의 중앙에 자리하고 있고 그 왼쪽은 기초 연구, 오른쪽은 해외 시장 마케팅 발전의 성격이다.○ TEKES는 보조금, 융자 대출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응용연구를 지원하고 있으며, 산학이 함께 하거나 네트워크가 연계된 프로젝트에 더 많은 예산 지원을 하고 있다.○ 기초과학 지원을 맡고 있는 핀란드 학술원은 기업의 요구에 맞는 R&D를 수행하고 박사학위를 소지한 연구자들이 자신의 경력 단계에 따라 대학과 기업을 왕래하면서 연구할 수 있는 기금을 조성하여 배분하였다.○ 해외 시장 마케팅 분야로 Finnvera, Finpro 등이 위치하고 있다. Finpro는 코트라와 비슷한 기관이다. 2개월 전까지 각 기관이 분리되어 있었으나 현재는 Finpro와 Finnvera, TEKES가 모두 합쳐져 'Team Finland'라는 이름으로 바뀌었다.○ 지역 ELY센터(Regional ELY Centres)는 13개 지역으로 퍼져있는데 R&D 투자 성격이 TEKES와 유사하여 추후 TEKES와 합쳐질 계획이다.◇ 기술연구 중심에서 R&D투자, 기업지원, 평가 등으로 영역 확장○ TEKES는 1983년에 설립되었다. 설립당시 목적은 핀란드의 산업기술을 발전시키는 것이었다. 이후 1995년에 핀란드가 EU에 가입함으로, 유럽 전체와 협동하여 컨퍼런스, 공동연구 등을 진행하기 시작하게 되었고 기술연구 중심에서 R&D지원, 기업지원 서비스, 감정 및 평가 등으로 사업영역이 확장되었다.▲ TEKES의 사업영역 확장 과정[출처=브레인파크]○ 특히 TEKES의 FinNode 혁신센터는 국제적 기업이나 연구자가 핀란드의 혁신산업으로 진입하기 위한 관문으로 여겨지고 있다. TEKES는 중국 베이징과 상하이, 벨기에 브뤼셀, 일본 도쿄, 미국 실리콘밸리와 워싱턴에 해외사무소가 있다.○ TEKES는 지역 특성화 산업을 지원하고 고객서비스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각 지역 별 사무실을 두고 있다. 이 조직들은 R&D프로젝트가 수행되기 시작하면 기업과 연구 그룹 간 정보와 네트워킹 목적으로 포럼을 주관하며 비즈니스 전문지식과 국제적 협력개발 디자인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기업의 성장단계에 따른 지원내용과 평가 기준 마련○ TEKES는 신성장 기업을 육성하기 위해 주로 △공공 연구 △연구 결과 상업화 △대기업 특허 포트폴리오를 점검한다. 또한 신사업 분야를 발굴하는 과정에서 신속한 자금지원 결정 활동을 한다.투자금의 3분의 1이 이 활동에 지원된다. 창업단계 기업들은 인원도 적고 경영상의 어려움이 많은데 가장 중요한 것은 매니지먼트와 경험이기에 이 점에 중점을 두고 투자한다.○ 빠른 성장 속도를 보이는 기업에 대한 자금지원도 이루어진다. TEKES의 지원은 기업 창업 단계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다. TEKES는 혁신적인 기업이 사업 분야에서 자리 잡고 대외적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을 때 기업이 효율적으로 성장을 지속할 수 있도록 자금 지원을 한다. 위험이 크고 중소기업 프로젝트일수록 무상지원 비율이 높다.○ TEKES는 설립 후 10년~20년 정도 지난 중견기업에 대한 R&D 및 혁신활동에 대한 자금지원도 하고 있다. 이미 성장해 있고, 특정산업에서 성공을 이룬 기업일지라도, 새로운 분야와 기술에 대한 R&D나 혁신에 도전할 때 이를 위한 자금을 지원하는 일이다.○ 이때 지원 평가기준은 △매니지먼트를 혁신 여부 △혁신 통한 글로벌 기업 성장 여부 △새로운 고객을 유치 가능성 △기존 고객에 대한 새로운 니즈 파악 등에 관해 분석하는 것이다.○ 그 외에 회사가 갖고 있는 △시장성 △프로젝트 시장성△고객의 니즈 파악정보 △회사의 파트너 △회사의 가치 기준 △발전상 △네트워크 등을 통해 신규 투자 여부를 평가한다.○ 또한 TEKES는 대기업 자금 투자를 통해 기업이 연구기관과 중소기업간 네트워킹 통로가 될 수 있게 고용인력 500인 이상인 대기업에도 자금을 지원한다. TEKES 투자자금을 대기업에 지원하면 투자자금 일부와 대기업 자금 일부가 연구서비스를 구입하는 대가로 대학과 연구기관에 유입되는 효과가 있다.○ 마찬가지로 대기업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중소기업에도 TEKES 기금이 유입된다. 이로써 대기업을 통해 대학, 연구소와 같은 연구기관과 중소기업으로 이어지는 채널을 구축하는 효과를 얻는다.◇ 성장가능성이 높은 기업 지원을 통해 더 많은 이익 사회 환원○ 투자를 결정할 때는 대부분 비즈니스플랜을 보고 결정하는데, 이 때 평가하는 것은 기술적인 부분만 보는 것은 아니다. 투자할 때 기준을 나무로 표현하면, 뿌리인 '성장가능성'부터 평가를 하게 된다. 또한 △기업의 혁신성 △시장 잠재력 △브랜드 제품의 가치 △성장에 대한 열망 △비즈니스 플랜에 대한 믿음 등이 주요한 평가 기준이다.○ 기술경쟁력과 성장가능성 이외에도 △기업의 자산 △연구네트워크 구축 △지역 중소기업활용 △국가기술프로그램 참여 실적 △국제협력 등에서 골고루 높은 점수를 받는 것이 주요 요건이다.○ 투자결정 평가과정에서 기업들은 심사단을 선택할 수 없고, 무작위로 심사단이 배정된다. 이 때 심사단의 투자평가는 반드시 2인 이상으로 구성되며 1인은 비즈니스 매니지먼트 분야를, 또 다른 1인은 비즈니스 재정분야를 평가한다. 지원규모가 크면 2인씩 추가 배정하기도 한다. 그렇지만 심사단이 평가의 모든 결정권을 가지는 것은 아니다.▲ 중소기업 혁신 능력 평가 기준[출처=브레인파크]◇ 프로젝트 시작 전 중점 지원 후 기업 자율성 부여○ 기업이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시작하면 TEKES는 프로젝트를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투자하기 전 그리고 프로젝트 시작 전에 중점을 두고 지원하는 업무를 담당하며 프로젝트가 시작된 후에는 기업에 자율성을 준다.프로젝트 시작은 기업의 프로젝트 리더와 TEKES에서 무작위로 선정한 외부 회계사(audit) 2명이 반드시 함께 동의, 서명하도록 되어 있다.○ 투자금을 지원하기는 하나 결과물에 대한 지적재산권은 모두 해당 기업에 속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또 제조 기업이라 해도 반드시 제조공장을 핀란드에 둘 필요 없이, 제조공장을 어디에 두든 자율성을 준다.◇ MABC 모델 통해 투자받을 기업의 잠재력 판단○ MABC 모델은 스탠포드연구소(SRI: Stanford Research Institute)에서 개발한 모델로, 구체적인 질문사항은 아래의 표와 같다.TEKES의 전문가들은 투자를 받을 기업들과 많은 토론을 하게 되는데 이 때 MABC모델을 기초로 한다. 실제로 TEKES의 스텝들은 스탠포드연구소에서 많이 경험을 쌓고 있기도 하다.○ MABC모델을 기초로 한 질문을 통해서 전문가들은 새로운 아이디어가 얼마나 명확한지, 누가 왜 사용하게 될 것인지, 자금은 어디서 오는지, 고객한테 어떤 의미를 줄 것인지, 경쟁사에 대한 정보와 차별성은 있는지 등을 분석하게 된다.○ 예를 들어 '시장의 필요→기업의 솔루션 제공→고객의 구매'라는 등식이 이어져야 하는데 그 이유는 기업이 솔루션을 내놓는다고 해도 너무 비싸거나 고객들이 원하지 않아서 고객들이 사지 않는다면 가치가 떨어지기 때문이다.시장필요성MarketNeed• 시장이 필요로 하는 것이 무엇인가?• 잠재적 고객은 누구인가?• 시장 잠재력은 얼마나 되는가?접근법Approach• 새로운 솔루션이나 아이디어가 무엇인가?• 왜 고객이 이 제품/기술/서비스를 사용하는가?• 사업계획을 가지고 있는가?• 사업비용은 어디에서 오는가?혜택/비용Benefit/Cost• 고객은 제품․기술․서비스에 얼마나 지불할 수 있는가?• 제품과 솔루션이 고객에게 얼마나 가치 있는 것인가?• 고객은 당신의 솔루션을 얼마나 중요하게 생각하나?경쟁Competition• 왜 당신의 솔루션이 경쟁사나 대안보다 나은가?• 경쟁상대는 누구이고, 무엇인가?• 고객은 왜 당신에게 구매하는가?△ 기업과 TEKES의 코칭 질문: MABC 모델◇ TEKES R&D 자금 지원 현황○ TEKES는 2015년에 2,600여 개의 프로젝트에 5억7천5백만 유로를 지원했는데 그 중 2억9백만 유로는 대학, 연구기관, 폴리테크닉 등의 연구비(Funding)로, 나머지 1억9천1백만 유로는 회사나 공공 기관들의 R&D 보조금(Grants)으로, 1억7천5백만 유로는 기업의 대출금(Loan)으로 쓰였다.○ 전체 지원금 5억7천5백만 유로 중 64%정도가 기업 지원에 투자되고, 36%가 연구 분야에 투자되는 것으로 기업 지원금 중에서는 70%가 중소기업을 위한 자금 지원이다. 지원금 지급 결정에는 평균 54일이 소요된다.○ 기업 대출금은 보통 상품이 시장에 나오기 직전 단계의 개발이나 Piloting 단계에 지원이 이루어진다. 지원금은 주로 연구 단계에서 이루어진다. 이 때 연구의 성패여부를 확실하게 보장 할 수 없기에 위험 부담을 안고 있다.○ 과거에는 산업에 투자를 많이 했지만 2007년을 기점으로 서비스분야에 대한 R&D 자금 지원이 더 많아졌고 격차는 점점 더 벌어지고 있다. 서비스에 대한 지원금의 양적 규모가 늘어나고 있는 반면 산업에 대한 지원은 해가 갈수록 떨어져가고 있다.○ 산업 분야의 R&D 자금 지원은 각 분야별로 계속 하향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화학 산업 분야가 극심한 하향세를 나타내고 있다.여러 산업 중에서 산림 산업에 관한 자금 지원만이 핀란드에서 오래 전부터 중요한 산업이었던 만큼, 2013년 까지 하락을 하다 차츰 차츰 상승하고 있는 추세이다.○ 서비스 분야의 R&D 자금 지원을 볼 때 소프트웨어나 인터넷, 데이터 처리 등의 컴퓨터 관련에 대한 지원이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 특히 모바일 및 컴퓨터 게임 연구와 투자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TEKES가 과거와 크게 달라진 점은 젊은 사람들이 회사를 일으킬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공공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상업화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여러 프로젝트가 있다. 노키아로부터 시작된 것으로 대기업이 만든 특허기술을 중소기업이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고객들을 볼 때 TEKES에는 진행되고 있는 프로젝트가 2,500개 이상 있다. 매년 평균 1,500개의 펀딩 결정이 이루어지며 500 여개의 회사들이 TEKES에 지원 요청한다.○ 매년 TEKES에서 대출지원을 받거나 연구지원을 받는 기업이 5,000여 개 인데 이 중 평균 50여 개 기업이 도산한다.○ TEKES는 2015년 총 2억9백만 유로의 대학과 연구소들의 프로젝트에 대한 자금을 지원했다. 이 중 가장 많은 지원금은 대학과 연구소로 투입되었고 연구소에 투입된 5천3백만 유로 중 대부분은 기술적 연구에 활용되었다.○ 2015년에 TEKES는 SHOK(Strategic Centres for Science, Technology and Innovation)이라고 부르는 특별 연구 프로그램에 대한 지원을 진행했다.회사들이 미래를 위한 연구에 투자 하는 프로그램으로 참가한 모든 기업이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다. 그러나 참여 기업 중 몇몇은 이제 핀란드를 넘어 유럽연합의 지원을 받고 있다.◇ TEKES와 Team Finland의 프로그램○ 2015년 지역별 R&D 자금 지원을 살펴보면 총 3억6천6백만 유로 중 51.8%의 지원이 헬싱키에서 이루어졌다. 이는 핀란드가 넓은 국토를 가졌음에도 사람이 거주하고 기업이 활동하는 지역이 헬싱키를 중심으로 한 남쪽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이다.기업들이 자체적으로 하는 R&D 자금 지원도 TEKES와 비슷한 분포를 보이나 지원 금액은 약 44억 유로로 10배 이상이 투자되었다.○ TEKES와 Team Finland에서 현재 중점을 두고 있는 부분은 △바이오경제와 클린테크 △디지털화 △건강과 복지 △새로운 경제 생태계와 시장 접근 이렇게 4가지이다. 각각의 주제 아래 여러 프로그램들이 진행 중에 있다.○ '바이오경제와 클린테크'를 주제로 북극해(Arctic seas) 프로그램과 그린 마이닝(Green Mining)이 진행 중이고 가장 많은 프로젝트가 진행 중인 '디지털화'를 주제로는 산업인터넷(Industrial Internet)(①)과 위티시티(Witty City) 등이 진행 중이다. ① 산업인터넷은 빅데이터 분석과 첨단기계의 결합으로 기계에서 발생하는 사고와 고장을 사전에 예측함으로써 낭비되는 자원을 최소화하는 기술을 의미한다.산업인터넷 시대는 19세기 산업혁명 이후 벌어진 다양한 기술 개발을 하나의 카테고리로 묶고, 5G 및 사물인터넷을 중심으로 기계와 IT가 중심이 된 현재와 미래의 기술을 새롭게 정의하는 일종의 패러다임이다.○ 위티시티 프로그램의 목표는 사람들에게 나은 삶과 근로 환경을 제공하고 회사들은 시장에 새로운 상품이나 서비스를 갖고 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스마트도시'로서 안전하고 깨끗한 환경과 혁신과 새로운 지식이 어우러지고 민관의 협력이 더욱 향상되는 도시라고 할 수 있다.◇ 지원프로그램의 궁극적인 목표는 '네트워크 강화'○ TEKES 모든 프로그램들의 가장 큰 목적은 네트워크를 만들고 강화하는 것이다. TEKES의 프로그램을 통해 기업 발전을 위한 최신 정보의 습득과 세계 시장 진출을 위한 기업 발전 컨설팅 제공 등의 전문성을 키울 수 있다.이를 위해 세미나와 집중 워크숍 개최를 하고 해외 연수도 기획한다. 이 때 기업, 연구 집단, 펀딩 집단 등의 네트워크를 TEKES에서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TEKES의 프로그램은 이 모든 혁신을 위해 펀딩을 제공한다.○ 지원프로그램들의 결과로 2015년 1,880개의 상품이 개발되거나 판매되었고 1,250개의 특허가 출원, 출원 신청되었고 1,320개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Deloitte가 발표한 2015년 핀란드에서 빠르게 성장한 50개 기술 기업 중 상위 10개 기업이 TEKES의 고객이었고 Wired 잡지가 발표한 유럽에서 가장 유망한 스타트업 기업 중 대부분이 핀란드 기업들로 TEKES의 Young Innovative Companies Funding Programme의 지원을 받고 성장한 기업이 포함되었다.◇ TEKES 혁신1. 위험부담이 혁신에 대한 지원○ TEKES가 주도하는 혁신 활동의 첫 번째 포인트는, 위험 부담이 큰 R&D프로젝트와 사업화프로젝트에 대한 지원이다. 이들은 개별적으로 투자를 받기 어렵기 때문이다.TEKES는 시장원리에 의해 투자를 쉽사리 받지 못하는 기업과 프로젝트가 있기 때문에 이들을 지원하기 위해 존재한다.○ 위험부담이 있는 혁신에는 일반 투자자들이나 정부에서 투자를 꺼리기 때문에 그러한 혁신기업들한테 투자기회를 지원해주는 것이 TEKES의 임무이다.그래서 TEKES는 기업과 대학의 R&D사업에 연구기관을 연계해주고, 혁신기금 및 활성화 제도를 통해 투자자금을 집행한다.◇ TEKES 혁신2.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혁신에도 지원○ 위험부담이 큰 프로젝트에 투자하기로 결정을 한 것은 대략 2007년부터였다. 이때 기회라는 것이 반드시 기술적 혁신에서 오는 것은 아니며, 혁신은 기술적인 분야에서 뿐만 아니라 서비스산업에도 적용된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TEKES에서 혁신은 기술과 같은 것이라고 보지 않는다. 혁신이 기술적인 혁신만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는 의미이다. 혁신이라고 하면 새로운 방식을 떠올리는데, 경제적인 가치를 만드는 것도 혁신이라고 본다. 그러므로 기술적인 것, 기술적이 아닌 것도 충분히 혁신을 만들어낼 수 있다고 보는 것이다.○ 혁신은 경제가치 뿐 아니라 사회적 가치도 창출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헬스케어는 의료기술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사회가 얼마나 좋아지는가 하는 점이 중요하기 때문에 기술적인 측면이 전부가 아니다.◇ TEKES 혁신3. 상징성을 갖는 혁신에 투자○ 세 번째 혁신의 포인트는 중요한 차이점 '상징적'인 것이다. 휴대폰을 예로 들면 기술적으로는 삼성이나 노키아가 뛰어나지만, 아이폰은 자신을 표현하는 상징적인 이미지를 갖는데 더 큰 의미를 두어 큰 성공을 이룬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질의응답◇ TEKES 조직 관련 질의응답- TEKES는 공무원 조직인가? 어떤 구성원이 TEKES를 운영하는지."350명이 근무하고 있으며 옛날에는 기술자가 많았고 지금은 여러 전문가들이 모여 있다. 모두 공무원이다."- TEKES는 정부 산하로 정부의 영향을 많이 받는지."주정부의 예산에서 매년 6억 유로 이상을 출자 받는데 정부기관의 투자를 받으면서도 TEKES만큼 자율적으로 사업하는 기관은 드물다.TEKES는 정부소속이지만 독립적인 결정을 한다. 정부와 협상할 필요가 없다. 정부의 간섭 없이 독립적으로 일하는 것이 TEKES의 큰 특징 중에 하나라고 할 수 있다.정부의 간섭은 없지만, 고용경제부에서 TEKES가 달성해야 할 목표는 정해준다. 그리고 매년 이 목표에 대한 동의서를 작성한다. 단, 목표를 이루는 방법은 자율적으로 TEKES에서 정하는 것이다.어떠한 사업, 사업체, 산업에 투자할 것인지에 대해 철저히 독립적이고, 어떤 방식으로 얼마나 투자하는지도 독립적이라는 의미이다. 고용경제부 산하기관이지만 어떠한 사업, 산업분야에 얼마나 투자했는지에 대한 보고의 의무도 없다."- 13개의 지역ELY센터(Regional ELY Centres)를 통합하는 이유는."3개의 정부 부서가 함께 만든 것인데, 사람을 고용할 때는 ELY에서 진행하지만 다른 일들은 TEKES가 하고 있다. 임업, 고용 등 정부 각 부처에서 모여진 것이 ELY인데 그 중 기술, 기업 관련된 사람들은 모두 TEKES로 오고 임업, 농업 등과 관련된 사람들은 ELY로 남아있다."- 통합의 주체는."정부가 기업의 발전을 위해서 진행했다. 지금 계속 기관들을 통합하여 비용을 삭감하고 있다. 핀란드는 큰 나라가 아니기 때문에 한번 시도해보는 차원에서 통합을 진행하고 있다."- 핀란드 정부에서 받는 자금 말고 EU에서도 자금을 받으려고 노력하는지."없다. VTT는 계속 EU에서 자금과 프로젝트를 받으려고 노력한다."- 한국 방문 시 산학협력 관련 기관들을 방문하고 정보들을 많이 들었을 것 같은데 핀란드인 입장해서 한국의 산학협력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핀란드랑 많이 다른 점은 없는 것 같다. 많은 대학이 있는 것 같다. 교육열이 뜨거운 것 같다."- 지역에 특화된 기술 분야를 연구하는 기관은."헬싱키 뿐만 아니라 딴삐레 공과대학과 라뻴란따 대학도 유명하다. 대학 외의 연구소는 VTT가 가장 유명하다."◇ 의사결정 관련 질의응답- 의사결정방식이 여러 기업들이 지원하여 4가지의 중점 프로젝트가 나온 Bottom-up인가 정부가 미리 4가지 중점 프로젝트를 결정해놓고 거기에 맞는 기업들이 지원하는 형식인 Top-down 인지."Bottom-up방식이다. 먼저 항상 기업과 상담하고 기업이 어떤 것이 필요한지 안 후에 정책의 방향을 결정한다."- TEKES에서 지원하는 사업들이 있는데 그 사업들을 몇 년 단위로 수립하는지."정책이 잘못되고 있다고 생각되면 바로 개선한다."- 수립하는 의사결정에서 참여자들은."TEKES의 전원이 다 참여한다."- 헬싱키에 51%정도 R&D 지원이 집중되어 있는데 너무 한곳에 지원이 집중된 것에 대한 이슈는."핀란드는 사람들이 거의 남쪽에 모여 살기 때문에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핀란드에는 1㎢에 한 사람이 거주한다. 1/5이 헬싱키에 거주하기 때문에 다른 지역에는 기업이 거의 없는 수준이다. 따라서 그러한 우려는 없다고 보면 된다."◇ R&D 자금 지원 관련 질의응답- 기술 펀딩을 할 때 누구에게 얼마나 언제 지원할까 하는 펀딩 결정과정은."전문적으로 결정하는 사람이 한명이 있다. 전문가들이 모인 그룹에서 결정을 하고 4가지 프로그램(Bioeconomy and clean tech, Digitalisation, Wellbeing and health, New business ecosystems and market access)과 관련된 사업을 중점적으로 지원한다. 중소기업에 많은 펀딩을 한다."- 중소기업에게 R&D지원금(R&D Grant)을 준 다음에 그에 따른 기술료나 보상을 어떤 식으로 받는지."대출(loan)이면 돌려받지만 보조금(Grant)은 돌려받지 않는다. 보조금을 받으려면 먼저 기업에서 성과를 내야한다. 성과를 낸 기업이 TEKES에 보조금을 신청하면 40-50%의 금액을 준다."- 지원하는 기업들의 경쟁률은."먼저 상담을 한 다음에 지원을 하게 한다. 가망성이 없는 곳에는 아무것도 지원을 하지 않는다. 가망성이 있는 기업에게는 언제나 지원해준다. 수시접수이다."- 기업이 연구를 끝내고 지원을 받는 상황이라면 그 전에 산학협력이 이루어졌어야 하는 상황인데, 학교입장에서는 연구를 다 끝내고 된 다음에 지원을 받는 것이 아닌가? 그러면 그 산학협력 자금은 대학으로 어떻게 가는지."중간보고를 통해 얼마나 썼는지, 얼마나 성과를 이루었는지 확인하여 중간 중간 지원금을 지원한다."- 연구 후에 지원금을 주면 지원금 사용 용도가 정해져 있는 것인지."그렇다. 연구 지원에만 사용할 수 있다."- 중소기업이 돈이 없어서 개발을 못하는데 어디서 돈을 구해서 성과를 내는지."VC(Venture Capital) 지원을 통해 초기 금액을 얻는다."- 대출(loan)과 보조금(Grant)의 비율."대출이 30%이하로 더 낮다."- 중소기업 지원을 할 때 우선 순위는."신청하는 기업마다 필요한 것이 다 다르기 때문에 그 기업이 필요한 것을 우선적으로 지원한다. 기업일 때는 언제든지 지원해도 되는데 연구일 경우 동일 분야는 1년에 몇 번 하는 식의 제한이 있다. 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영수증(증빙)이 매우 중요하다. 연구에 사용된 비용을 측정할 때 영수증을 사용하여 증빙한다. 공인회계법인을 통해 증명 받아야 한다. 가끔은 감사를 나가서 확인한다."- 중소기업들이 R&D자금을 지원받을 때 자생력을 갖춘 상태에서 TEKES로부터 지원을 받을 수 있다고 하는데."지원한 프로젝트를 승인하기 전에 실현가능성이 있는지에 대해 확인한다. 펀딩 신청자들이 1년 정도 목표를 세우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는지 확인하고 그것을 성공하면 지원금을 늘린다. 한 번에 다 주는 것이 아니라 단계적으로 지급하는 방식이다."- 다른 연구소에 대한 펀딩 방식이 기업한테 하는 펀딩 방식과 같은지."비슷하다. 연구하는 사람들의 결과물은 과학적인 근거에서 나온 것이기 때문에 따로 조사하지 않는다."◇ 성과 관리 관련 질의응답- R&D에 대한 성공여부와 그동안 투자된 비용 등은 TEKES에서 조사하는지."TEKES에서 조사한다."- 연구개발이 성공했다고 하는 기준은."기업은 제품을 생산하는 것이 성공의 기준이다. 작년에 했던 프로젝트 숫자들을 보면 2,010의 프로젝트 중에 제품으로 나온 것이 1,880개이고 나머지는 아직도 진행되고 있다. 전체 지원 기업 중 1%정도가 파산한다."- R&D가 끝난 이후에 성과 조사와 관리는."외부에서 전문가를 채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TEKES 안에 평가하는 그룹이 있고 5년 정도 진행한다."- 중간에 중단되는 프로젝트의 비중은."실패를 실패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성공을 위한 밑거름이 되기 때문에 실패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특허 관련 질의응답- 1,250번의 특허가 있었다는데 특허출원비용에 대한 지원이 있는지."연구자가 지불하나 보조금(Grant)지원을 받으면 40%정도 TEKES가 지불한다."- 특허를 낼 때 통상적으로 얼마나 비용이 드는지."핀란드에는 정해진 가격이 있고 이외에는 몇 개의 국가의 특허권을 포함하는가에 따라 가격이 다르다. 핀란드에만 특허를 낸다면 개인적으로 내는 비용은 200-300유로이고 법률가가 필요하면 돈이 더 많이 든다."- TEKES의 지원을 받지 않은 회사가 특허를 받을 때 그것을 지원하기도 하는지."TEKES가 관여하는 것은 아니고 중소기업이 특허를 받는 것만으로는 지원을 못 받는다."
-
□ 방문개요구분내용일시2016. 1. 22(금)연수내용보다 나은 도시개발을 위한 프로젝트 사례면담자 방문 사진 □ 연수내용◇ 로토루아 시 개요○ 로투루아 시(Rotorua District)는 행정구역상 베이 오브 플랜티(Bay of Plenty) 지역에 속한 도시로서 면적이 2,708㎢이며 와이카토 지역과 경계를 이루고 있다. 거주 인구는 약 68,000명이며 약 20%는 농촌지역에 거주하고 있다.○ 뉴질랜드에서 9번째로 큰 인구 규모로 2001년 이후 매년 2.2% 증가하고 있으며 이민자의 지속적인 유입으로 다문화적인 특성을 보이고 있다. 환경적으로는 18개의 호수와 4개의 강을 포함하고 있고, 지열(地熱)활동이 여전히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로토루아 시청에는 약 400명의 직원이 근무하며 시장임기는 4년, 의원임기는 3년이다. 12명의 의원이 있으며 거주 주민이 아니더라도 의원선거에 입후보 할 수 있다.무보수직으로 별도의 회기가 있는 것이 아니라 중요 사안이 있을 경우 주말을 이용해 회의를 개회한다. 그리고 1명의 임명직(사무총장)이 있다.○ 로토루아 시의 주 수입은 임업과 관광이다. 전체 GDP는 2억4천만 달러 정도이고, 거주 인구 외에 매일 약 1만 명 정도가 숙박하는 관광객이다. 로토루아 지역 주민들의 연간 소득은 4만 7천 달러 정도이고 연간 320만 명의 관광객이 찾는다.○ 로토루아 시는 지리적으로 북섬의 중앙에 위치해 도로, 철도, 항공 등의 접근성이 우수한 편이다. 인프라 환경은 지역경제 성장을 위한 지속적인 투자를 가능하게 하고 그 결과 임업, 관광, 교육 등과 관련한 산업이 모여들고 있다.또한 관광, 임업, 농업 등 전통적인 부문에서 혁신적인 변화가 나타나고 있는데, 과학적인 영농으로 토지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게 되면서 작은 규모의 농장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교육, 제조업, 소매업 등의 부문에서는 지역의 경쟁 환경으로 제품의 질이 더욱 향상되고 있다.◇ 로토루아 2030에 따른 우선순위 목표 설정○ 로투루아 시의회는 1명의 시장과 12명의 시의원 그리고 1명의 임명직(사무총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의원 중 상임위원이 전체적인 조직을 관리하고 있으며 △정책과 파트너쉽 △성과 및 홍보 △재정 △사무국 등의 4개 파트로 구성된다.2013년 선거에 따라 현재 여자 시장이 책임을 지고 있으며, 2030년까지 7개의 장기발전항목을 설정하였다.○ 7대 장기발전 항목은 △힘 있는 커뮤니티 △수요에 적합한 거주지 △놀기 좋은 곳 △생동감 넘치는 도시 심장부 △비즈니스 혁신과 번영 △고용 선택 △환경 개선이다.▲ 로토루아 시의회 조직도[출처=브레인파크]○ 7개의 장기발전 항목 중에서 2016년까지 달성하고자 하는 우선순위 목표를 4개 설정했다. 첫째, 도심에 사람들이 모여서 활동을 할 수 있는 생동감이 있는 도시로 발전시키는 것 둘째, 로토루아 지역이 신규 비즈니스에 매력적이고, 기존 사업은 발전할 수 있는 경제적 기반을 갖추는 것 셋째, 거주민들이 건강하고 생기를 찾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 넷째, 지속가능한 인프라구조와 수용가능하고 효과적인 의회서비스를 갖추는 것 등이다.◇ 지역발전 프로젝트 추진 사례○ 로토루아 시는 지역 및 커뮤니티에 장기적인 영향력을 줄 수 있는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 먼저 시내 중심 활성화 정책으로 도심광장 재생사업을 실시했다.보행자 중심의 도시구조 변경 프로젝트는 로토루아 시내 중심을 자동차보다는 보행자가 우선할 수 있도록 하는 사업이다.▲ 도심광장 재생사업 조감도[출처=브레인파크]○ 그린 코리도(녹색 통로) 사업은 자전거 도로 사업으로 자동차 없이도 시내를 편하게 다닐 수 있도록 추진됐다. 이 사업은 도시의 동쪽과 서쪽에 있는 기존의 자전거도로를 도심 내로 연결하는 프로젝트로 보행자, 자전거 타는 사람, 스쿠터 이용자, 휠체어 이용자 등을 위해 설계되었다. 총 397,000$가 투자되어 지난 10월 개통식을 했다. 투자비용의 57%는 뉴질랜드 교통국에서 제공했다.▲ 그린 코리도 안내표식과 도로[출처=브레인파크]○ 쿠이라우(Te Kuirau) 공원은 도심 공원으로 로토루아에 있는 무료 족욕탕 2곳 중 하나이다. 시민 및 관광객들이 편안하게 즐길 수 있도록 가족 친화적인 휴식과 레크레이션 장소로 개선하기 위한 프로젝트도 추진할 계획이다.○ 지역발전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과정에 마오리 족의 의견을 항상 반영하고 있다. 시의원 중 한명은 인맥관리 담당으로 마오리족과의 관계를 담당하고 있다.뉴질랜드의 땅 주인은 마오리족으로 로토루아 시에서 사업을 추진할 경우 마오리 단체와 사업 및 시설 설치에 대해 논의과정을 거치고 있다.□ 질의응답- 목표가 7가지라고 했는데, 포트폴리오에는 6개로 설명하는지."장기발전항목 7개 중 중복되는 내용은 포트폴리오를 표현할 때 조정해서 6개로 나왔다. 비즈니스 이노베이션의 두 가지 항목이 경제라는 연관성이 있기 때문에 포트폴리오에서는 한 가지로 표현되어 있다."- 12명의 시의원은 무보수인지."시의원을 하면서 다른 직업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풀타임이 아니다. 실제로 다른 직업을 가진 사람들도 많이 있다. 위원회와 같은 기관을 통해 급여를 받고 있다.시의원 연봉이 약4만4000달러, 부시장은 약 5만 달러, 시장은 약 10만5000달러이다. 이 금액은 뉴질랜드 수준에 맞춰보면 최저임금 수준이다. 그래서 대부분이 다른 일을 하면서 봉사수준으로 하고 있다."- 인구 구성 중에서 마오리의 비율은 어느 정도인가? 지역사회 화합을 목적으로 비례대표로 마오리를 뽑아야 하는지."전체 인구 중 37%가 마오리이다. 마오리에 우선권을 주는 것이 역차별적일 수 있기 때문에 우선권을 주는 것은 없다. 오랜 세월을 지내오면서 대부분 마오리와 섞여있기 때문에 누구나 다 마오리이다.모든 결정에 있어서 마오리의 의견이 참고가 되어야 한다. 마오리 원주민들만의 위원회 모임이 있고 그 중 두 명을 지명해주면 대표로 시의회 회의에 참석할 수가 있으며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할 수 있다. 의사투표권은 없으나 위원회 수준까지는 참여할 수 있다."- 로토루아 시 지속가능한 경제성장 중 관광촉진을 위한 외국인 바우처제도 등의 사업이 있는가? 그에 대한 예산은 어느 정도인가? 관광계획 수립은 공무원끼리 하는지 아니면 외부 전문가에 맡기는지."있다. 로토루아 관광업체들과의 협조가 가장 중요하다. 마케팅 비용은 연간 백만 달러 정도 펀딩을 하는데, 그 중 절반은 자체 부담이다.여기서 시의 역할은 인프라 구축이다. 마케팅은 업체들이 할 수 있지만 근교 교통개선과 같은 프로젝트는 시의 역할이라고 본다.""예를 들면 이 근방(테 푸이아 앞) 골프장이 있는데 전 세계 유일의 지열지대 위에 있는 골프장이다. 이런 곳도 하나의 큰 프로모션이 될 수 있고 골퍼들에게는 매력적인 곳으로 알려질 수 있다.골퍼들이나 관광객을 불러오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시의 역할은 인프라 제공 정도이다. 에너지 이벤트센터(컨벤션 센터)에서 1년에 한 번 전 세계 관광엑스포 행사를 한다."- 6개의 포트폴리오 달성을 위한 예산은 어디에서 오는지."매번 차이는 있다. 그린 코리도 같은 경우에는 전체 예산의 1/3은 로토루아 시에서 부담하고, 2/3는 중앙정부의 지원을 받고 있다. 모든 예산은 차이가 있다.예산집행의 최우선은 도로보수나 시를 유지하는 계획에 쓰이고, 장기발전계획에 관한 예산은 3년에 한 번씩 예산을 제출한다. 중앙정부와 시의 구성차이가 있다.예산집행의 우선은 도로개선 등이고 장기발전계획에 의해 예산투입은 매 3년에 한 번씩 예산을 세워 중앙정부에 제출한다.예를 들어 폐수처리시설의 예산책정 경우에도 차이가 있었다. 10년 전에는 중앙정부에서 7000만 달러를 지원했다. 지금은 폐수처리시설 운영비용의 50%는 중앙에서 부담하고 절반은 베이 오브 플렌티(Bay of Plenty)와 기타 등등에서 보조금이 나오고 있다."- 중앙정부에서는 환경보전을 위한 어떤 보조가 있는지."예를 들면 로토루아 호수가 폐‧오수 때문에 굉장히 오염이 되어있다. 호수를 깨끗하게 유지하고 싶지만 농장의 폐·오수가 강의 오염에 영향을 많이 준다.2800만 달러의 예산을 들여서 시설을 세워도 해결이 잘 안 된다. 그래서 중앙정부나 도 차원에서 농장에 대한 지도·관리를 해야 한다.이는 정부의 역할보다는 지방에서 자체적으로 해결해야 할 부분이다. 매 6개월마다 타라웨라 트러스터(Tarawera Trust) 2명, 베이 오브 플렌티 2명, 로토루아 2명, 중앙정부에서 1명이 모여서 회의를 한다."- 한국에서는 자전거도로를 설치하면, 차도를 줄이고 상가 앞의 주차장을 없애기 때문에 주민들의 불만이 많다. 여기에도 그런 불만제기들이 있는가? 그렇다면 어떻게 대처하는지."개인 이기주의적인 문제라고 생각된다. 그린 코리도 사업을 하면서 줄어든 주차면적은 40면에 불과하지만 더 많은 사람이 차를 사용하지 않으면 공기가 좋아지는 장점도 있다. 하지만 주변 상가들에서는 반대하는 서명운동을 하기도 했다."□ 시사점○ 뉴질랜드 로투루아 시(Rotorua Lakes Council)는 약 78,000명이며, 20%는 농촌지역에 거주하고 있다. 주 수입은 임업과 관광이다.○ 도시개발 주요사업으로는 부유습지 사업, 기존 자전거도로의 도심연결 프로젝트, 청소년 친화공원 조성사업, 보행자 중심의 도시구조 변경 프로젝트, 로토루아 하수도처리 개선사업, 협력이 강한 지역사회 구축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로토루아 시는 전체인구의 37%정도가 마오리족으로 구성되어 있고 마오리 원주민 의견을 반드시 반영하기 위해 2명의 선출직 의원을 참여시키고 있다.○ 로토루아 시는 뉴질랜드에서 지속적으로 관광도시로 뽑히고 있다. 한국의 경우 관광발전 요인이 있으면 외부자본을 투입하여 편하고 멋진(인공적인) 관광지 개발에 주력하려고 하는데 시설의 개량, 증설에 투입하지 않고(도로망, 상하수도 제외) 프로그램에 주력하는 것이 인상적이다.○ 청소년 친화적인 공간 개발을 위하여 60만 달러를 투자하여 청소년 친화공원 개발, 스케이트 장을 조성하였다. 또한 보행자 중심의 도시구조 변경 프로젝트를 추진하였다.○ 로토루아 시의 지역정책별을 수행하는 과정은 한국의 중앙집권적 전달에 의한 기초자치단체의 업무 수행 절차에 참고할 사항이다. 지역 주민들을 위한 현실적·실질적인 정책개발에 대한 노력 또한 벤치마킹 요소이다.○ 로토루아 시의 주요 지역개발 정책 방향은 시내 활성화, 경제 활성화, 거주자 지원으로 구분되어 있다. 시내 활성화 사업중 특히 자전거도로인 녹색통로 개설에 있어 소수 도심 상가의 불만보다 자전거 활성화 정책을 통한 녹색환경 조성과 교통 혼잡 해결 등을 위한 대승적 관점에서 정책을 과감히 추진하는 점이 주목할 요소다.○ 로토루아 시는 보다 나은 도시를 만들기 위해 Green Corridor 사업, 청소년 친화공원 조성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Green Corridor 사업 추진과정에서 주민의 심한 반발이 예상되지만, 강한 추진력과 지속적인 소통, 대안 마련 등을 통해 성공적으로 추진한 것은 참고할 점이다.○ 친환경 도시 조성을 위한 자전거 도로, 자연환경 보존을 하면서 지역정책을 개발‧추진하는 모습이 인상적이다. 연간 300만 명이 넘는 관광객 때문에 호수 수질 오염이 진행되며 정화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친환경 하수종말 처리시설 등에 대한 지속적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다.○ 로토루아 시는 주 수입원이 관광과 임업인데 인위적 관광지 개발이나 임산물 개발보다는 사람과 자연이 함께 공생한다는 모토 속에 모든 시 정책들도 이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특히 소수 원주민인 마오리족에 대한 각종 배려와 함께 커뮤니티를 중시하는 인구 7만 명이 안 되는 생태 및 관광도시로서, 작지만 살기 좋고 강한 도시의 특성을 적극적으로 지켜나가고 있는 점은 눈여겨 볼 점이다.○ 시의회의 의원들의 경우 무보수 명예직에 가깝게 운영되고 각 분야의 전문성, 대표성을 지녀, 매우 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지자체의 면모를 볼 수가 있었다.○ 시의원중에서 시장과 부시장 선출하는 등 뉴질랜드 행정체계의 특징과 관련해, 로토루아 시 자체의 지역개발정책을 수립하고 추진하는 과정에 시의회와 시정부 간의 긴밀한 협력이 인상적이었다.시의원이 6개의 각 포트폴리오를 할당해 전담 관리하고 있으며, 세부적인 프로그램 기획과 추진에도 직접적으로 관여하고 있다.
-
프라하 에코센터(환경교육센터)(Lesy hl. m. Prahy Středisko ekologické výchovy)Práčská 1885, 106 00 Praha 10 – ZáběhliceTel: +420 775 018 630www.lhmp.cz/ekoContact: Palickapalicka@lesy-praha.cz브리핑 담당자: Ing BenesTel: +420 777 719 009방문연수체코프라하10/30(월)9:30□ 교육내용◇ 지역별, 그룹별, 주제별로 운영되는 체코 전역의 에코센터○ 체코에서는 환경 부문의 네트워크와 환경교육을 위해 20년 전부터 지역별로 에코센터(Ekocentrum)를 운영하고 있다.▲ 에코센터 주변에 위치한 숲에서의 직원들[출처=브레인파크]○ 이들 에코센터는 기본적으로 지역 중심으로 활동하지만 목표그룹별(취학전 아동, 학생, 교사, 일반인, 공무원, 기업), 주제별(숲, 물, 폐기물, 자연보호, 전통공예, 지속가능개발)로도 활동하고 있다. 이들 에코센터의 활동은 체코 환경부의 평가에 따라 1~5등급으로 등급이 매겨진다.◇ 에코센터 중 가장 높은 등급을 받은 프라하 환경교육센터○ 프라하에는 이러한 에코센터 17개가 활동하고 있으며, 연수단은 그 중에서도 숲, 물과 수로, 동물보호 중심으로 활동하는 에코센터, '프라하 환경교육센터'를 방문하였다. 프라하 환경교육센터는 에코센터 등급 중 가장 높은 5등급을 받았다.○ 프라하 환경교육센터는 1992년 숲과 물 관리에 중점을 두면서 프라하의 어린이부터 노인까지 전 세대가 프라하의 자연에 익숙해지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설립되었다.이후 1998년 작은 수로 유지관리 센터를 인수하였고, 2007년에는 프라하에서 가장 큰 조경 공원인 로열 스트로 모프카(Royal Stromovka)를 관리하기 시작했다.○ 2008년에는 생태교육센터를 설립, 본격적으로 환경친화적인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2011년에는 프라하 숲과 공원에 양봉장을 조성하여 현재 10개의 사육 상자를 가지고 있으며 2012년에는 야생동물을 위한 비상 방송을 시작하였다.○ 센터는 프라하시청 환경보호부의 관리하에 있으며 생태교육부서와 야생동물구조부서로 나뉘어있고 약 240명의 직원이 고용되어 있다.총 2,900㏊ 규모의 프라하 숲과 약 3,800그루의 나무를 관리하고 약 300㎞의 작은 수로와 프라하 소유의 130개 상수도, 145개의 저수지를 관리하고 있으며, 야생 동물을 위한 시설도 설치하여 관리중이다.◇ 수로ㆍ숲ㆍ교육ㆍ동물보호를 중점적으로 활동○ 센터의 활동은 크게 4가지로 첫째, 수로와 저수지 둘째, 숲과 원예 셋째, 생태교육 넷째, 야생동물 보호로 구분된다.○ 센터가 제공하는 세부 서비스는 다음과 같다.▲ 에코센터 양봉장에서 교육 받는 학생들[출처=브레인파크]• 수자원 관리 작업 및 하천 관리, 유지• 관련 기계 및 장비 대여• 목재 및 칩, 식물, 벌꿀 판매• 벌재 전문 처리 및 목공 작업• 단층 촬영에 의한 수종 건강 진단• 숲과 수로, 저수지 정보 제공• 교육프로그램 제공• 야생동물 구조○ 수로 건설 및 재생, 수로 처리 및 정화, 수질 관리, 수로 구조의 관리 등 수로 및 저수지의 재활성화 작업, 어려운 지형에서의 작업, 청소, 수질 관리 등에 적합한 기계와 장비 대여 서비스도 제공한다.○ 그밖에도 지름 35㎝ 정도의 가지, 줄기와 같은 목재를 제공하기도 하고, 나무를 변형시키는 형태의 벤치와 정원 가구도 생산하고 있다.◇ 수로: 2003년부터 프라하 저수지 재활성화 작업 시작○ 프라하는 2003년부터 '프라하 저수지 재활성화' 작업을 시작하였고, 수로와 관련하여 환경교육센터는 다음과 같은 업무를 담당한다.▲ 프라하 수로 분포[출처=브레인파크]• 수로보호를 위한 지속적 모니터링과 장애물 제거• 하천의 유지 보수• 강 기슭 식물 관리• 지속적 수질 측정• 수질 악화에 대비한 긴급 서비스• 홍수상황 모니터링○ 프라하의 저수지는 △댐(상수도원) △연못(주로 조경 및 생태기능을 위해 설계됨) △저장탱크(강우량 억제 저수지) △비저장탱크(빗물오염을 파악하기 위한 빗물 배수시설) △건식탱크(홍수를 대비한 물 포집 탱크)로 구분된다.○ 2007년에는 특정보호지역에서의 어종을 조사하여 작은 수로에서의 어류 공동체를 연구, 200m씩 섹션을 만들어 하천별 어종 지도를 만들기도 하였다. 환경정책연구소와 함께 간행한 '사유지의 빗물관리방법 지침'도 배포하고 있다.◇ 숲 : 프라하시가 소유한 2,900㏊의 숲 관리권 소유○ 프라하의 숲은 1923년 400㏊만 관리, 보호를 받았으나, 점차 시정차원에서 관리를 하면서 프라하 전체 숲이 5,000㏊로 늘어나 도시 전체 면적의 10%를 차지하기에 이르렀다. 이에 환경교육센터는 전체 5,000㏊ 중 프라하시에서 보유한 2,900㏊의 숲을 관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프라하는 지속적으로 조림과 관련하여 지역 주민을 육성하고 휴양을 위한 장소, 침식 방지를 위한 노력을 계속하여 매년 약 10㏊의 숲이 늘고 있다. 프라하 주민 약 110만명이 휴양을 위해 숲을 이용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주로 침엽수, 낙엽송, 소나무 등이 심어지고 있는데 환경교육센터에서는 '숲 유치원(클럽)'에서 모종과 묘목을 재배하고 조림, 조림 후 정기검사, 해충 퇴치, 채광 관리까지 이루어진다.○ 그 밖에 숲 복원, 재활 및 관련 도로 유지 보수, 쓰레기 수거, 오락요소 설치 등을 수행한다. 또한 각종 화재와 시설파괴 등을 관리하고 해충 방재 등 산림 모니터링도 수행한다.○ 또한 프라하 전역에는 3,965㏊의 공원 및 정원이 있고 이는 도시의 8%를 차지하는 면적이다. 이 중 229㏊를 환경교육센터에서 관리한다.◇ 교육 : 체코 어업 연합과 협력한 수로 관련 프로그램 운영○ 환경교육센터에서 운영하는 생태교육부서(센터)는 프라하시의 지원으로 2008년에 설립되었다. 2011년부터는 양봉장을 조성하였다.○ 생태교육부서는 시민 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해 수로와 숲과 관련한 다양한 교육을 제공하고 있으며 센터의 직원들은 임업 교육 뿐 아니라 환경 관련 교육과정을 이수한 사람들이다.○ 센터는 풍부한 경험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학생과 가족, 노인을 위한 숲 교육, 지질학적으로 흥미로운 지역에 대한 전문가투어, 일반적인 산림 나무 심기와 같은 프로그램을 제공하기도 하고 고등학생을 위한 실용교육도 제공한다.○ 이를 위해 프라하 외곽에 에코센터 프랄레스(Ekocentrum Prales)라는 공간을 마련하여 각종 행사, 워크숍을 진행하는 공간을 마련하였다.또 3군데에서 주민 클럽 방식의 숲 유치원을 운영한다. 주로 3세~6세의 어린이를 대상으로 숲 환경에서 유치원 교육을 제공하고 있다.○ 숲 관련 주요 프로그램으로는 △숲의 마법 △숲의 삶 △겨울철 숲 △숲 게임 △전통 사냥 △동물 구조 △숲의 밤 등이 있고 '양봉장의 꿀벌'과 수로와 관련한 교육으로 △워터데이(물놀이와 관찰) △물 생활(물의 생태계) △프라하 연못 탐험과 낚시(체코 어업 연합과 협력) 등의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다.◇ 인공습지를 활용한 하천복원 현장 견학○ 연수단은 프라하 환경교육센터에서 의욕적으로 추진한 하천복원사업 현장을 견학했다. 여기서는 곳곳에 인공습지를 조성한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나뭇가지나 바위를 이용해서 물이 흐르다가 부딪히고 깊은 곳을 돌다가 다시 조용히 흐를 수 있도록 유속에 변화를 주면서 자연적으로 물이 정화될 수 있도록 했다.○ 좁고 깊은 수로를 넓히고 물의 흐름을 강 중심 쪽으로 모아주는 대신, 배후에는 자연스럽게 습지가 조성되도록 했다. 프라하 블타바강의 지류는 이런 생태복원 공사를 거쳐 물고기가 돌아오고 수질도 개선되는 등 자연이 다시 살아났다.지역주민에게 좋은 친수공간을 제공하고 있다고 한다. 하천복원 이후 환경교육센터는 생태 교육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개발해서 운영하고 있다.○ 연수단의 방문 후 환경교육센터 공식 홈페이지에는 한국의 전문가들이 프라하의 수로에서 생태계 보호 아이디어를 얻고 갔다는 소식을 싣기도 하였다.□ 일일보고서◇ ㅇㅇㅇ○ 인공저수지나 자연저수지가 함께 공존하면서 개발로 인하여 벌어진 자연 파괴적인 요소를 어느 정도 극복하는 모습이 인상 깊었으며 자연의 원시성으로의 회귀를 위한 숲 치료와 강 보존이 조화를 이루는 프로그램 개발이 잘 되어있다.◇ ㅇㅇㅇ○ 숲과 물관리에 중점을 두고, 다양한 자연들과 함께 가족 및 학생들의 교육을 제공하는 장소이며, 환경친화적인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ㅇㅇㅇ○ 숲과 물을 중점적으로 관리하며 자연과 함께 가족 및 학생들의 교육을 제공하는 장소이다. 친환경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ㅇㅇㅇ○ 프라하 도심 속에 기존 자연그대로의 하천을 이용하여 에코센터를 만들어 놓은 것을 보면 자연을 인공적으로 개발하기 보다는 자연 그대로의 환경은 손대지 않고 도심과 자연을 조화시킨 모습이 매우 인상적이었다.무엇보다 도심의 개발이 더욱 요구되는 현대에서 지역 주민들이 오히려 불편을 감소하더라도 자연의 모습을 그대로 유지하는데 일조하는 모습이 매우 인상적이었다.◇ ㅇㅇㅇ○ 주민들의 산책코스로 많이 사용되고 있어 인간의 편의성을 위해 강변을 개발할 수 있었으나 자연 그대로로 유지하고 있으며 주민들도 자연그대로의 강변을 이용하는 모습이 인상적이다. 교육센터 안에 물길을 활용해 보를 만들어 각각의 다른 생태계를 조성시켜 놓은 점이 매우 흥미로웠다.◇ ㅇㅇㅇ○ 프라하에서 가까운 외ㄴ 곽지역에서 환경 교육센터가 위치해 흥미로웠다. 나무뿌리로 물고기의 생태계를 형성하거나, 유기질 비료의 종류를 다양하게 하는 등 환경보존과 함께 여러 실험이 진행되고 있어 더 효율적이라고 생각한다.
-
2024-05-22▲ 일본 노우린추오킨코(農林中央金庫) 빌딩 [출처=위키피디아]일본 노우린추오킨코(農林中央金庫)에 따르면 1조 엔 규모의 증자를 검토 중이다. 미국 국채 등 채권을 운영하며 거액의 손실을 입었기 때문이다.향후 출자자인 JA 등과 구체적인 협의를 진행할 계획이다. 자본을 확대해 재무 건전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 것이다.국내에서 저금리 환경이 계속되면서 미국 국채를 중심으로 외국 채권에 대한 투자를 확대해왔다. 하지만 미국의 금리 상승 등의 영향으로 금리가 낮았을 때 구입한 채권의 가치가 하락한 상황이다.채권을 포함한 손실이 크게 팽창해 2025년 3월기 최종 이익이 약 5000억 엔의 적자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2009년 국내 다른 금융기관에 비해 외국채권의 투자 비중이 크고 유가증권 관련 손실이 확대되며 1조9000억 엔의 자본을 늘렸다. 2008년 리만브라더스 사태 등 금융위기로부터 큰 타격을 받았다.참고로 노우린추오킨코는 일본 전역에 걸쳐 5612개에 달하는 농업협동조합, 수산업협동조합, 임업협동조합들로 구성된 협동조합은행이다.
-
2024-05-18기관명: 하북성 농업청발표자명: Yuan Guangzhen 하북성 대외경제기술협력부장河北省石家庄市裕华东路88号하북성 석가장시 유화동로 88호No.88 Yuhua East-road, Shijiazhuang, Hebei, P.R.China 브리핑 ③중국 하북성□ 브리핑 : 유안 궝줸◇ 하북성 농업청의 업무 진행 내용○ 현재 하북성은 중앙 정부와 지방 정부의 지원을 통해 농민들이 유기질 비료를 사용하게 독려하고 있다. 정부에서도 많은 지침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농민들에게 유기질 비료 사용에 관해 홍보하는 역할과 유기질 비료 제품에 대한 품질 감독이다. 실효 검사 등을 진행하고 이를 통해 농민들이 질 좋은 제품을 사용하게 한다.○ 농민들에게 홍보를 할 때 현장으로 나가서 직접 모아서 하거나 농업청으로 불러서 진행하기도 한다. 유기질 비료에 관해서만 하는 것이 아니라 영농에 관한 교육을 진행한다.◇ 중국의 대표적 농업지역, 하북성○ 하북성은 북경직할시와 천진직할시를 둘러싸고 있으며 보아이만과도 인접해 있다. 하북은 황하 강의 북쪽을 뜻한다.북경과 천진을 둘러싸고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경기도와 같은 수도권을 형성하고 있어 지리적 이점을 고려할 때 잠재력이 큰 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성도는 석가장(스자좡)이다. 면적은 약 19만 ㎢이며 인구는 6,800만명, 11개 대도시와 22개 시, 108개 현, 6개 자치현으로 이루어져 있다. 보하이 연해지역을 포함한 100여개 시와 현을 개방하여 120여개 국가와 무역을 교류하고 있다.○ 중국의 대표적 농업 지역으로 2000년 농업 생산량이 전체의 6.1%를 차지한다. 성 전체 면적의 34%가 농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개간 지수도 전국 평균치를 웃돈다.농지 중 밭 면적이 98%를 차지한다. 대규모 수리공사를 통하여 스진(石津)과 장푸(漳滏) 2개 지역의 관개 면적이 2000만㏊가 넘으며, 농업 기계화율도 전국에서 상위에 속한다.○ 생산량의 비중은 농업이 65.6%로 가장 많고, 나머지는 임업 2.1%, 목축업 30.0%, 어업 2.3%이다. 총 생산량은 산둥(山东)과 허난(河南), 장쑤(江苏), 광둥(广东)에 이어 5번째이다.밀·콩·땅콩 생산량이 전국 3위이고 옥수수는 4위, 깨는 5위이다. 중남부 지역은 솜 생산지로 유명하다. 장베이(张北) 일대는 주요 목장 지역으로 쇠고기와 양고기 생산량이 전국 상위에 속한다. 배, 포도, 사과 생산량은 각각 1, 2, 5위이다.◇ 국가농업첨단과학기술산업 시범지역으로 선정된 하북성○ 하북성도 중국 중앙정부와 발맞춰 3농 문제의 해결에 중점을 두고 현대농업을 발전시키겠다는 내용을 보고한 바 있고 농업의 규모화와 표준과, 청정 생산을 추진하고 50개 분유용 젖고 목장, 비육소 양식장 건설목표를 내세웠다.○ 현대농업화의 일환으로 2015년 9월 ‘중국 농업 실리콘밸리’를 모토로 하북성정부, 중국농업대학, 하북성 발전개혁위원회, 농업청, 과학기술청, 농업선도기업들이 모여 하북성의 저저우시(涿州市)을 ‘국가 농업첨단과학기술산업 시범구’로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앞으로 저저우시는 도농복합발전의 시범지로의 입지를 강화하겠다는 입장이다.○ 실제 중국농업과학기술원, 농업부 연구기관, 중국농업대학, 북경대학 농학원 등이 하북성 저저우로 이전하고 ‘헤요우싼싱(惠友三兴)’, ‘루위엔농업(绿原农业)’, ‘바이롱그룹(百荣集团)’등 18개의 농업 관련 기업들의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다.중국농업대학 저저우 과학기술원의 경우 2만1,600무(亩)의 면적을 차지한 중국에서 가장 큰 실험실습기지이기도 하다.◇ 건강한 사육방식 모델을 위한 가축 표준화 사육 프로젝트○ 하북성 농업청과 하북성 재정청은 2015년 가축표준화사육 프로젝트 실시지도의견을 발행 배포하고, 하북성 가축표준화사육 추진에 들어갔다.프로젝트가 건강한 사육방식을 채용한 사육장에 치중하여 생태사육과 표준화 건강사육 등 사육모델에 대해 중점 지원키로 하였다.○ 조건에 부합하는 보조대상은 돼지 연간 출하 5천~9천999두 규모농장에는 매 농장 보조자금 50만 위안, 연간 출하 1만~5만두 규모농장에는 매 농장 보조자금 100만 위안이다.산란계 사육 1만~4만9천수 규모농장은 매 농장 보조자금 25만 위안, 사육 5만~10만수 규모농장은 매 농장 보조자금 50만 위안이다.또한 육계 연간 출하 5만~9만9천999수 규모농장은 매 농장 보조자금 25만 위안, 연간출하 10만~100만수 규모농장은 매 농장 보조자금 50만원이 지원된다.◇ 화학비료 사용량 제로성장 캠페인○ 중앙 정부의 정책과 맞물려 하북성에서도 화학비료 사용량 제로성장 캠페인을 운영하고 있다. 이는 농업의 방식을 전화하고 구조를 조정하기 위한 필요에 근거하여 추진된 내용이다.○ 2018년까지 우선적으로 화학비료 사용량 제로성장 실현을 제시하고 조직적 지도를 강화해 책임자들을 통하여 조치들이 행해질 수 있게 한다. 정책적 지원을 확실히 하고 과학 기술과 같은 지원 역량을 확대한다.무엇보다 생산 주체로서 농민들이 주요하기에 홍보 및 교육을 강화하여 농민들 스스로가 캠페인에 동참하고 과학적 시비를 하고자 하는 분위기를 만들고 농민과 기업의 협력을 강화한다.□ 질의응답- 정부에서 유기질비료 지원을 한다고 했는데 지원은 세부적으로 구입을 할 때, 생산 회사 지원, 유통의 지원, 기술에 있어 지원 등으로 나뉠 수 있을 것 같은데 하북성 차원에서는 어떤 부분에서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는지."농민들이 구입 할 때 정부차원의 지원 이루어진다. 부숙재 구입에 있어 지원을 해준다. 2015년에 유기비료 쓰는 농민들에 있어 중앙정부차원에서 총 2천 6백만 위안을 지원 해 주었다."- 한국에서는 유기질 비료 회사에 정부에서 시설에 관해 지원을 해준다. 중국은."자금에 대한 지원이 아니라 부가세 등의 세금 면제이다."- 하북성 자체에서 기술 개발 등에 관한 지원을 하는지."우리 기관에서는 농민들에게 홍보를 주로 하는 일을 해서 기술 개발에 관한 지원은 잘 알지 못한다."
-
2024-05-12□ 서 울○ 전기차 보급·생활권 5분 충전망 구축○ 서울형 스마트 헬스케어, ‘온서울 건강온’○ 지하도로 시대 개막○ 6대 재개발 규제 혁파로 주택공급 확대○ 1인가구 병원 안심동행□ 부 산○ 코로나 유행 속 부산국제영화제 성공 개최○ 구글 스타트업 캠퍼스 설립○ 대도시 간 연결하는 동해남부선(광역전철) 개통○ 넷플릭스 촬영지, 부산 명소 주목○ 부울경 메가시티 가시화□ 대 구○ 도시철도 엑스코선 예타 통과○ 대구~광주 달빛고속철도 건설 추진○ ICT 활용 소방정보화 시스템 지원기반 확대○ 30년의 간절함, 안전한 취수원 확보○ 대구 배달앱 “대구로” 출시□ 인 천○ 인천 에코랜드 조성계획 발표○ 수돗물 ISO22000 국제인증 취득○ 수소생산클러스터 예타대상 선정○ 제3연륙교 착공○ ’22년 국비 5조 3,380억 원 확보□ 광 주○ 광주형 일자리 정착 및 캐스퍼 양산○ 2025 세계양궁선수권대회 및 AI페퍼스 배구단 광주 유치○ 달빛고속철도 건설 추진○ 양육지원 시책, 맘(MOM) 편한 광주 만들기○ AI 산업집적단지 조성□ 대 전○ 온통대전 성공적 안착, 누적 발행액 3조원 돌파○ 대전 중심 광역도로·철도망 재편, 충청권 메가시티 가시화○ 전국 최초 최첨단 구급교육센터 개청○ 도시철도 2호선 트램 건설○ 유성시외버스정류소 40년만에 새단장 이전□ 울 산○ 3조 원 규모 울산권 광역철도 확정, 울산~김해(진영) 37분○ 친환경 수소 모빌리티 산업 기반 조성○ 운문댐 울산공급 확정으로 안전한 먹는물 확보○ 울산 신혼부부 주거지원 사업○ 민선7기 정부합동평가 ‘3년 연속’ 최우수 달성□ 세 종○ 국회 세종의사당 설치 확정○ 충청권 4개 시도 메가시티 조성 추진○ 세종예술의전당 준공, 시범공연 실시○ 자치경찰제 출범○ 한글사랑도시 세종 기반 조성□ 경 기○ 공직선거법 위반 우려로 2021년 설문조사 및 성과발표 미실시□ 강 원○ 2022년도 국비 8조 1천억원 이상 역대 최대 확보○ 역대 최대 규모 수출 달성 및 대통령 기관표창○ 2022 강원세계산림엑스포 추진 박차○ 전국 최초 강원형 취직 사회책임제 시행○ 전국 최초 2040 탄소중립 추진전략 발표 및 탈석탄동맹 가입□ 충 북○ 민선5~7기 투자유치 100조원 달성으로 미래 먹거리 기반 확보○ ’22년 정부예산 역대 최대 7조 6,703억 원 확보○ 충청권 광역철도망 제4차 국가철도 계획 반영○ 중부선 확장공사(서청주~증평) 타당성 재조사 통과○ 세계무예마스터십위원회 유네스코 상임자문기구 승인 및 국제경기연맹총연합회(GAISF) 가입□ 충 남○ 충남 서산 공항 건설 가시화○ 충남형 더 행복한 주택 ‘꿈비채’건설○ 서해선 - 장항선 KTX 도입○ 태안~서산, 보령~대전 고속도로 국가계획 반영○ 보령해저터널 개통□ 전 북○ 「한국 탄소산업의 수도, 전라북도」실현○ 새만금 인프라 대폭 확충, 세계잼버리 붐 조성○ 생태문명시대, 여행체험 1번지 조성 및 자존의식 고취○ 스마트 농생명산업의 신 성장동력 확보○ 국가예산 9조원 시대 눈앞□ 전 남○ 전남의 갯벌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세계 최대 해상풍력으로 한국판 뉴딜 선도○ 국립 한국섬진흥원 유치 쾌거○ 섬 주민 불편해소, 천원 여객선 시대 개막○ 여수·순천 10·19사건 특별법 국회 통과□ 경 북○ 전국 최초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 시행○ 새바람 행복버스 민생투어 시행○ 범도민 이웃사랑 행복 나눔 캠페인 추진○ “애플”, R&D 투자협약 체결○ ’21년 내부 청렴도 1등급 달성□ 경 남○ 발 빠른 ‘코로나19 대응’, 도민 일상 회복 지원○ 부울경 광역철도, 남해~여수 해저터널 건설○ ‘부울경 메가시티’ 조성 순항○ 청년이 참여하고 소통하는 청년 정책 ‘활짝’○ 경남 조선업 재도약 기틀 다지기 주력□ 제 주○ 4․3특별법 개정으로 희생자 명예회복 기반 마련○ ‘청정제주 송악선언’에 따른 난개발 차단조치 시행○ ‘탐나는전’ 최대 발행으로 소비진작·경제활력 제고○ 제주안심코드 이용 활성화 추진○ 제3차 국제자유도시 종합계획(’22~’31년) 수립□ 2022년 새해 달라지는 것□ 세제‧금융 분야◇ 난임시술 등에 대한 의료비 세액공제 확대○ 난임시술에 대한 세액공제율을 기존 20%에서 30%로 확대○ 미숙아·선청성이상아의 의료비 세액공제율을 기존 15%에서 20%로 확대 및 공제한도 폐지◇ 경력단절여성 고용기업 세액공제 요건 완화○ 경력단절여성 인정 기간* 요건 완화*(기존) 퇴직후 3년이상 15년이내 동종업종취업 (변경) 퇴직후 2년이상 15년이내 동종업종 취업◇ 청년 자산형성 지원 사업(펀드·적금)○ 청년형 장기펀드(연 납입 한도 600만원)에 대한 소득공제 40%를 적용○ 청년희망적금(연 납입 한도 600만원)을 출시, 이자소득에 대해 비과세 적용◇ ‘착한 임대인’ 세제지원 대상 확대 및 연장○ 상가임대료를 인하한 임대사업자의 임대료 인하액에 대한 세액공제 적용대상 확대* 및 적용기한 ’22.12.31일까지 연장* 임차시기 요건을 기존 ’21.1월 이전에 임차한 자에서 → 변경 ’21.6.30일 이전에 임차한 자로 확대 등□ 교육‧보육‧가족 분야◇ 초·중등 사립학교 채용방식 개선○ 교원 필기시험을 교육감에 위탁(’22.3월~) 사무직원 채용시 공개전형을 의무화(’22.2.11.~)◇ 교육급여 보장수준 강화○ 저소득가구 학생에 대한 교육급여 지원금액을 평균 21.1% 인상*(’22.3월~)* 초등 331천원(+45천원), 중등466천원(+90천원), 고등 554천원(+106천원)◇ 인터넷게임 셧다운제 폐지○ 셧다운제를 폐지하고, 부모와 자녀 등이 요청하면 게임 이용 시간을 자율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게임시간 선택제’로 제도 일원화◇ 1인가구 사회적 관계망 지원 강화○ 1인가구의 사회적 관계망 형성 지원을 위해 전국 가족센터(12개소*)에서 자기개발, 상담 등의 프로그램 제공◇ 여성청소년 생리용품 바우처 지원 확대○ 지원대상을저소득층만9~24세여성청소년으로 확대*, 지원액도 연144천원(+6천원)으로 인상* (기존) 저소득층 만 11~18세 지원◇ 청소년부모 아이돌봄 지원 확대○ 학업(취업)과 육아를 병행하는 청소년 부모를 위해, 아이돌보미 이용시 소득에 따라 본임부담금 최대 90% 지원□ 행정‧안전‧질서 분야◇ 차세대 전자여권 전면 발급○ 기존 여권보다 내구성·보안성이 강화된 차세대 전자여권 발급 개시(’21.12.21~)※ 사증면수 확대, 디자인에 우리문화 유산활용, 주민등록번호 제외, 다양한 보안요소 적용 등◇ 특별지방자치단체 제도 시행○ 2개 이상의 자치단체가 공동으로 협력하여 광역적 사무를 처리하는 특별자치단체 제도 시행(’22.1.13.~)◇ 지방의회 인사권 독립○ 지방의회 의장이 소속 공무원에 대한 임명·교육훈련·복무·징계 등 자율적 인사운영 실시(’22.1.13~)◇ 주민조례청구제도 요건 완화○ 청구요건 완화* 및 온라인 청구 등 청구 제출 간소화 및 조례안 작성 지원*청구권자 연령 19세 이상→ 18세 이상으로 하향조정◇ 보행자 통행우선권 확립○ 중앙선이 없는 보·차도 미분리 도로에서는 보행자에 대한 통행우선권 부여(’22.4.20.~)◇ 공직자의 이해충돌 방지법 시행○ 공직자의 직무수행 관련 사적 이익추구를 예방·관리하는 공직자의 이해충돌 방지법 시행(’22.5.19.~)□ 보건‧복지‧고용 분야◇ 양육부담경감을위한영유아기집중투자시행○ 출생시 첫만남이용권(바우처, 200만원) 지급○ ’22년 출생아부터 만2세까지 영아수당(월30만원) 지원◇ 저소득 지역가입자 연금보험료 지원○ 실직·휴직 등의 사유로 보험료 납부를 면제받은 자가 보험료 납부를 재개하는 경우 보험료의 50%* 지원*월 최대 45천원, 12개월 한도◇ 관공서 공휴일 민간기업 적용 확대○ 5인 이상 30인 미만의 민간기업도 명절, 국경일 등 관공서의 공휴일과 대체휴일을 유급휴일로 보장◇ 플랫폼종사자 고용보험 적용 시행○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는 종사자(퀵서비스 기사, 대리운전기사) 등도 고용보험 확대 적용** (’21.7월) 특수형태근로종사자 12개 직종 고용보험 적용◇ 최저임금액 인상○ 시간급 9,160원(전년대비 +440원)으로 인상◇ 국가·지자체 등 장애인 의무 고용률 상향○ 국가·지자체, 공공기관(근로자 50인이상)의 장애인 의무고용률을 3.6%(+0.2%p)로 상향□ 문화‧체육‧관광 분야◇ 통합문화이용권 지원 확대○ 연간 10만원의 통합문화이용권(문화누리카드) 지원을 저소득층 100% 지원으로 확대** (기존) 저소득층 중 선착순 일부 → (변경)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6세이상) 전체◇ 관광사업체 대상 금융지원 강화○ ’22년 상환기간 도래 원금에 대하여 1년간 상환유예 및 만기 연장 추가 시행, 최대 1%이자 감면 지원 등□ 환경‧기상 분야◇ 탄소중립실천포인트제 시행○ 전자영수증 발행, 리필스테이션 이용 등 일상 속 탄소중립 실천 시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탄소중립실천포인트제’ 시행◇ 규모 4.0이상의 지진속보 발표시간 단축○ 규모4.0~5.0미만의 지진에 대한 지진속보 발표시간을 기존 20~40초에서 5~10초로 단축□ 산업‧에너지 분야◇ 수소용품 제조허가 및 안전검사 실시○ 수소제조설비, 연료전지 등 수소용품 제조업체에 대한 허가·등록 및 수소용품에 대한 안전검사 실시◇ 친환경차 수요창출 및 충전편의 개선○ 민간의 대규모 차량수요자(렌터카 등)에 대한 ‘친환경차 구매목표제’ 도입○ 전기차충전기 설치의무를 기존 신축건물에서 구축건물까지 확대◇ 데이터 보호 규정 시행○ 데이터보호규정 시행(’22.4월)으로 데이터를 부정하게 취득·사용하는 행위를 규율, 민사·행정적 구제도 가능◇ 유명인의 초상·성명 등 보호 규정 시행○ 유명인의 초상·성명 등을 무단 사용하여 경제적 피해를 야기할 경우, 민사 및 행정적 구제 조치가 가능(’22.6월~)□ 국토‧교통 분야◇ 상습과적·적재불량차량통행료심야할인제외○ 상습*과적·적재불량 차량에 대해 고속도로 통행료 심야할인(30~50%) 제외* 1년간 2회 위반 시 3개월 할인 제외, 3회 위반부터는 6개월씩 가산하여 제외◇ 국내공항 짐배송서비스 적용 확대○ 국내항공 여행증가 대응을 위해 공항 이용 시 짐을 숙소까지 배송해주는 짐배송서비스 운영 공항 확대(’22.8월~)※ 현재 김포공항 시범운영 → 김해, 청주 공항 등 확대□ 농림‧수산‧식품 분야◇ 농지연금 가입연령 완화 및 우대상품 도입○ 농지연금 가입 연령기준을 기존 만65세에서 만60세로 완화○저소득 농업인과 장기영농인은 월 지급금을 5~10%까지 추가 지급하는 우대상품 도입◇ 농지원부 작성기준 개편○ 농업인별(세대별)로 작성하던 농지원부를 필지별로 작성하도록 변경(’22.4월~)○ 소규모 농지(1천㎡ 미만)도 작성 대상에 포함◇ 임업·산림 공익직접지불제 시행○ 낮은 임가소득을 보장하기 위해 임업인과 농업법인 등에게 매월 직접지불금 지급(’22.10월~)◇ 청년어선임대 시범사업 도입○ 청년층의 어선어업 진입장벽을 낮추기 위해, 청년에게 연안어선 임대 및 임대비(최대50%) 지원◇ 농작물재해보험 보험료 개선○ 보험료율 산정 단위를 ‘시군’에서 ‘읍면’으로 세분화하여, 농가별 위험 수준에 맞는 보험료 납부◇ 농업·농촌RE100 시범사업 시행○ 농촌마을에 재생에너지 발전시설 설치와 공동이용시설 에너지 효율성 향상 리모델링 등 지원□ 국방‧병무 분야◇ 병(兵) 봉급 인상○ 병(兵) 봉급을 ’21년 대비 11.1% 인상※ (병장) 676,100원, (상병)610,200원, (일병) 552,100원, (이병) 510,000원◇ 장병내일준비적금 정부 지원○ 병역의무 이행자의 목돈마련 지원을 위해 장병내일준비적금 납입금액의 적립금(’22.1월~)에 대해 1/3을 정부가 추가지원(3:1매칭)
-
▲ 일본 게임업체인 닌텐도(任天堂) 제품 이미지 [출처=홈페이지]일본 게임업체인 닌텐도(任天堂)에 따르면 2025년 3월 말까지 인기 게임기인 닌텐도 스위치의 후기 기종을 공개할 계획이다.새로운 기종은 기존 제품과 마찬가지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일체형의 게인 전용기로 개발된다. 닌텐도 스위치는 2017년 발매된 이후 7년이 지나 새로운 게임기에 대한 소비자의 기대가 높은 편이다.2023년 연간 그룹 전체 이익은 4906억 엔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게임 소프트웨어와 인기 캐릭터 마리오의 영화가 히트한 것이 주요인으로 분석된다.일본 엔화가 평가절하되면서 국내 화폐로 환산한 이익도 증가했다. 닌텐도 스위치는 2017년 3월 발매 이후 전 세계 판매대수가 1억4100만 대를 넘었다.참고로 글로벌 최고 게임기 및 게임소프트웨어 개발업체인 닌텐도는 2024년 가을 교토부에 건설 중인 박물관을 오픈할 예정이다.
-
뉴질랜드무역산업진흥청(New Zealand Trade and Enterprise, NZTE) Level 6, 139 Quay Street , Auckland 1010Tel: +64 9 354 9221www.nzte.govt.nz 방문연수뉴질랜드오클랜드 □ 연수내용◇ 긴밀한 협력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한-뉴질랜드◯ 뉴질랜드 도착 후 첫 일정으로 방문한 뉴질랜드무역산업진흥청에서는 캐롤라인 이사가 연수단이 긴 비행을 마치자마자 바로 온 것에 대한 놀라움과 기관에 대한 관심에 감사를 전하며 시작되었다.◯ 뉴질랜드무역산업진흥청은 뉴질랜드의 여러 정부기관과 해외 투자와 발전을 위해 협의하고 집행하는 기관으로 특히 무역부와 긴밀한 협력관계에 있다.◯ 한국과 뉴질랜드는 매우 긴밀한 협력국가로 문화교류와 정보교류를 매우 중요시하고 있으며 이미 음악, 문화, 과학, 영화산업, 게임산업, 남극탐사 등에 대해서도 협력하고 있는 관계이다.◯ 뉴질랜드에는 3만 명이 넘는 한국 교민들이 생활하고 있으며 2015년 한-뉴 FT"체결 이후 양국무역은 30%가 늘었고 2018년에는 무역 수치가 76조 정도 늘었다.◯ 정치적으로 쉽지 않은 상태에 있을 때, 한국과 같은 친밀한 주변 국가와 강력한 관계를 키워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이번 방문을 계기로 더욱 발전되는 관계가 되기를 바라는 것에서 브리핑을 시작하였다.◇ 가장 엄격한 규제국가에서 가장 규제가 적은 국가로 변화한 뉴질랜드◯ 뉴질랜드는 광범위한 자유무역협정, 친기업 경쟁규제, 효율적인 세금체계, 개방된 정치체제와 혁신투자를 중심으로 ‘기업하기 좋은 국가’로 손꼽힌다.◯ 자본투자와 연구개발, 국제투자를 지원하는 기업친화적 과세시스템을 가지고 있고 유연한 이민정책을 통해 투자자, 기업가, 산업계에 정부가 적극 지원하고 있다.◯ OECD에 따르면 뉴질랜드 경제는 지난 30년동안 가장 규제가 엄격한 국가에서 규제가 가장 적은 국가로 변화한 것으로 평가된다.◯ 이와 함께 국제 번영지수에서 거버넌스 2위, 개인 자유 3위, 사회 자본 1위 등 자유롭고 개방적인 시장이 강점이다.◯ 뉴질랜드무역산업진흥청에서는 밝힌 기회요인으로는 △아름답고 깨끗한 관광산업 △아시아, 태평양에서의 생산 및 판매를 추진하기 위한 고부가가치 제조업 △지속가능한 농업, 임업, 어업 등 1차산업 △섬나라로서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구축된 항구 및 네트워크 등 하부 인프라 △유제품, 육류, 해산물 등 식재료 수출 △혁신과 창의력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ICT분야가 있다.◇ 뉴질랜드 (중소)기업의 글로벌화 지원 정부기관, NZTE◯ 2003년 설립된 뉴질랜드무역산업진흥청은 뉴질랜드의 경제개발 및 무역진흥을 위한 정부기관으로 정부가 임명한 독립이사회에 의해 통치되는 책임운영기관(Crown Entity)이다.◯ 뉴질랜드정부의 비즈니스 성장 아젠다를 지원하여 뉴질랜드 기업이 세계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뉴질랜드 내 지역별로 10개 사무실이 운영되고 있다.580명의 직원과 200개가 넘는 민간파트너를 활용하여 100개국 이상에서 뉴질랜드의 5,000여 기업을 지원하고 있다.◯ 국제성장기금 3,100만달러를 포함하여 2016/2017년 2억달러의 예산이 배정되었으며 비즈니스를 성장시키기 위해 성장전략, 행동전략, 판매전략, 디자인 개선, 시장조사, 투자준비 등 단계별 지원서비스를 제공한다.◯ 글로벌화를 지향하는 기업에 맞춤형 서비스와 지원체계를 제공하기 위해 정부 네트워크와 비즈니스 커뮤니티와 긴밀한 협력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고 이를 통해 국가 브랜드를 성장시키는 것이 목표이다.◯ 따라서 ‘수출진흥과 해외투자유치’가 가장 큰 목표로 지난 5년간 수출과 투자유치 지원업무를 추진해왔다. 이를 위해 세계 여러 나라들과 긴밀한 협력관계를 맺고 있고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다. 전 세계 35개국(뉴질랜드 제외)에 약 40개의 지사를 가지고 있다.◯ 다 합쳐서 580명의 직원이 근무하는데, 절반은 뉴질랜드 지사에 있고 절반은 해외 지사에 있다. 대부분은 공무원이 아니고 민간기업에서 온 전문가들이 대부분이다. 예를 들어 리차드 매니저는 IT기업에서 일하던 전문가이다.◇ 더 생산적인 경제 활성화를 위한 투자유치 역할◯ 뉴질랜드무역산업진흥청의 투자유치의 가장 큰 목표는 해외와 뉴질랜드에서 투자를 받아서 뉴질랜드의 경제가 보다 더 생산적이고, 활성화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한 3가지 중요한 업무는 다음과 같다.• 창업기업의 자본적인 발전을 지원• 투자자들이 뉴질랜드에서 발전가능성이 큰 분야를 찾아주는 역할• 해외 투자자들의 국내 투자를 지원하거나 발전 가능 분야 연결 지원◇ 중소기업에 80% 역량 투입◯ 11,000개의 수출기업 중 중소기업 5,000개 정도가 지원 대상이고 자원을 집중시키기 위해 국제적으로 성공할 수 있는 규모와 역량을 가진 700개 기업에 80%의 역량을 집중 투입하고 있다.◯ 중소기업에 투자하는 이유는 지속적인 발전이 가능한 회사를 발굴하기 위해서, 글로벌 경쟁력 향상을 위해 노력하기 위해서이다.◯ 부처를 통해 얼마나 많은 수출이 성사가 됐는가, 세계적으로 얼마나 많은 새로운 시장이 수출을 해서 생겨나는지를 토대로 성공 지표(KPI)를 측정한다.◇ 성공지표(KPI) 측정과 질 높은 투자 추구◯ 성공지표(Key Performance Indicator)는 3가지로 측정한다. 첫째는 경제 활성화, 거래 촉진, 일자리 창출여부 이며 둘째는 개인뿐만 아니라 기업들이 사업적으로 얼마나 많은 계약을 성사(2018년에만 57가지 계약 성사 지원)시켰는지 이다.◯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질 높은 투자’이다. 해외 투자자도 수익을 내고 뉴질랜드도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투자를 추구하고 있다.◯ 더 충족이 되어야 하는 6대 분야로는 △IT(High-technology 기술) △식음(관광분야는 항상 강했음) △목재 (산림업) △관광 △재생 에너지 △ 제조업으로 보고 있다.◯ 또한 뉴질랜드는 마오리족이 소유하고 있는 부지가 많아 마오리족과의 협력을 통해 부지를 개발하는데도 집중하고 있다.▲ 진흥청이 역량을 집중하는 700개기업 중 265개 기업이 400억달러(수출의 80%)를 차지한다[출처=브레인파크]◇ NZ Inc.를 통해 부처 간 협력 효율화◯ NZ Inc는 뉴질랜드 각 정부부처들이 더 나은 수출을 위해 함께 일을 하는 컨셉으로 정부를 ‘가족’으로 묶는 연결고리이다.◯ 뉴질랜드무역산업진흥청도 NZ Inc의 파트너로서 농업부, 외교부, 산업부, 캘러헌 혁신청 등도 파트너기관이다. 뉴질랜드 수출, 기타 비즈니스 조직, 국제 비즈니스 위원회, 산업 조직, 지역 기관들과 긴밀하게 협력하고 있다.뉴질랜드 사람들을 위해 더 경쟁적이고 생산적인 경제를 이룩하려면 지속적이고 광범위한 기관 간의 협력이 필요하다.▲ 뉴질랜드무역산업진흥청은 혼자 일하지 않는다. NZ Inc.를 통해 넓은 경제 시스템과 함께 일한다[출처=브레인파크]◯ 예를 들어 비관세 장벽 해결, 기업들이 자유 무역 협정의 혜택을 받도록 보장, 공유 고객과의 업무 파악 및 조정 등 다양한 활동을 할 때 외교통상부(MFAT,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기업혁신고용부(MBIE, Ministry of Business, Innovation and Employment), 1차 산업부(MPI, Ministry of Primary Industries), 캘러헌 혁신청(Callaghan Innovation)과 같은 정부기관과 협력한다.◯ 해외 정부부처와도 협력하고 있는데, 좋은 예가 이번에 진행한 싱가폴 기업청과 성사된 협력 체결이다. 이를 통해 싱가폴과 NZTE 간의 무역과 비즈니스의 확장, 시장 전문 지식 공유, 비즈니스 네트워크 공유, 기업 간 다양한 비즈니스 문화에 대한 이해도가 상승할 것으로 보고 있다.싱가폴을 기반으로 동남아시아에 진출할 NZ 기업들, NZ에서 식품, 운송, 물류 분야로의 진출을 모색하는 싱가폴 기업에 이득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민간 전문가와의 적극적인 파트너십을 활용하여 수출기업 교육◯ 민간 기업 상담 컨설턴트는 전 세계 200명 정도가 있는데, 해당 국가에 수출업을 하고 싶다면 상담을 받을 수 있게 하고 있다.대부분 자기 일을 하는 자영업자이자 전문가로서 수요기업의 요구에 기반하여 선정하고 수출 전략을 개발할 수 있도록 수요기업에 시장전망 및 통찰력을 제공한다.◯ 이들 민간 전문가들은 크게 △초보 수출기업을 위한 수출 필수요소 △수출전략과 아이디어 △글로벌 세일즈 리더십 △Miller Heiman 방법론을 기초로 한 전략적 판매에 대한 핵심교육을 담당한다.◯ 전자 상거래가 수출에 있어서 점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에 더 많은 기업들이 온라인을 통해 전자 상거래를 할 수 있도록 새로운 소프트웨어도 개발 중이다.◇ 시작-성장-집중단계별 기업지원◯ 기업 단계별 지원프로그램으로 시작단계의 기업에게 제공되는 서비스로는 △시장 적합성과 제품, 서비스의 가치 개발 △시장조사 및 분석 △파트너 채널 분석 △경쟁구조 이해와 틈새시장 파악 △재정 분석 △국제 규정 및 요구사항 이해 △수출비용 이해 △수출 가격 책정과 수익성 분석 △물류의 이해 △국제 자금 흐름 파악 등이 있다.◯ 성장단계의 기업에게는 시작단계의 기업에 제공되는 서비스와 함께 유사한 문제에 대한 해결 경험이 풍부한 전문가와 유사 비즈니스 네트워크와의 연계가 강조되고 외부 워크숍과 민간기관의 교육을 제공하고 있다.◯ 집중 성장단계의 기업은 심층지원을 담당할 전담팀이 제공되며 기업이 가진 사업계획과 진흥청의 전략적 목표를 공유하는 파트너십을 체결할 수 있다.◯ 집중 성장단계의 기업으로서 인정받기 위해서는 기업 세부 정보를 공유해야 하고 △일자리 창출 △R&D활동 △GDP 기여도 △부가가치 창출 등이 확인되어야 하며 탄탄한 수익, 최소 300만 달러이상 자금을 보유해야 가능하다.◯ 뉴질랜드 기업이 성장하는 것과 함께 뉴질랜드에 쉽게 투자할 수 있도록 선별된 파이프라인을 통해 투자 기회, 합병, 인수, 자본구조 분석 지원도 제공된다.◯ 집중 성장단계의 기업은 국제 성장 기금(International Growth Fund)이 지원된다.◯ 그 외에도 혁신기업의 성장허브로서 매년 ‘투자 쇼케이스’를 개최하여 혁신기업을 소개하고 이들을 위한 성장자금과 확장자본을 유치하는 것을 주도하고 있다.◇ 시장규모가 작고 거리가 먼 한계 극복중◯ 이처럼 뉴질랜드의 수출 진흥과 투자유치를 하는데 있어 겪는 애로사항도 있다. 뉴질랜드에서 가장 힘든 것은 시장 규모가 작고 시장에서 거리가 멀다는 점으로 이는 특별한 상황이다.◯ 인구가 500만명에 그치고 내수시장이 작아서 수출에 의존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서비스업 관련 무역 수지는 흑자인 동시에 생산 관련 무역 수지는 적자이다. 그래서 양보다는 가치를 추구하고 있다.◯ 예전에는 관광산업, 농업 등에 중점을 두었다면, 이제는 우주과학기술, IT, 하이테크와 같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부분으로 관심이 옮겨지고 있다.◯ 또한 FTA가 무역확대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데 아시아는 인구 수가 워낙 많고 시장이 커서 관심도가 높은 지역이다. 다양성있게 접근하기 위해 아시아 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 나라들과도 계약을 체결해서 일을 하고 있고, 유럽 연합과도 협의 중이다.□ 질의응답- 양에서 질로 중점이 바뀌었다고 하셨는데, 관광이나 농업같은 전통적으로 뉴질랜드가 강한 산업에서 신기술 분야로 경제 발전 전략이 바뀌는 것을 퍼포먼스가 좋은 기업들에게 초점을 맞춘다는 걸로 이해를 했다. 그렇게 되면 원래 강한 기업들에게 지원이 몰리지 않는지."우선 관광산업은 뉴질랜드무역산업진흥청의 업무가 아니다. 뉴질랜드는 전통적으로 관광이 강했지만 호텔은 별로 없었다. 따라서 호텔 투자를 지원하고 관광객들의 액티비티를 권장하는 데 지원한다.관광업이나 농업에 대한 지원을 그만두는 것이 아니라 이 2가지 산업은 뉴질랜드에서 이미 일정한 궤도에 올라온 산업이기 때문에 하이테크산업 위주로 포커스를 맞추고 있다. 또한 씨앗을 개종하는 등 농업 육종을 통해 가치를 창출하는 것에도 중점을 두고 있다."- 기본적으로 민간 센터의 공공기관으로서 민간 기업이 정부와 협업을 해서 무역 진흥을 할 때, 유연성도 있겠지만 결국에는 기관에서 원하는 것들이 정부에서 추진되지 않을 수도 있는데, 이런 문제를 어떻게 극복하고 있는지."공무원이 되서 정부가 추구하는 것만 행정처리하는 것 보다는 민간기업에서 일을 한 후 그 지식을 가지고 이곳에 와서 정부를 위해 일한 후 기업으로 다시 가는 것이 좋은 아이디어가 순환되기 때문에 훨씬 효과적이다.정부에서 예산이 나오기 때문에 민간기업에서 왔지만 정부를 위해서 일한다. (한국의 공무원들과는 다른 개념이다. )"- 기관에서 형성된 의제가 정부로 갔을 때 막힐 수도 있을 것 같은데 이를 극복할 방법은."다른 나라와는 다른 관리 방식을 가지고 있다. 장관이 선임한 이사진을 통해 사업을 추진한다. 이 이사진들도 처음부터 정부 부처에서 일한 사람들이 아니라 민간 기업에서 경험을 쌓고 온 사람들이다."- 투자유치를 할 때 기술을 제공하는 것인지? 제공한다면 어떤 것을 제공하는 것인가? 중소기업들이 새로 들어오면 장기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지원 프로그램을 가지고 있는지."기술을 파는 경우도 있지만, 해외기업이 새로운 기술을 가지고 사업을 하고 싶다고 하면 유치하는 일도 한다. 또한 중소기업도 아이디어를 가지고 있는 것이 해외시장에서 통할 것이라고 생각되면 해외에 진출할 수 있는 자본을 준비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농업과 관광이 중요한 국가인데, 4차산업과 연계해서 미래의 5차산업을 위한 계획은."우리가 생각할 때 4차산업혁명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여러 나라들과 기술과 투자를 공유하는 것과 뉴질랜드에서 시작된 로켓 회사이다.대부분 투자와 기술은 미국에서 들어오는데 생산은 뉴질랜드에서 한다. 해외와 기술 공유를 통해서 하이테크, 5차 산업을 준비할 수 있지 않을까 싶다."- 한국에서 프리커넥션을 하고 있고 한국이 7번째 무역파트너라고 했는데, 무역 파트너로서 한국의 장점과 단점은."단점은 없고 장점만 있다. 전 세계에 오픈이 되어있기 때문에 한국이 현재는 7번째 파트너지만 더 커지길 바란다. 서울사무실에 가면 정보를 들을 수 있을 것이다."- 한국이 7번째로 큰 무역 파트너라고 했는데, 왜 한국에 민간 어드바이저가 없는가? 한국에 없으면 주변에 다른 국가에서 지원을 하는 형태로 운영하는 것인가? 투자나 교역을 할 때 한국 관련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분야가 무엇인지."어드바이저는 곧 구할 것이다. 수입적인 측면으로는 삼성, 현대가 많이 차지하고 있다. 그리고 음식 관련 부분이 한국으로 많이 수출되고 있다.또한 반지의 제왕 감독인 피터 잭슨이 운영하는 그래픽 디자인 스튜디오가 세계 여러 나라에 기술을 수출하고 있는데 그 중 한국이 포함되어 있다."- 규제 혁신에 환경규제도 포함되는지."1984년 전 정부에서는 규제가 심해 가격이 높았고 수입관세도 높아서 자동차를 아예 생산했었다. 기업들을 운영하는 자금도 정부지원금으로 운영되고 있었다.1984년부터 규제개선을 통해 기업활동이 자유롭게 진행되었다. 환경부문은 관리하는데 문제, 환경오염과 탄소배출에서 나오기 때문에 감독하는 것이 가장 큰 과제 중 하나이다."- 규제를 풀면서 환경규제도 풀었는지."환경에 관한 규제는 풀지 않았다. 부가 설명을 하자면, 1984년도는 정말 중요한 해였다. 1984년 이전 정부는 차 한대를 수입하려고 해도 따로 면허를 신청해야 하는 등 규제가 심했다.그래서 차를 아예 생산했었다. 그러나 1984년 이후 새로운 정부와 함께 규제가 많이 완화돼서 기업 활동이 매우 자유로워졌다.뉴질랜드에서는 농업이 가장 큰 산업이기 때문에 환경오염과 탄소배출의 문제가 농업에서 비롯되기 때문에 그것을 감독하는 것이 가장 큰 과제 중 하나이다. 다만 뉴질랜드는 땅은 큰데 인구는 적어서 지리적으로 환경적인 문제들의 영향을 덜 받는다."- 임금수준이 높아서 해외투자를 유치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것 같은데 해외 투자자들에게 뉴질랜드의 장점을 어떻게 부각시키는자."해외 투자자들을 유치할 때 낮은 임금을 장점으로 내세우지는 않는다. 넓은 부지, 좋은 환경, 에너지, 규제 등 다른 장점들로 유치를 한다."
-
2024-05-04□ 383년된 두부요리의 원조기업, 오쿠단 오쿠단(奥丹清水店)(総本家 ゆどうふ 奥丹清水) 京都市東山区清水3丁目340番地Tel: +81 075-525-2051Fax: +81 075-525-2541www.tofuokutan.info방문연수일본교토 ◇ ‘교토식 상법’이라 개발한 교토식 기업들○ 교토에는 1000년 이상 된 가게가 6개 있다. 200년 이상 된 가게는 1600개에 달한다. 100년 이상 된 가게는 너무 많아 집계가 안 될 정도다. 그들은 오랫동안 장사해오면서 ‘교토식 상법’을 개발했다.○ 세라믹 필터의 강소기업 교세라, 세계적 게임업체 닌텐도, 직원(연구원)이 노벨상을 탄 시마즈제작소, 일본전산, 와코루, 호리바제작소 등 자신의 분야에서 세계 최강의 기업들이 교토에 본사를 두고 있다.◇ 전통과 신뢰가 있는 가게라는 뜻의 ‘시니세’가 발달한 교토○ 교토 장수기업은 철저한 장인정신으로 유명하고 특히 교토의 장수 식당들은 한두 가지의 음식에 집중하는 일본식당 특유의 전문성을 가지고 있다. 이들을 시니세(전통과 신뢰가 있는 가게)라고 부른다.○ 400년 된 초밥집 이요마타는 가장 만들기 어렵다는 고등어초밥으로 승부한다. 비린내가 강한 고등어가 초밥으로 거듭날 때까지 수백 년간 연구가 축적됐다. 제주산 고등어 30㎝짜리 최상품만 사용하고, 쌀은 맛, 향기, 수분의 정도 등을 판단해 최종적으로 결정한다.○ 360년 된 양념가게 시치미야는 태풍이 와서 직영 농장의 작황이 좋지 않자 고객에게 나쁜 물건을 팔 수 없다며 4개월간 문을 닫았다. 1016년 된 떡가게 이치와는 24대째 최상의 숯불로만 인절미 구이를 생산하고 있다.◇ 최고급 재료와 완전 수작업으로 하루 30인분만 만드는 두부요리 전문점, 오쿠단○ 연수단이 방문한 383년 된 두부요리 가게 오쿠단도 두부요리로만 승부하는 시니세로 하루 30인분만 만든다. 최고급 재료를 완전 수작업으로 딱 30명만의 손님을 위해 정성을 다해 준비한다.○ 정원 지하의 공장에서 두부를 생산하며 지금 체계의 가족 경영으로 유일함을 마케팅으로 하여 전 과정을 손으로 생산하고 있다.○ 에도시대 초기 1635년 개업한 오쿠단은 두부를 뜨거운 물에 데워먹는 건강식인 ‘유도후(온두부, 溫豆腐)를 처음으로 제공한 식당이다.유도후에 들어가는 두부는 지하수와 엄선한 콩을 사용하여 옛날 그대로의 전통적인 제조법으로 콩의 참맛을 있는 그대로 맛볼 수 있는 장인 정신이 깃든 두부를 사용한다.○ 메뉴는 두부요리세트와 오쿠단만쥬라 불리는 두부만쥬가 맛을 겸비한 건강식품으로 인기를 모으고 있고 383년된 두부제조 기구들도 전시되어 있어 역사성을 볼 수 있다.○ 개업한 자리에서 그대로 운영하고 있어 600평의 정원이 있고 요리를 먹으며 사계절의 아름다운 모습을 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교토 내에서도 역사적 건축물이 많은 히가시야마 구에 위치○ 오쿠단이 위치한 교토 시 히가시야마 구는 교토 시를 구성하는 11개 구 중 하나로 구내에는 기온이나 산조케이한 주변 등에 번화가가 있다.○ 교토 안에서도 특히 역사적 건축물 등이 많은 장소여서 재개발 사업 등에 대한 규제가 비교적 심하고 주 환경의 정비가 행해지지 않아서 “도시의 과소지”가 되고 있다.◇ 15대째 가업을 승계하면서 ‘마음’까지 만족하는 두부를 계승○ 다나케(16대) 회장은 한국나이로 46세이며 다른 사업을 했고 성공했지만 가업의 승계를 위해 사업을 정리하고 가업을 이어가게 되었다.▲ 완전 수작업으로 만든 오쿠단 두부[출처=브레인파크]○ 선대로부터 15대째를 대대로 물려받으면서도 역사와 맛, 분위기 모두 변함없이 유지시키고 있다. 오쿠단은 요리가 맛에 만족하는 것이 아니라 맛은 물론, 보고 만지고 듣고 맡는 등 모든 감각을 이용해 느끼면서 ‘마음’으로 만족하는 것으로 추구한다.○ 정원 지하에 두부 공방이 있고 매일 아침 콩 본래의 단맛과 풍미를 이끌어내는 전통제조법으로 두부를 제조한다. 두부 공방의 벽은 모두 갈대로 둘러싸인 전통적인 모습을 간직하고 있다.○ 콩은 다양한 종류를 엄선한 뒤 그 콩을 시가현 히라지방의 계약농가에서 무농약 재배를 하고 있고 간수는 시가현의 지하수만을 이용하고 소금을 가지고 천연 간수를 전용으로 추출하여 시판되고 있는 응고제와 차별화된 맛을 만들어낸다.▲ 사계절의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는 정원[출처=브레인파크]□ 질의응답- 대량 생산을 하지 않는 이유는."두부를 먹고, 즐기고, 풍경을 보는 등 식사를 하면서 느끼는 모든 것들이 맛으로 표현되는 이미지라고 생각한다. 대량생산을 통해 유통하게 된다면 이를 느낄 수 없게 된다. 때문에 대량 생산은 하지 않고 있다."- 16대를 이어오면서 어떤 기준으로 승계가 되어 왔는지."가업을 승계할 때 진심으로 이 일을 좋아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 후 계승해왔다. 이로 인해 지금까지 가족 간 문제가 있었던 적은 단 한 번도 없었다."- 가업을 오랫동안 이어올 수 있었던 노하우는."두부의 재료를 비롯한 생산, 판매, 요리까지의 전 과정을 직접 하는 것이 다른 기업과의 차이점이다. 때문에 두부의 전문성을 가지게 되었다."- 가업승계로 인한 힘든 점은 없었나? 본인의 자녀에게도 가업을 승계할 예정인지."개인적으로 사업을 하던 중, 가업을 승계하기 위해 사업을 정리하고 사명감을 가지고 가업을 이어가게 되었다. 일본에서는 음식 관련업을 낮게 보는 경향이 있어 힘들었지만 요리를 먹고 정원을 보면서 즐거워하는 고객을 통해 보람을 얻을 수 있게 되어 행복하다.처음 일을 시작했을 때는 이 일에 대해 잘 알지 못했고 좋아하지 않아 어려웠다. 자녀들이 아직 어리고 아이들의 꿈을 존중하지만 성장하면서 가업을 승계하게 될 것이라 생각한다."- 두부의 제조 방법은 초기의 방식 그대로를 고수하고 있는가, 지속적으로 변해오고 있는지."방법, 레시피는 하나도 변하지 않았고 그대로 고수하고 있다. 또한 비법, 노하우를 혼자만 알고 있다. 오랫동안 일하면서 신용을 얻게 되면 알게 될 수도 있다."- 분점 등을 통한 프랜차이즈 계획은."두부와 정원은 직접 만들고 관리해야 하는데 분점을 만든다면 그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그럴 수 없다. 또 지금도 할 일이 너무 많고 바빠서 쉽지가 않다."□ 참가자 일일보고 및 소감○ 가게에 처음 들어선 느낌은 잘 가꾸어진 정원과 미니 계곡이었다. 정원도 직접 가꾸고 세심한 부분은 전문가에게 의뢰한다고 한다.주인 분께서는 두부를 손수 작업으로 정성을 다하고 가게의 분위기와 두부요리를 먹으면 더 좋은 맛을 음미할 수 있다고 한다.내가 느끼는 두부의 맛은 한국 두부 맛집의 고소함은 없지만 양념간장과 먹어보니 깔끔하고 간결함이 느껴졌다. 다른 것은 몰라도 가게의 전통을 이어간다는 자부심과 긍지는 강한 것이 느껴졌다.○ 16대 째 경영하고 있는데 장자 승계가 아닌 진심으로 할 수 있는 자식에게 승계를 원칙으로 한다. 음식의 맛과 더불어 주변 경관과 어울리는 맛을 추구한다. 현재 계승자는 처음에는 억지로 떠받다시피 하였지만 이제는 사명감을 가지고 운영하고 있다는 것이 인상적이다.○ 두부요리를 직접 시식할 수 있어서 좋았다. 사장님의 친절한 설명과 두부에 대한 전통과 자부심은 좋았지만 예정 되어있던 제조과정 공정견학은 생략 되서 아쉬웠다.○ 설레는 마음으로 일본의 첫 연수지에 도착했다. 전통적인 일본 가옥으로 되어 있는 오쿠단은 수백 년의 역사가 살아 숨쉬는 맛이었다.변형된 레시피가 아닌 대대로 순수하게 내려오는 레시피로 두부를 만들고 있다는 점이 가장 인상적이었다. 앞으로 더욱 더 대를 이어 갔으면 하는 바람이 생겼다.○ 두부제조와 두부요리를 모두 전통방식으로 오랜 기간 운영과 발전했다는 부분에 매우 놀라웠다. 음식은 보통의 두부요리와 차이점이 없지만 인테리어 느낌이 일본 전통 감성 느낌이라 좋았다.○ 일본에 와서 첫 방문 오쿠단. 청수사란 곳도 같이 구경할 수 있어 위치는 참 좋았다. 첫 일본음식을 먹으며 TV에서 봤던 비슷한 느낌의 조경을 보며 식사를 하는 느낌은 너무 좋았다.음식은 건강한 음식을 먹는다고 생각했고 음식이 너무 적고 내 입 맛에 맞지 않아 별로였다. 사장님이 직접 나와서 자세한 설명을 하셨고 사장님의 긍정적인 태도가 기억에 남았다.○ 16대까지 가업을 이어오면서 변하지 않는 맛과 오직 장인 정신 하나로 가업을 이어 내려오는 모습을 보며, 풍경을 보면서 최고의 음식 맛을 즐기면서 맛있는 식사를 하는 것이 현43세인 사장의 생각을 좋게 보았다.조경풍경이 좋았고 현 두부의 맛도 좋았다. 전체적인 음식 맛은 내 입맛에는 맞지 않았지만 오직 한 가지 변하지 않을 비법부로 만들고 맛을 이어 내려오고 있다는 점은 높이 본받고 싶다.○ 오쿠단 두부집에서 먹은 점심은 솔직히 우리들의 입맛은 아니었다. 역사와 전통의 자부심으로 이어온 집이라는 생각하지만 우리나라의 문화였었다면 오랜 역사와 전통을 지켜낼 수 있었을까 라는 생각을 했다. 하지만 수백 년을 지켜왔다는 것은 본 받을만하다.
-
2024-05-03도나우아우엔 국립공원센터(National park Donau-Auen GmbH) Tel: +43 2212 3450www.donauauen.at 현장학습오스트리아빈 □ 교육내용◇ 유럽의 생명줄, 도나우강○ 도나우강은 유럽에서 볼가강 다음으로 두 번째로 긴 강이며 유럽의 생명줄이다. 독일에서 발원하여 흑해(Black Sea)에 도달할 때까지 9개의 나라를 지나면서, 지역과 서식지를 하나로 묶어준다. 그러므로 도나우강은 매우 국제적인 강이다.▲ 오스트리아 도나우강의 전경[출처=브레인파크]○ 총 길이는 2,850㎞이고, 총 유역면적은 81,7000㎢이다. 그 중, 오스트리아 도나우 강은 총 351㎞이다. 경사는 1㎞당 약 40㎝ 정도이며 유속은 초당 1~3m이다. 총 경사는 155m이고, 운송은 평균 약 3㎞/년이다.○ 산에서 눈이 녹으면 늦은 봄부터 여름까지 홍수가 발생하며 강우로 유발된 홍수는 일 년 내내 발생할 수 있다.◇ 도나우강을 위한 하나의 비전을 공유하는 도나우아우엔 국립공원○ 심각한 인간 개입에도 도나우강은 여전히 동유럽의 생물 다양성 보호를 위한 지역적 중요성을 지니고 있으며, 유럽 전역에 걸친 중요한 자연 공간이다. 도나우의 수많은 보호 지역은 보호와 도나우강을 위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9개국을 지나는 도나우강을 구성하는 19개의 보호지역은 하나의 비전을 공유한다. 강을 따라 존재하는 생물학적으로 다양한 지역을 보호하는 것이다. 그 중 하나가 바로 도나우아우엔 국립공원이다.이를 위해 도나우아우엔 국립공원센터는 1996년에 지정, 설립된 이후 천연자원을 보존하고 자연환경을 보호하고 하천과 부드러운 관광의 흐름을 촉진하기 위한 광범위한 노력과 함께 해왔다.○ 도나우아우엔 국립공원의 구체적인 목표는 자연적인 강의 활력을 유지 및 재건하는 것과 책임감있는 자연 관광과 환경 교육을 진흥하는 것이다.도나우 강이 귀중한 범유럽적 자연 유산이라는 인식에 대한 공감을 높이는 것, 그리고 마지막으로 블랙 포플러와 흰꼬리수리와 같은 보호 지역 내의 지표종을 보호하는 것이다.▲ 도나우아우엔 국립공원 분포도[출처=브레인파크]○ 도나우아우엔 국립공원 총 면적은 9,300㏊ 이상이며 그 중 숲이 약 65%, 초원이 15%, 물이 약 20%를 차지하고 있다. 도나우아우엔 국립공원은 중부유럽에서 가장 일관되고 생태학적으로 대체로 자연 그대로의 환경이다.또한 많은 멸종 위기에 처한 동식물종을 위한 피난처 역할을 하고 있다. 800종 이상의 고등 식물이 자생하고 있고, 30종의 포유동물, 100종의 조류번식 종, 8종의 파충류, 13종의 양서류 총 50종의 어류들이 서식하고 있다.◇ 진정한 자연을 체험할 수 있는 국립공원 지향○ 도나우 강(Donau)의 습지를 뜻하는 '도나우아우엔'(Donau-Auen)은 중앙 유럽에서 마지막으로 남은 거대 강변 습지이다. 1996년에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후, 후세를 위하여 오스트리아 연방과 빈, 하(下)오스트리아가 공동으로 보존을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빈(Vienna)과 브라티슬라바(Bratislava)는 도나우 강으로 연결된 '쌍둥이 도시'이다. 두 수도가 이렇게 가까이 위치하는 것은 유럽의 다른 어느 나라에서도 찾아볼 수 없다. 독특한 자연 광경은 빈의 도시 경계 안에서 시작된다.○ 도나우아우엔은 계속 변화하며 재창조되고 있다. 19세기에 도나우 강 정비가 이루어지기 전까지, 습지는 역동적인 자연과 강의 힘에 좌우되었다. 오늘날에도 강변의 풍경이 얼마나 강력하고 거칠 수 있는지 그 야생의 느낌을 맛볼 수 있다.○ 자연이 자유롭게 발달할 수 있도록 임업과 사냥은 중단되었다. 강을 다시 활성화시키기 위한 주요 프로그램에 착수하고 있다. 딱딱하게 고정되었던 강둑은 쇄석으로부터 성공적으로 해방되었으며, 지류들이 강의 본류에 다시 연결되었다.○ 국립공원의 주요 과제는 방문객으로 하여금 진정한 자연을 체험할 수 있게끔 하는 것이다. 국립공원에서 모든 형태의 생명이 가진 가치와 아름다움, 모든 살아있는 생물들과의 유대를 재발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침식현상에 대한 조치와 재활성화 프로그램 실행이 최우선 과제○ 도나우아우엔 국립공원은 국립공원이 지정된지 지난해 20주년을 맞이했고 최우선 과제는 도나우 강의 강바닥이 계속 깊어지는 것에 대응하는 것이다.수년 내로 이에 대한 조치가 신속하게 이루어져야만 한다. 기술적인 해결책은 이미 존재한다. 그러나 국립공원에 의해 만들어진 종합적인 재활성화 프로그램은 여전히 완전히 실행되지 못하고 있다.○ 국립공원을 둘러싼 지역은 계속 성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추가적 공항 활주로나 고속도로와 같은 기반시설에 대한 필요성 역시 커지고 있다. 또한 좀 더 자연에 가까워지고 싶어 하는 사람들이 계속 국립공원 근처로 이주하고 있다.국립공원 부지는 더 이상 임업이나 사냥에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공원 방문객의 지속적 증가하고 있지만 다행히 흰꼬리수리나 다른 토착종의 피난처로 사용할 공간이 남아 있다. 그러나 방문객들은 국립공원의 독특성과 귀중한 서식지를 보호해야 하는 필요성에 좀 더 공감하도록 강조할 필요가 있다.▲ 자연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도나우아우엔 국립공원[출처=브레인파크]○ 국립공원에서 도나우 강은 주역을 맡고 있다. 오스트리아에서 자유롭게 흐르는 직선 코스가 남아있는 곳은 와차우 계곡(the Wachau Valley)과 도나우아우엔 국립공원뿐이다.또한 도나우 강은 도나우아우엔 국립공원에서 여전히 고산(高山)적 특성을 유지하고 있다. 슬로바키아 국경까지는 하류이며 그 후 점차 저지대 강이 되어간다.도나우 강은 지금까지 그래왔듯이 앞으로도 국제적인 수로이지만 120m 폭의 선박 항로를 벗어난 지류와 습지는 오직 자연만이 다스리는 곳으로 보존하고 있다.◇ 발전소 건설 계획에 따른 갈등에서 국립공원 지정 시작○ 1996년에 국립공원 지정 후, 지속적인 보호를 받아온 도나우아우엔 국립공원은 하인부르크(Hainburg) 수력발전소 건설 계획을 둘러싼 다툼에서 시작되었다.발전소가 건설될 경우 마지막 남은 도나우강의 자유흐름구간과 숲이 파괴될 것이기 때문이었기 때문에 이전의 추측을 확인하는 연구를 진행, 추측보다 더 많은 생물 다양성을 확인, 국립공원으로 지정될 가치가 있음이 밝혀졌다.○ 결국 발전소 계획은 무산되었고 국립공원으로 지정, 도나우아우엔 습지를 구해낸 사례로서, 환경 보호를 향한 오스트리아 사람들의 태도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다. 오늘날에도 습지의 숲은 더 이상 상업적으로 착취되지 않으며, 풍경은 자연적인 상태로 되돌아가고 있다.○ 빈 동쪽의 도나우 습지는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에 의해 공식적으로 “범주2 습지 국립공원”으로 인정받았다.○ 공원의 면적은 총 9,300㏊에 이르며, 다양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약 65%는 하안림(숲)이며, 15%는 초원이다. 나머지 20%는 물에 잠겨있다.공원을 관통하여 36㎞를 자유롭게 흐르며 도나우 강은 습지에 흔적을 남기는데 깊게는 7m에 달하는 수위의 변화는 도나우 강이 끝없이 펼쳐지는 역동적인 과정 속에서 풍경을 빚어내고 또 망가뜨려 재창조하는 것을 가능케 하고 있다.◇ 자연이 최우선이라는 원칙 아래 매년 100만명 이상 방문○ 보호 구역은 국립공원 도나우아우엔 회사와 오스트리아 연방 도나우아우엔 국립공원 운영 조직, 빈 시청의 임업과 도시농업 부서가 공동으로 관리하고 있다.○ 국립공원의 운영 지침과 전략적 목표는 강의 형태와 수문학적 구조를 개선하는 것을 포함한다. 인간의 개입과 착취는 감소해야 하며, 그 과정 중에 보호 지역이 설정되어야 한다.이러한 노력은 특정 서식지와 종을 보호하기 위해 필수적이다. 또한 국립공원을 방문하는 사람들이 느낄 수 있는 자연의 영향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국립공원이 빈과 브라티슬라바라는 주요 도시 지역 사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오락적 기능이 상당한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기능은 생태학적으로 세심한 방식으로 이루어져야만 하며, 손상되기 쉬운 서식지의 다양한 필요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국립공원은 자연과 인간을 하나로 모아준다. 중앙에 위치한 덕분에, 매년 백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도나우아우엔 국립공원을 자유롭게 방문하고 있다.○ 국립공원에 근무하는 전 직원이 전하고자 하는 가장 중요한 메시지는 바로 자연이 최우선이라는 것이다. 국립공원 관리부는 후손들을 위해 이곳의 독특한 풍경과 다치기 쉬운 동식물들을 그대로 보존하기 위해 모든 방문객들에게 가능한 모든 방법을 통해 국립공원이 보호지역으로서 가지는 책임과 의무를 알리고자 애쓰고 있다.◇ 단순한 관광 이상의 의미를 가지는 국립공원 프로그램 운영○ 국립공원을 방문하는 것은 단순한 관광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 국립공원의 방문객을 위한 프로그램은 환경에 대한 교육을 제공하고 상호 교류를 가능하면서 이 보호구역의 가치에 관하여 더 깊이 이해할 수 있도록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카누와 고무보트투어, 가이드 투어 등 공원의 프로그램은 다양하여 젊은 세대와 기성세대 모두에게 만족할 만한 경험을 제공한다.계절과 날씨, 수위, 그리고 방문객들의 개인적인 선호에 따라, 국립공원 관리원들은 국립공원의 환상적이고 독특한 면들을 강조할 수 있는 특별한 테마에 맞추어 활동을 고안한다.○ 이 테마들에는 수면 위로 솟아올랐다가 다시 사라지는 자갈 섬들, 고요하다가 수위가 높을 때는 울부짖는 홍수가 되어 흐르는 지류들, 이러한 환경에서 번성하는 식물들 등이 포함된다.또한 이 프로그램들은 다채로운 이벤트와 워크숍, 특별 프로젝트 데이, 10대와 어린이를 위한 숙박 캠프 등으로 채워진다.◇ 걸으면서 수생식물을 관찰하는 수중 전망대○ 오스(Orth)에 위치한 슐로스오스(schlossORTH) 국립공원 센터와 빈의 22번 구역에 있는 빈-로바우(wien-lobAU) 국립공원 하우스는 방문객들이 처음 마주하게 되는 지점일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도 훌륭한 목적지이다. 이곳에서는 여러 정보와 안내 책자, 유용한 조언을 받을 수 있다.○ 슐로스오스 국립공원 센터의 슐로스인젤(schlossinsel)섬은 습지의 서식지와 동식물을 소개하는 야외 공간이다. 연수단은 이 섬을 방문했다. 방문객들은 이 섬을 돌아보는 짧은 투어를 통해 공원의 다양한 일면들을 경험할 수 있다.○ 이 중 하이라이트는 걸으면서 공원에 서식하는 다양한 수생 생물들을 가까이서 관찰할 수 있는 수중 전망대이다. 공원 내를 가로지르는 산책로의 대부분이 장거리 도로 07번으로 연결되는 순환도로이다.일부 도로에서는 자전거를 탈 수도 있다. 허용된 구간에서는 강에서 수영을 하거나 모터가 달리지 않은 보트를 탈 수도 있다. 도나우 강의 강둑에는 보트의 승하선이 허용되는 별도의 구역이 나누어져 지정되어 있다.◇ 생물다양성을 위한 전략적 프로젝트와 신중한 자연환경 관리○ 30종이 넘는 포유류와 100종의 번식 조류가 도나우아우엔 국립공원에서 8종의 파충류, 13종의 양서류, 60종의 어류와 함께 살아가고 있다.이러한 생물 다양성은 항라사마귀(European mantis), 램즈혼(Ramshorn) 달팽이, 무해한 담수 해파리 등 셀 수 없이 다양한 무척추동물들까지 포함하면 매우 다양해진다.○ 이곳에서는 많은 생물들이 강 정비로 인해 더 이상 다른 곳에서는 찾을 수 없는 적합한 서식지를 찾을 수 있다. 국립공원의 성공을 위한 공식은 다양한 종들을 보호하기 위해 고안된 전략적 프로젝트와 신중한 자연 환경 관리의 조합에 기반을 두고 있다.○ 최근 수년 간 나무들이 자연스럽게 늙고 시들어 쓰러진 그 자리에 그대로 놓아두는 공원의 철학에 따라 국립공원 삼림 내 죽은 나무의 수는 두 배로 증가했다. 이는 성장하기 위해서 죽은 오크나무와 긴 시간을 필요로 하는 사슴벌레와 같은 곤충들에게 기쁜 소식이다.◇ 적을수록 좋은 숲 관리 접근법으로 자연적 활력 촉진○ 공원 직원들은 흰꼬리수리의 귀환을 특별히 자랑스러워한다. 흰꼬리수리는 2005년부터 도나우 습지에서 서식하고 있다. 현재 이 지역에는 다섯 쌍의 수리가 새끼를 낳아 기르고 있으며 겨울 동안에는 그 수가 계절에 따라 방문하는 새들을 포함하여 17마리에 달한다. 이러한 성공의 비결은 과연 무엇일까?○ 흰꼬리수리는 모든 종류의 소란에 극히 예민한다. 또한 넓고 보호된 장소를 필요로 하는데, 바로 도나우아우엔 국립공원에서 물고기와 물새를 사냥할 수 있는 넓은 물가뿐만 아니라, 새끼를 낳아 기르는 동안 둥지를 틀기에 좋은 조용한 숲 지대가 고루 갖춰져 있다.○ 2007년 이래로 파충류를 위해 '유리한 출발' 프로그램이 시행되고 있다. 둥지를 털어가는 여우와 담비로부터 새끼들을 보호하기 위해 견고한 금속 창살을 설치하고 파충류들에게 좀더 편안한 환경을 조성해주기 위해 목초지의 풀을 깎고 산책로를 막았다. 이런 방식으로 3,000마리가 ㅊ넘는 새끼들이 안전하게 삶을 시작할 수 있었다.○ 국립공원의 숲 관리 접근법을 한 마디로 말하자면 “적을수록 좋다”이며, 대자연이 스스로 알아서 할 수 있게끔 내버려두는 것이 이곳의 전반적인 태도이다.이를 위해 최근 수년 동안 강둑을 자연적인 형태로 복구하고 있으며, 지류들을 도나우 강 본류에 다시 연결하고 있다. 이러한 작업들이 습지의 자연적 활력을 촉진시키고 있다.◇ 자연과 문화적 유산의 연계○ 자연에서 좀 더 시야를 넓히는 것은 충분히 그럴만한 가치가 있는 일이다. 도나우 강이 자유롭게 흐르는 빈에서 브라티슬라바까지의 거리는 36㎞에 불과하며 마치펠드 평원부터 빈 분지까지는 4㎞ 남짓인데 이곳의 자연유산도 풍부하지만 문화적 유산 또한 자연적 풍경만큼이나 인상적인 것이기 때문이다.○ 독일 이름인 “슐로서하이(schlosserreich)”에서 유추할 수 있듯이 마치펠드 지역에는 성이 많다. 먼저 멋진 공원을 끼고 있는 바로크식 성인 슐로스 엑카르트자우(Schloss Eckartsau)가 있다. 이곳은 원래 황제의 사냥 숙소였으며 오스트리아의 마지막 황제인 찰스 1세(Charles I)의 마지막 거처이기도 했다.○ 그 다음은 오스트리아에서 가장 규모가 큰 지방 궁전인 슐로스 호프(Schloss Hof)이다. 사보이의 외젠 공의 사냥터였던 이곳은 2005년 대대적으로 보수되어 현재는 여러 흥미로운 이벤트가 열리는 마치펠드의 대표적 관광 명소로 자리잡았다.○ 슬로바키아와 접한 동쪽 국경에는 해자로 둘러싸인 요새인 바로크 마세그 성(Baroque Marchegg Castle)이 있다. 마세그는 오스트리아의 명실상부한 황새 도시로, 수백 마리의 황새가 새끼를 낳고 기르며 서식하고 있다.○ 도나우 강의 남쪽에는 페트로넬-카르눈툼(Petronell-Carnuntum)이 위치하고 있다. 로마 도시 카르눈툼의 고고학적 유적은 2000년도 더 전의 도나우 대도시의 삶이 어떠했는지 생생히 전달해 준다.이러한 발굴지 외에도 볼거리는 많다. 주택과 목욕탕, 그리고 심지어 도시 궁전까지 주의 깊게 재건되어 고대의 도시에 생명을 불어넣고 있다.○ 슬로바키아에는 국립공원 지역의 동쪽 경계에 데빈 성(Devin castle)의 폐허가 있다. 가파른 돌 성벽이 마치(March) 강과 도나우 강이 만나는 지점을 표시한다.◇ 비버: 풍경의 한 부분인가, 위협인가? 현황조사 후 공개토론 진행 예정○ 최근 수년간 오스트리아 빈과 마르히펠트 시내 및 주변 지역에서 비버가 확산하면서 과수원과 정원에서 피해가 반복됨에 따라 언론과 사회에서 화제가 되고 있다.도나우아우엔 국립공원은 오스트리아의 범람원 야생생물 보호구역이자 유럽 비버의 자연 서식지로, 이 문제와 관련하여 관심의 초점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2014/2015년 겨울에는 도나우아우엔 국립공원 내 오스트리아 남부 구역에 대해 비버 분포현황 조사를 진행했다. 도나우-아우엔 국립공원은 야생생물 보호구역이다.비버 개체수 증가에 대한 최신 추정치와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확보하기 위해 이 조사는 과거 10년간 진행되었던 비버 개체수 조사와 연계되어 실시되었다. 국립공원을 이 결과를 가지고 올해 국립공원 포럼에서 전문가 및 청중과의 토론을 진행할 예정이다.□ 일일보고서◇ ㅇㅇ군 ㅇㅇㅇ 의장○ 하천정비사업으로 조성되어 다목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도나우아우엔 국립공원센터에서 가장 눈이 띄는 것은 자연연못의 생태계의 지상과 지하를 한눈에 직접 볼수 있도록 만들어 놓은 시설이다. 어린 아이들에게 자연 체험학습을 할 수 있는 좋은 방문지로 생각된다.◇ ㅇㅇ군 ㅇㅇㅇ 주무관○ 도나우 강은 유럽에서 총 2,850km 두번째로 긴 강이고, 총 유역면적은 817,000㎢이다. 그 중 오스트리아에서의 길이는 350km에 불과하다. 도나우아우엔 국립공원센터는 총 면적 9,300ha 이상이며 중부유럽에서 가장 일관되고 생태학적으로 대체로 자연 그대로의 환경을 지니고 있다.800종 이상의 고등식물이 자생하고 있고, 30종의 포유동물, 100종의 조류번식 종, 8종 이상의 파충류, 13종의 양서류, 총50종의 어류들이 서식하고 있다. 2007년부터 천연자원을 보존하고, 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하고 있다.◇ ㅇㅇ시 ㅇㅇㅇ 주무관○ 도나우 강은 유럽에서 총 2,850km로서 두번째로 긴 강이며 총 유역면적은 817,000㎢이다. 그 중 오스트리아에서의 길이는 350km에 불과하다. 도나우아우엔 국립공원센터는 총 면적 9,300ha 이상이며 중부유럽에서 가장 일관되고 생태학적으로 대체로 자연 그대로의 환경을 지니고 있다.800종 이상의 고등식물이 자생하고 있고, 30종의 포유동물, 100종의 조류번식 종, 8종 이상의 파충류, 13종의 양서류, 총50종의 어류들이 서식하고 있다. 2007년부터 천연자원을 보존하고, 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하고 있다.◇ ㅇㅇ군 ㅇㅇㅇ 전문위원○ 인공으로 만든 강의 입구를 열고 닫음으로써 수위을 조절함은 친환경적이며 인공 강의 활용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ㅇㅇ군 ㅇㅇㅇ 주무관○ 도나우 강의 고질적인 홍수를 대비하기 위해 인공적으로 물길을 크게 내어 홍수 피해를 줄인 것은 국가적으로 큰 사업이었다고 생각한다.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