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지몬스발트"으로 검색하여,
5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4-05-02□ 꼴마르와 흑림의 그린투어리즘 체험 꼴마르/애니스트럽/흑림농가민박(Colmar/Annie Strub/Landgast㏊us Gruner Baum)현장체험프랑스, 독일꼴마르, 오베르네, 지몬스발트 ◇ 프랑스 남부 시골마을의 지역마케팅 성공사례○ 꼴마르는 프랑스 북동부 알자스 지방에 있는 인구 6만여 명의 소도시이다. 라인(Rhein) 강을 경계로 독일과 프랑스의 국경에 위치하고 있어 두 나라를 오가며 귀속된 역사를 가지고 있다.지금은 프랑스 영토이지만 1871년부터 1919년까지 38년간 그리고 2차 세계대전 중에는 독일의 영토였다. 그래서 이 지역의 주민들은 독일어와 프랑스어를 모두 구사한다.○ 꼴마르와 스트라스르를 비롯한 알자스 지방은 와인과 더불어 유명인사를 활용한 스토리텔링, 그리고 지역마케팅으로 많은 관광객을 불러 모으고 있다.이렇게 작은 시골도시가 어떻게 세계적으로 유명한 관광지로 각광받게 되었는지 비결을 알기 위해 연수단이 방문했다.◇ 지역 유명인사를 관광 마케팅으로 활용○ 꼴마르는 뉴욕의 상징인 자유의 여신상을 만든 조각가인 프레데릭 오귀스트 바르톨디(Frédéric-Auguste Bartholdi)의 고향이다.1834년 출생한 바르톨디는 회화를 전공하고 22세가 되던 해인 1855년 이집트를 방문하여 스핑크스를 보면서 대형 건축물에 크게 매료되었다. 이후 1880년 ‘벨포르의 사자’ 조각을 통해 ‘프랑스 국민작가’ 칭호를 받게 되었다.▶ 프레데릭 오귀스트 바르톨디(Frédéric-Auguste Bartholdi, 1934~1907)• 1834년 출생 회화전공• 1855년 이집트 스핑크스 여행에서 대형 건축물에 매료• 1870년 보불전쟁 참가• 1880년 ‘벨포르의 사자’ 조각. 프랑스 국민작가로 지칭됨• 1907년 사망○ 세계적인 명성을 얻은 것은 1885년 미국 독립 100주년을 맞이하여 프랑스가 선물한 ‘자유의 여신상’을 통해서이다. 이 조각상은 1875년 만들기 시작하여 1884년 완성되었고 배를 통해 1885년 미국에 이송되어 1886년 현재의 위치에 세워졌다. 이 조각상은 1984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는 명예도 거머쥐었다.○ ‘자유의 여신상’은 바르톨디의 어머니를 모델로 만든 작품이다. 어머니를 모델로 조각을 하다가 어머니가 사망하자 어머니와 닮은 여인을 모델로 구했다.작품을 마친 후 그녀와 결혼한 일화도 유명하다. 바르톨디는 자신의 어머니와 부인을 가장 크게 조각한 사람으로 남은 셈이다.○ 1907년 바르톨디 사망 후 가족들은 꼴마르에 있던 그의 생가를 시에 기증했다. 그의 생가는 박물관이 되었고 꼴마르가 유명 관광지가 되는데 기여했다.바르톨디 박물관 내에는 다양한 ‘자유의 여신상’ 습작을 비롯하여 바르톨디의 여러 작품들이 전시되어 있다. 꼴마르 시는 박물관과 함께 시내 곳곳에 그의 다양한 작품을 전시하여 관광상품화하는데 성공했다.◇ 독특한 마을 만들기로 관광객 유치○ 꼴마르에는 주변의 아기자기한 건물을 가로질러 시내를 흐르는 작은 강인 로슈강을 따라 뱃길이 있다. ‘쁘띠 베니스(Petite Venice)’라고 부르는 작은 운하인데, 매우 아름다운 경치를 가지고 있어 관광객에게 인기가 많다.○ 이 운하는 중세 시대에 와인을 운반하던 수로였는데, 지금은 관광객이 탈 수 있는 작은 보트가 다니고 있다. 운하 주변의 전통가옥들은 하나같이 창문과 테라스에 꽃으로 장식하여 아름다운 풍경을 연출한다.이 곳은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애니메이션 ‘하울의 움직이는 성’의 배경으로도 많은 관광객을 끌어 모은 바 있다.○ 예전에는 꼴마르 대성당과 바르톨디 박물관이 있는 구도심 중심으로 관광객이 집중됐는데, 주민 참여에 의한 마을 만들기를 통해 쁘디 베니스 지역까지 관광지를 확장하는데 성공했다.◇ 지역 특산물을 활용한 알자스 와인가도의 와이너리 체험○ 연수단은 알자스 와인가도(La Route des Vins)에 자리 잡은 소박한 시골 와이너리인 애니스트럽(Annie Strub)을 방문하여 와인재배 농가의 체험형 농촌관광을 경험하는 시간을 가졌다.○ 알자스 와인가도는 독일과의 국경지역인 프랑스 알자스 지방의 보쥬산맥 동쪽 경사면 170㎞ 구간을 말한다. 이 지역은 강우량이 적고 일조량이 많아 포도재배 및 와인생산에 적합하다.또한 굽이굽이 이어진 시골길이어서 계절별로 익어가는 포도가 어우러지는 와인재배지의 아름다운 풍경을 바라볼 수 있다.○ 애니스트럽이 자리 잡은 오베르네는 스트라스부르에서 뮐루즈로 내려가는 와인가도에서 처음 만나는 작은 마을이다. 이 곳의 사장님은 어머니인 ‘애니(Annie)’ 씨로부터 대를 이어받아 와이너리를 운영하고 있다.알자스 지방에는 이 곳과 같이 포도의 생산부터 와인 제조, 판매, 유통, 체험을 겸하는 농촌관광이 무척 활성화되어 있다. 연수단은 이 곳의 지하 와인저장고와 셀러를 시찰하고 오랜 시간을 거쳐 오크통에 숙성하고 있는 4가지의 와인을 체험할 수 있었다.◇ 흑림의 임업과 농촌생태관광의 공존○ 흑림(Black forest)은 독일 남서부 지역 바덴-뷔르템베르그 주에 분포되어 있는 산림지대를 말한다. 흑림은 스위스 접경 지역에서부터 독일 슈투트가르트에 이르는 총 75만㏊의 거대한 인공숲이다. 길이는 남북으로 60㎞, 동서로 20㎞ 정도된다.○ 흑림이라는 이름은 빽빽이 들어선 아름드리나무 때문에 하늘이 보이지 않는다고 해서 붙여진 것이다. 이 지역의 수종은 아름드리나무, 가문비나무, 전나무가 대부분이다. 그래서 이 나무를 이용한 뻐꾸기시계를 특산품으로 만드는데, 시계추는 가문비나무의 열매 형상을 하고 있다.○ 이 곳은 아름다운 숲을 바탕으로 농업, 입업, 목축업, 관광업 등이 복합적이면서도 유기적으로 발달해 있기 때문에 근대 임업의 메카로 꼽힌다.또한 유럽에서도 가장 좋은 휴양지로 각광받고 있으며, 여름에는 산행, 겨울에는 동계스포츠를 즐기는 사람들로 성시를 이룬다.○ 흑림 내에는 농가를 활용한 민박이 활성화되어 있어, 산림휴양을 원하는 사람들에게 일 년 내내 인기가 있다. 방학이나 크리스마스 등 연휴가 있는 시기에는 1년 전부터 예약을 해야 할 정도이다. 보통은 일주일에서 한 달 이상 장기체류를 한다. 일주일 미만의 이용객에게는 오히려 단기체류할증세금을 걷고 있다.○ 민박농가에서는 이용객에게 지역 대중교통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코누스 게스트 카드(KONUS Guest Card)’를 지급해준다.이 카드를 이용하면 쯔바이퇼러란트(Zweitaelerland)를 비롯한 전체 흑림의 버스와 철도, 관광시설이 모두 무료이고, 전기자전거 대여 시에는 곳곳에 있는 충전소에서 배터리를 무상 교체할 수도 있다.○ 민박농가는 주기적으로 정부의 평가를 통해 등급을 받는다. 평가기준에는 어린이 놀이시설 마련과 가족적 분위기 조성 등이 포함된다.숙박형태는 호텔형, 민박형, 펜션형 등 다양하다. 연수단은 이 세 가지 형태의 농가숙박시설에 분산하여 머물며, 서로 다른 체험을 나누는 시간을 가졌다.◇ 흑림의 농가박물관○ 흑림의 농가박물관은 오랫동안 쓰지 않고 방치된 물레방앗간을 그대로 보존하여 박물관으로 만들고, 독일의 전통적인 농가의 모습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관광상품으로 활용한 사례이다.○ 연수단은 민박에서 지급해준 코누스카드를 가지고 농가박물관에 입장할 수 있었다. 이 박물관에는 200년 전의 물레방아가 여전히 작동하고 있고, 농가의 생활도구도 그대로 보존되어 있다.특히 점심 식탁에 내 놓은 전통방식으로 만든 빵과 돼지고기, 치즈, 사과와인 등은 그 자체로도 훌륭한 문화상품이 될 정도였다.○ 이 날 연수단이 제공받은 돼지고기 요리는 ‘하몬(Jamón)’이라는 전통음식으로, 돼지 뒷다리를 소금에 절여 건조하는 방식으로 숙성시킨 햄(㏊m)의 일종이다. 박물관의 주인은 장기간 소금에 절여 건조해 만드는 특별한 음식이라며 자부심을 드러냈다.
-
2009-08-27방문일시2009.08.27 14:00방문기관Elztalmuseum Waldkirch연락처Regionalgeschichte und Orgelbau Kirchplatz 14 D-79183 Waldkirch Tel : +49 7681 4785 30 Fax : +49 7681 255 62 info@elztalmuseum.de www.elztalmuseum.de 장소엘츠탈박물관(오르간박물관)안내Michael Hiss Dipl.-ing(Orgelbauer)○ 정식 명칭은 발트키르히 엘츠탈박물관발트키르히가 속한 쯔비아퇼러란트군의 최대 관광자원은 자연과 생활이다. 숙소는 농가민박과 자동차 야영장 정도를 제공하고 있고 승마와 농장 체험을 할 수 있는 시설들이 있다.특별히 새롭게 만든 인공적인 구조물 대신 그냥 농사짓고 목축하는 모습을 손님들에게 그대로 보여주고 있는데 여기에 나름대로 볼거리를 제공하는 것이 곳곳에 흩어져 있는 작은 박물관들이다.쯔바이퇼러란트군은 지역에 흩어져 있는 박물관, 민속촌 등 어메니티 자원을 활용한 소규모 문화시설들을 연계해서 자칫 무료해지기 쉬운 손님들에게 작은 규모지만 독특한 볼거리를 제공하고 있었다.작은 박물관들이 흑림 지역 농촌관광의 중요한 자원 역할을 하고 있는데 이 중 대표적인 박물관이 우리가 찾은 오르간 박물관이다.오르간 박물관의 정식 명칭은 ‘발트키르히 에르탈박물관(Elztalmuseum Waldkirch)’이다. 그런데 전시품이 오르간 중심이고 오르간 때문에 이곳을 찾는 방문객이 대부분이라 ‘오르간 박물관(Orgel Museum)’으로 더 많이 알려져 있다.슬로시티를 주제로 한 오전 브리핑과 견학이 끝나고 연수단은 발트키르히 시내에서 식사를 한 뒤 잠시 휴식을 취한 연수단은 소화도 시킬 겸 시내 중심가에 있는 오르간 박물관까지 ‘슬로시티’를 산책했다.○ 스토리텔링에 기반을 둔 재미있는 해설▲ 오르간 기술자 히스씨와 이환 화백[출처=브레인파크]박물관에서는 오르간 기술자인 미카엘 히스(Michael Hiss)씨가 기다리고 있었다. 히스씨는 평상시에는 오르간 제작회사에서 일하다가 중요한 손님이 오면 이 박물관에서 자원봉사를 한다.그는 지역의 전통산업이었던 오르간 제작업과 오르간 축제를 계기로 한 지역마케팅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 주었다. 그의 설명은 매우 재미 있었고 오르간을 작동하면서 오르간에 얽힌 시대상을 다양한 방법으로 설명해 관람객의 흥미를 자아냈다.안내원이 직접 오르간을 연주하면서 오르간이 탄생했던 시대적 배경과 다양한 스토리들을 들려주는 스토리텔링 방식은 작은 박물관이 관광객들에게 인기를 끌고 있는 비결이다.오르간 박물관은 뻐꾸기시계로부터 펀치카드로 조종하는 악기를 거쳐 21세기의 컴퓨터와 로봇까지 오르간 제작의 전통을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는 곳이다.방문객들은 오르간 제작 기술자의 안내를 받으며 환상적인 휴대용 오르간, 오케스트라용 오르간, 모델 오르간과 회전 오르간 등 귀중한 보물들을 직접 연주해 볼 수도 있다.복도에 전시되어 있는 현대적 감각의 오르간은 발트키르히에서 오르간이 제작된 지 200주년을 기념해 이 지역 출신 예술가 오트마 알트(Otmar Alt) 가 설계하고 발트키르히 오르간 공장에서 만든 오케스트라 오르간이다.정식 이름은 ‘알토벨라 푸리오자(Altobella Furiosa)’라고 한다. 이 오르간은 각종 축제 때 거리로 나가 연주를 하고 특별한 공연이나 축제에도 대여된다.▲ 오르간 제작 200주년을 기념해서 제작한 오르간은 발트키르히시의 로고가 되었다[출처=브레인파크]○ 200년간 이어온 수공예 오르간의 전통앞서 살펴보았듯이 치타슬로 연맹에 가입하려면 여러 가지 조건을 충족해야 하는데 그 중 하나가 다른 지역과 차별화되는 독특한 특산품의 존재이다.발트키르히는 치타슬로에 가입할 때 이 조건에서 만큼은 다른 치타슬로를 압도했을 것이다. 그것은 이 마을이 세계적인 수공예 오르간의 전통을 200년 이상 계승해 오고 있기 때문이다.히스씨가 준 자료에 따르면, 발트키르히에서 오르간이 처음 제작된 것은 1799년이다. 마티아스 마르틴이라는 사람이 발트키르히를 거점으로 오르간 제작을 시작했다. 그의 기술이 세계적으로 인정받으면서 발트키르히가 오르간의 도시로 알려지게 되었다.1834년 휴대용 오르간의 창시자로 유명한 이그나스 블라시우스 형제가 지몬스발트에서 발트키르히로 옮겨온 이후로 유럽에서 거의 독보적인 오르간 제작의 메카로 성장하기 시작했다. 예술적으로 만들어져 세계로 공급되는 악기들은 발트키르히를 세계적인 악기제조 마을로 만들었다.교회 오르간, 회전 오르간, 오케스트리온, 휴대용 오르간, 7현 오르간 등이 발트키르히에서 제작되어 전 세계로 퍼져나갔다. 파리, 페테스부르크, 런던, 암스테르담과 로마에서 발트키르히의 오르간들이 그 다양한 음색을 뽐내기 시작했고 댄스 살롱과 레스토랑, 바자회와 노천시장에서 음악을 대중화시키는데 큰 공헌을 했다.‘오르간의 왕국’ 발트키르헤에서 만들어진 오르간은 국제적인 명성을 얻게 되었고 지금까지 남아 있는 오르간 회사를 통해 그 명성을 유지하고 있다.아직도 남아 있는 4개의 오르간 제작공장에서는 오래된 악기들을 수리하고 복원하고 매일 새로운 수공예품 오르간을 선보이고 있다.○ 3년에 한번 국제오르간 축제 개최발트키르히는 오르간으로 지역마케팅을 하고 있다. 발트키르히에서는 오르간의 음률이 사람들을 움직이는 듯하다. 지금도 매일 12시에는 시청 광장에서 오르간 연주가 있다. 오르간 박물관에 소장된 오르간들도 방문객이 찾아오면 열성적인 가이드가 아름다운 연주를 한다.발트키르히에서 제작된 오르간의 역사를 보전하고 있는 오르간박물관은 세계 오르간의 명소가 된지 오래다. 이 박물관은 발트키르히 오르간재단과 2개의 오르간 지원 단체와 함께 오르간 축제를 주관하고 있다.발트키르히는 3년에 한 번 6월 달에 국제 오르간 축제를 개최하고 매년 10월 미식주간에는 오르간 음악과 요리를 연계하는 축제를 개최한다. 오르간 연주는 음식 맛을 더욱 돋궈주는 역할을 한다.가장 최근의 국제오르간 축제는 2008년 열렸다. 다음에는 2011년에 오르간 박물관과 시청 광장을 비롯해 모든 거리에서 오르간 소리가 울려 퍼지는 축제가 열릴 것이다.오르간 축제는 세계적으로 유명하고 유일무이한 축제이다. 추억을 떠올리게 하는 손으로 돌리는 오르간과 오케스트리온의 소리는 관광하는 젊은 사람들과 나이든 사람들에게 특별한 경험을 하게 한다.축제가 열리는 3일 동안에는 도시의 모든 거리에서 세계 각국에서 온 수 만 명의 방문객들이 오르간 연주에 맞춰 춤을 추는 장면을 볼 수 있다.또한 교회 오르간으로부터 7현 오르간까지, 오케스트라 오르간에서 휴대용 오르간과 회전 오르간까지 전 세계에서 출품된 대형 오르간 20개와 소형 오르간 200개가 전시된다.미국 프랑스 등지의 오르간 애호가들이 오래된 오르간을 가지고 수백 명씩 축제에 참석하는데 칠레와 쿠바에서도 출품될 정도로 오르간 애호가들에게는 발트키르히가 잘 알려져 있다고 한다.출품된 오르간들은 박물관과 공장에 전시되며, 축제기간 동안 거리에서 공연을 하며 먹고 마시고 춤을 추고, 오르간을 테마로 한 야외극과 연극이 계속된다.각자 출품한 자신의 오르간 소리를 뽐내는 전시회도 구경할 수 있다. 축제기간 동안에는 발트키르히에 있는 오르간 공장 4개를 모두 공개하며 전통 오르간을 소장하려는 사람들에게 주문을 받기도 한다.○ 발트키르히 오르간 거리 지정한편, 오르간의 역사가 어린 스위스 제벤으로 발트키르히를 지나 네덜란드 우트레흐트까지, 발트키르히 오르간의 신화를 쫓는 ‘발트키르히 오르간 거리’가 지정되어 있다. 지역의 역사와 자원을 발굴해 스토리텔링의 기반으로 삼기 위한 목적이다.
-
2009-08-26방문일시2009.08.26 15:30방문기관Elztal & Simonswaeldertal Tourismus GmbH연락처쯔바이퇼러란트 관광공사im Bahnhof Bleibach 79261 Gutach im BriesgauTel : +49 7685 9088 913장소쯔바이퇼러란트군 회의실브리핑Albrecht Nitz(Marketingleiter)○ 6가지 연수 주제가 기다리는 흑림 속으로! 흑림에서는 그린투어리즘, 생산이력제 관리, 슬로시티 전략, 박물관의 스토리텔링, 지속가능한 산림정책을 주제로 연수를 하고 농가민박을 직접 체험할 예정이었다. 흑림에서는 6개 주제가 기다리고 있었다. 그야말로 줄줄이 이어지는 브리핑 일정에도 누구 하나 싫은 기색 없이 원만한 협조 속에 연수가 진행되고 있었다.▲ 한적한 지몬스발트 마을 전경[출처=브레인파크]지몬스발트, 구타흐, 발트키르히가 속한 쯔바이퇼러란트 지역은 흑림의 중심에 있다. 이 지역은 살충제를 사용하지 않고 천연퇴비, 바이오가스, 태양열 에너지를 이용한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쇠고기, 양모, 면화, 절화, 와인, 목제 등의 특산물을 생산한다. 이를 가공 판매해 소득을 창출하고 있다.또한 농촌관광이 활성화되면서 최소 300여 종에 이르는 특색 있는 빵과 케이크, 색다른 맛의 양고기와 쇠고기 등의 식품이 독일 전역에 판매된다.○ 민박비용 내면 대중교통과 관광시설 무료이 지역의 농촌관광시스템은 독일 내에서도 매우 선진적인 것으로 정평이 나 있다. 숙박료에 휴양세를 포함하여 징수하고 민박집에서 '쯔바이퇼러란트 카드'를 발급한다.관광객들이 교통시설과 박물관 등 다른 볼거리를 무료로 또는 할인해서 이용하도록 하는 ‘원스톱 카드’제도는 이 지역 농촌관광 활성화에 많이 기여하고 있다.또한 대중교통을 이용해서 농촌 역에 도착하면 ‘자동차 함께 타기 시스템’을 통해 승용차가 없어도 마음대로 돌아다닐 수 있게 되어 있다.생산, 가공, 서비스가 유기적인 시스템으로 결합된 독일의 농촌 중 대표적인 곳으로 알려진 쯔바이퇼러란트. 이곳에 연수단이 도착한 시간은 오후 4시.공동브랜드 전략에 대해 발표할 괴페르트(Goeppert) 회장과 함께 쯔바이퇼러란트관광공사의 알브레시트 니츠(Albrecht Nitz)국장이 회의실에서 반갑게 연수단을 맞이했다.이날 일정은 니츠국장으로부터 쯔바이퇼러란트의 농촌관광 전략에 이어 클라우스 빈더(Klaus Binder)회장에게 명품브랜드 전략에 대한 브리핑을 듣는 순서로 진행됐다.○ 흑림의 두 계곡 사이에 있는 조용한 산촌연수단이 방문한 쯔바이퇼러란트(Zweitaelerland : 번역하면 ‘두 계곡군’이라는 뜻이다.)군은 흑림의 가장 중심에 있는 엘츠 계곡(Elztal)과 지몬스발트 계곡(Simonswaldtal)사이에 있다.군청 소재지인 발트키르히에 2만1000명을 비롯해 엘자흐 7,500명, 구타흐 4,300명, 빈덴 2,800명, 지몬스발트 3,100명, 비더바흐 1,800명 등 모두 6개 마을에 4만5,000명이 살고 있다.이 자치단체는 ‘지속가능한 관광’을 목표로 농촌관광을 진행하고 있다. 전체 면적은 270㎢이며, 해발 243m에서 1,243m사이에 위치해 있다.프랑스 동쪽 25㎞, 스위스 북쪽 70㎞ 지점, 독일의 유명한 환경도시 프라이부르크(Freiburg)에서 북동쪽으로 15㎞ 떨어진 곳에 있다. 생활권인 프라이부르크와 연결되는 시가전차(S-bahn) 정류장이 9개, 버스 정류장이 200개가 있어 대중교통도 잘 발달된 곳이다.○ 차별화 전략이 핵심 과제독일에서 농촌관광을 하지 않는 농촌은 이제 거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약 8,000개의 마을이 농촌관광에 뛰어들었다고 한다.니츠국장은 “쯔바이퇼러란트는 어떻게 이 경쟁에서 살아남을 것인가를 항상 염두에 두고 관광정책을 펼치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또 “서비스와 상품의 질을 끊임없이 향상시키고, 지역의 고유자원을 보호하는 지속가능한 관광으로 승부를 걸고 있다.”고 밝혔다.먼저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종사자들에게 끊임없이 동기 부여를 하고 고객과의 네트워크를 활발하게 구축하는 활동을 하고 있다. 지속가능한 관광을 위해서는 △이동의 감소 △신재생에너지의 이용 △지역의 문화 보전 △자연유산 보호 △순환농업 장려 △지역주민 참여시스템 확대를 추진한다.지속가능한 관광 발전을 위한 단기 과제로 △지역에 있는 특화된 자원의 분석 △지역주민과 함께 일할 수 있는 관광자원 발굴 △고객과의 네트워킹 강화 △지역특산물 생산판매 지원 △각종 이벤트 참여 독려 △지역에서 생산된 제품을 지역에서 소비하는 지역자급 시스템 구축 등을 추진한다.○ 지역에 산재한 인적자원 발굴 중요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지역에 산재한 새로운 인적자원을 발굴하고 준비시키는 것이다. 외부에서 전문가를 들여오는 것이 아니라 지역에서 배출된 전문가들의 주도로 일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고 있다.니츠 국장은 “지속가능한 관광을 실천하는 업자들 간의 공모전을 추진하는 등 지역 주민과 공동으로 프로젝트를 개발하고 실천하는 것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독일에서는 2002년부터 서비스산업에도 Q상표가 도입되었다. 공산품과 마찬가지로 관광서비스에 대해서도 품질을 인증해 주는 제도를 만든 것이다. 이 군은 각종 관광 서비스에 있어서 Q마크를 획득하는 것을 염두에 두고 관광정책을 펼치고 있다.농촌관광의 발전을 위해서는 민박의 품질관리를 엄격하게 하는 등 차별화가 필요하다. 이곳의 차별화전략은 환경보호를 위한 통합교통체계와 쯔바이퇼러란트 카드, 그리고 대체에너지 코스 등 환경테마를 중심으로 한 체험 프로그램, 그리고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 유도라 할 수 있다.○ 철도와 자전거 이용 권장이곳에서 지속가능한 농촌관광을 위해 역점을 두고 있는 시책의 하나가 통합교통체계의 운영이다. 흑림에서는 대형관광버스의 진입을 억제하고 철도와 자전거 이용을 적극 권장하는 교통정책을 펼치고 있다.철도의 경우 대도시는 국철이 담당하지만 작은 지역 간 연결은 프라이부르크지역 운수업체연합(RVF)에서 지역철도와 지역 버스를 연계하는 시스템을 만들어 운영하고 있다.교통과 관광은 하나다. 농촌은 교통이 불편한 것이 당연한 것. 이들은 많은 사람들을 농촌관광으로 끌어들이기 위해서는 도시와는 다른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신속한 연결과 함께 도시에서는 제공할 수 없는 별도의 인센티브를 준비해야 한다. 쯔바이퇼러란트에서는 숙박객들을 위한 쯔바이퇼러란트 카드를 준비해 두었다.○ 차별화된 서비스, KONUS 카드군은 2000년부터 2004년까지는 손님이 숙박비와 함께 지불하는 휴양세로 카드를 발급하고 이 카드로 쯔바이퇼러란트의 각종 관광시설을 3일 동안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3일 티켓을 운영한 바 있다.이곳에 휴양을 오면 성인 1인당 1일 1.4유로의 휴양세를 내는데 이 돈을 재원으로 관광시설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1.4유로 중에서 31센트는 교통기관으로 교부된다.이 제도는 2005년부터는 흑림의 숙박객들에 한 해 흑림 전체의 버스와 철도를 포함 전체 관광시설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KONUS 카드’로 발전했다.2005년부터는 손님들이 숙박비를 내면 KONUS 카드를 준다. 손님들은 이 카드가 있으면 버스나 기차 등 흑림지역 총 2900km에 이르는 교통망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박물관이나 미술관 등 130개에 이르는 시설도 할인을 받거나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손님들은 3일간 RVF에서 운행하는 2,900km의 넓은 노선망, 즉 노이엔부르크(Neuenburg)에서 헤르볼쯔하임(Herbolzheim)까지, 브라이자흐(Beisach)에서 티티제(Titisee)까지 이 카드를 가지고 아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모든 야외 수영장과 덴쯔링엔(Denzlingen)과 프라이암트(Freiamt)의 실내 수영장, 그리고 엘츠탈 박물관과 발트키르히의 슈바르츠발트 동물원, 엘자흐의 박물관, 지몬스발트의 오일박물관과 마을박물관에 입장할 수 있다.이 카드는 일일이 입장료를 끊지 않아 매우 편리하며 또 저렴해 방문객들이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는 열쇠가 되고 있다. 니츠 국장은 “손님들이 이곳에 많이 찾아오는 이유 중의 하나가 이 카드 때문”이라고 말했다.자가용 없이도 원하는 곳을 쉽게 무료로 이동하고 원하는 시설에 무료로 입장할 수 있다는 것이 큰 장점이 되고 있는 것이다. ○ 주민의 차량을 이용한 렌트카 서비스두 번째 차별화 전략은 ‘자동차 함께 타기 시스템(Car-Sharing)’이다.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해서 이곳을 방문하면 환경에는 도움이 되어도 불편한 점도 있다. 버스나 기차가 운행하지 않는 구간을 이동할 때나 급하게 차량이 필요할 때에는 문제가 된다.쯔바이퇼러란터군은 이런 경우를 대비한 대책도 세우고 있다. 지역주민들이 자발적으로 특별히 렌터카 회사에 가지 않고 현지에서 자동차를 시간 단위로 임대해서 사용할 수 있는 '자동차 함께 타기 시스템(카쉐어링, Car-Sharing)'을 만든 것이다.손님들이 자동차가 필요할 경우에 민박집 주인에게 말하면 자신의 차량이나 이웃집 차량을 바로 연결해 준다. 이 시간은 약 5분 정도 밖에 걸리지 않는다고 한다.요컨대 주민의 차를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저렴한 렌터카 서비스이다. 주민은 자신의 승용차를 렌터카 회사에 등록해 놓고 집에 두면서 사용하지 않는 시간에 민박 손님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빌려주고 있다. 손님들은 대개 그 마을의 차를 쓰며 어떤 경우는 민박집 주인 차를 이용하기도 한다.차량 임대비용은 매우 저렴한 편이고 아예 잠시 빌려준 경우 요금을 받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이 제도는 차를 직접 가져오지 않아도 언제든지 차를 빌려 쓸 수 있기 때문에 아주 효과가 좋다. 2004년부터 2006년까지는 휴가지에서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도입해 좋은 반응을 얻었다. ○ 환경테마 중심의 체험프로그램 세 번째는 환경테마를 중심으로 한 체험코스 개발이다. 이곳은 가족 관광에 중점을 두고 있다. 아이들이 좋아하는 체험 프로그램을 잘 운영하면 한 번 방문한 가족들이 입에서 입으로 구전 홍보를 하고 이를 통해 지역 이미지가 형성된다고 보고 있다.친환경적인 체험프로그램에는 먼저 자전거 투어가 있다. 프랑스에서 개최하는 세계적인 자전거대회의 코스가 여기서 멀지 않은 지역을 지나가고 있다는 점을 적극 활용한다.이곳의 자전거 코스는 유럽 전역 가운데 매력적인 코스로 자리 잡아가고 있으며 군에서는 부족한 자전거 도로를 확충하는데 많은 예산을 지원해 주고 있다. 숙소에 있는 홍보물을 보면 자전거 수리, 대여를 할 수 있는 곳과 코스가 소개된 홍보물이 여러 종류 진열되어 있다.또 하나, 특징적인 프로그램은 재생에너지 코스이다. 이곳은 프라이부르크 인근이라 재생가능 에너지가 많이 보급되고 있다. 태양광전지를 지붕에 올려 전기를 생산해서 판매하는 주민이 날로 늘어나고 있다.이런 점을 농촌관광에 적극 활용하는 것이다. 풍력발전기와 태양광 에너지 시설, 바이오매스 시설을 견학하는 프로그램이 인기를 끌고 있다고 한다.○ 추진 주체간 긴밀한 네트워크가 중요쯔바이퇼러란트의 농촌관광은 다양한 차별화 상품을 개발하면서 이제 상당한 궤도에 올랐다. 하지만 처음부터 쉬웠던 것은 아니다.농촌관광은 지역 업체들이 참여해서 연계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효과가 있는데 지역 업체들의 이해와 설득을 구하는 일이 가장 어려웠다고 한다.군에서는 1980년대부터 지역주민이 참여한 농촌관광시스템을 구축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지역의 교통, 숙박, 식품회사들과 농민들을 찾아 서로 협력하자고 설득했다.공장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농가에 젊은이들이 없어 농가를 설득하는 데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업체들의 이해관계도 달라 어려웠다고 한다. 하지만 결국 서로 돈을 버는 방법이라는 것을 깨닫고 뭉치게 되었다.가장 중요한 것은 홍보활동이라고 본다. 지역철도, 버스, 관광회사들과 공동으로 마케팅을 한다. 처음에 가장 반대했던 사람들이 교통회사 사람들이었다. 그러나 이제는 그들도 관광객이 오면 수입이 오르기 때문에 농촌관광 홍보에 열심이라고 한다.이런 노력으로 쯔바이퇼러란트군은 1996년에는 독인 연방에서 가장 친환경적인 관광지로 선정됐다. 이듬해인 1997년도에는 독일 민박관광 1위상을 받았다.독일 내에서 자연과 함께하는 가장 우수한 민박마을로 인정받았다. 2004년에 개발한 철도를 이용한 일요일 소풍프로그램은 철도여행프로그램 분야에서 ‘유럽혁신상’을 받기도 했다.쯔바이퇼러란트의 녹색관광이 알려지면서 외국인 관광객들의 증가속도가 빨라지고 있다. 하지만 독일인 관광객의 증가 속도는 느린 편이다.해외로부터의 문의는 증가하고 있는데 관광공사를 통해 여행 정보를 받아보는 독일인 중 관광플랜을 의뢰하는 경우는 2%에 불과하다고 한다. 고객의 요구에 맞는 지속가능한 다양한 관광상품을 개발하여 독일 내 관광객의 방문율을 높이는 것이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는 것이다.○ 민간 공동마케팅 회사 설립독일은 지역관광산업의 발전을 위해 자발적으로 만들어진 민간회사들이 많이 활동하고 있다. 숙박업소나 식당, 주요 관광시설들은 이 민간회사를 통해 홍보와 마케팅을 추진하는 사례가 많다.브리핑을 한 쯔바이퇼러란트 관광공사도 2000년에 지역관광산업의 발전을 위해 관광 홍보마케팅 회사가 필요하다는 지역 여론에 따라 민간인들이 설립한 공적인 성격의 회사다. 우리나라 자치단체의 문화관광과가 하는 일을 민간에 맡기고 있다고 보면 된다.이 회사는 쯔바이퇼러란트에 속한 6개 마을의 관광정책을 수립하고 관광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니츠 국장은 “방문객들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산재되어 있는 다양한 상품들을 조직적으로 엮어서 하나의 관광상품으로 만들고 홍보물을 제작해서 알리는 일이 중요하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이런 문제의식에 공감한 6개 마을의 리더들이 힘을 합쳐 공동으로 민간회사를 설립한 것이다.회사를 경영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수익사업을 펼쳐야 한다. 관광공사의 수익사업에는 관광업체를 소개하는 홍보물 제작도 포함되어 있다. 홍보물에 관광업체의 광고를 유치하는 방법으로 수익을 올리는 것이다.관광홍보와 함께 예약 서비스도 수익을 창출하는 방법이다. 소농을 기본으로 하는 이곳 농가들은 농산물이나 민박을 개별적으로 홍보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관광공사가 일정한 수수료를 받고 공동마케팅을 대행하고 있다.관광공사는 관광시설에 대한 투자도 하고 있다. 발트키르히에 있는 190미터에 이르는 숲속 미끄럼틀도 관광공사가 투자한 시설이다.관광공사는 어린이 놀이시설에 투자를 할 때도 지속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있다. 에너지가 많이 드는 시설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최대한 자연재료를 사용한 놀이시설을 만드는 것이 원칙이라고 한다.관광공사는 정규직 3명, 비정규직 3명, 인턴사원 2명이 일하고 있다. 군청에서는 이 회사에 개별적으로 관광발전과 관련된 프로젝트를 의뢰하고 비용을 지불하고 있다.사실 처음에는 지역별 업체별로 이해관계가 달라 공동마케팅 조직을 만드는 것이 쉽지 않았다고 한다. 예약 문의가 오면 어느 지역부터 소개할 것인지, 관광코스에 어느 지역을 포함시킬 것인지 등 이해관계가 얽힌 문제들이 많았다.이런 이해관계를 군청과 관광공사 임원이 함께 설득하고 이해시켜 일정한 룰이 정해지면서 관광공사의 사업은 안정을 찾았다고 한다. 니츠 국장은 “무슨 일이든 이해관계를 가진 주민을 설득하고 조정하는 기능이 뒷받침될 때 좋은 성과를 이룰 수 있는 것”이라 강조했다.관광 주체들의 역량을 한 곳으로 모으는 한편으로 이해관계를 조정하고 설득해서 공동으로 홍보 마케팅을 하는 체계는 우리 자치단체의 관광산업 육성정책에 충분히 접목해 볼 수 있을 것이라는 판단이다.관광산업에 이해관계가 있는 민간 주체가 앞장서서 관광상품을 개발하고 관광정책에 대한 조언을 하면 행정에서는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체계를 갖추는 것이 우리나라 농촌관광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도 필요할 것이다.○ 자동차 없는 농촌관광 도입 검토브리핑을 받은 뒤 연수단의 한 참가자는 “자연 환경을 보전하고 지속가능한 관광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자동차를 가져오지 않는 농촌관광을 개발하면 가능성이 있을지”를 물었다.참가자들 간에 다소 비관적인 의견도 있었지만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추세인데다 뭔가 특별한 것을 원하는 관광객도 많아지고 있어서 충분히 가능성이 있을 것이라는 의견이 다수였다.쯔바이퇼러란트의 카쉐어링 시스템은 일종의 주민 렌터카 회사이다.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해서 버스 터미널이나 역에 도착하면 송영서비스를 나가고 마을에서 민박을 하면서 급히 차량이 필요할 경우 마을에 있는 등록된 차량을 잠시 빌려주는 시스템이다.카쉐어링 제도는 렌터카 보다 훨씬 신속하게 이용할 수 있고 주민과 휴양객의 거리를 좁혀주는 부수적인 효과도 있어 성공할 가능성이 많다고 본다.카쉐어링을 체험 마을 단위에서 주민렌터카 회사 형태로 운영하고 지속가능한 관광에 동의하는 소비자들을 고정 고객으로 확보할 수도 있을 것이다.니츠 국장에 따르면 승용차를 가져오지 말자는 운동에 동의하는 사람이 처음에는 아주 극소수였지만, 차츰 늘어나서 지금은 승용차로 오는 관광객이 75%,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관광객이 25%라고 한다.꾸준히 홍보하고 설득하면 승용차 이용자를 줄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자동차 없는 농촌관광’, 자치단체마다 만들어 놓은 체험마을에서 시범적으로 시도해 볼 가치가 있다고 본다.○ 친환경농산물 판매 연계▲ 주말시장에서 다양한 지역 생산품들이 직거래되고 있었다[출처=브레인파크]농촌관광의 목표는 4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환경보전, 소득향상, 농업유지, 문화유산보전이다. 여기서 소득향상이란 이곳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소득이 향상되고, 여기서 일어나는 소득이 그 지역을 위해 소비되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농촌관광과 친환경농산물의 판매를 연계하는 전략을 수립하는 것도 매우 중요한 과제다. 방문객을 상대로 한 민박 주인의 적극적인 특산물 마케팅을 통해 농촌관광의 목적이 달성될 수 있다.
-
방문일시2009.08.26 10:00방문기관Buechner-FertigrasenDeutsches Fertigrasen-Competence-Center연락처Am Brunnengewaennchen 1, 68623 Lampertheim-Huettenfeld Tel : +49 62 56 85 98 00Fax : +49 62 56 85 98 020info@buechner-rasen.dewww.buechner-rasen.de장소뷔흐너라젠 롤잔디 재배포브리핑Tomas Buecher(뷔흐너라젠사 대표)○ 무농약 롤잔디 재배 가능성 검토 오늘도 강행군이다. 다름슈타트 숙소를 출발한 연수단은 하이델베르크 근교의 잔디회사를 거쳐 다시 223km를 달려,지몬스발트에서 그린투어리즘에 대한 브리핑과 농산물 공동 브랜드 전략에 대한 브리핑을 연이어 받도록 되어 있다. 모두 3개의 공식 일정에 저녁에는 직접 농가민박을 체험하는 프로그램까지 4개의 주제로 하루 일정이 진행되었다.하이델베르크에 있는 롤잔디 재배회사인 뷔흐너라젠(Buecher-rasen)은 잔디 농사를 지으면서 스포츠마케팅을 추진한다. 이른바 스포츠농업의 가능성과 6차 산업화 방안에 대한 심도 있는 연수를 위해 방문했다.독일의 롤잔디 재배 및 시공회사 뷔흐너라젠(Buecher-rasen)은 복합잔디를 이용해 재배포에서 잔디를 1년 정도 재배한 다음 이식을 원하는 소비자에게 납품하는 회사다. 날로 증대되는 녹색수요에 대응하여 무농약 롤잔디 재배시장은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남해군청 공무원들이 광활한 농장을 배경으로 기념촬영을 했다[출처=브레인파크]따라서 잔디 관련 기술개발과 인력양성에 관심을 갖는 지역이 계속 늘어나고 있다. 잔디 기술에서 우리는 무엇이 부족하고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가?연수단은 2006독일 월드컵 구장 5곳에 잔디를 공급하고 직접 시공한 뷔흐너라젠 토마스 뷔흐너(Tomas Buecher) 사장으로부터 브리핑을 듣고 재배현장을 직접 견학하는 시간을 가졌다.○ 생산현장에서 체험하는 농업농업도 진화하고 있다. 생산, 가공, 판매, 유통이 모두 융복합된 형태로 진화했다. 생산현장에서 체험활동이 이뤄지고 관광과 연계시킨다.농지에서 스포츠 활동을 할 수 있다면? 이것은 그냥 즐거운 상상일까 아니면 실현가능한 대안일까? 여기에 대한 해답을 뷔흐너라젠에서 찾을 수 있었다.독일은 장점이 많고 어떠한 조건에도 시공이 가능한 여러 가지 기능성 복합잔디(단일 초종이 아닌 다양을 초종을 혼합한 잔디)를 오래 전부터 개발해 왔다.1개 초종을 공원에서부터 운동장까지 모든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초종을 용도와 토양과 기후에 맞게 섞여서 파종하는 복합잔디 기술이 매우 발달해 있다.잔디 종사회사 마다 축구경기장, 테니스장, 골프장, 정원, 경사면, 해안 등 기후와 조건에 맞는 다양한 복합잔디를 개발해 놓고 있다.하지만 토양과 배수가 제대로 준비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잔디 뿐 아니라 그 어떤 식물도 자랄 수 없기 때문에 독일은 잔디 시공에 필요한 배수와 토양의 기준을 DIN(독일공업규격)법으로 정했다.○ 사용성 높은 잔디 재배기술은 블루칩2002년 한일월드컵을 계기로 독일잔디, 미국잔디 등 한지형 잔디가 우리나라에도 보급되어 있다. 페레니얼과 켄터키 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 종류의 잔디가 축구장용으로 혼합되어 파종되었으며 골프장 잔디는 한지형으로 완전 교체되었다.그러나 아직도 잔디 재배, 시공, 관리 기술이 널리 보급되지 않아 많은 예산을 들여 시공한 잔디구장이 놀고 있다. 천연잔디 관리에 자신이 없어 학교 운동장에는 건강에 좋지 않은 인조잔디를 시공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즉, 우리 기후에 맞게 사용횟수를 높일 수 있도록 좋은 잔디를 생산하고 시공하는 기술의 확보와 잔디농업의 발전과 스포츠마케팅 육성의 가능성을 점칠 수 있는 블루칩이 될 것이다.○ 잔디는 수요가 늘어나는 미래상품뷔흐너라젠은 한지형 복합잔디를 농지에 파종해서 1년 정도 재배한 다음 롤(Roll)형태로 포장하여 소비자에게 납품하는 회사다. 1977년 농장의 일부 면적에서 잔디 재배를 시작했지만 현재는 15명의 종업원을 거느린 회사로 성장했다.주요 상품은 경기장용 잔디이며 재배회사와 시공회사를 동시에 운영하고 있다. 배수가 잘되는 좋은 땅에 모래를 1미터 이상의 높이로 깔고 배수관 없이 해마다 같은 장소에서 재배를 한 다음 소비자에게 공급하는 방식이다.잔디 종자는 프랑스, 독일, 미국, 덴마크 등 전 세계에서 채취한 것을 수입해 사용하고 있다. 생산된 잔디는 독일 뿐만 아니라 러시아, 그리스, 이탈리아, 체코, 리투아니아, 스위스 등지에 수출하고 있다.롤잔디 기술은 지난 몇 십 년 동안 발전해 왔고 가격도 수요자들이 충분히 부담할 수 있는 수준까지 내려왔다. 롤잔디는 시간이 많이 걸리는 직접 파종 방식을 대체할 수 있는 기술이 되었다. 롤잔디는 이제 가정집 정원, 월드컵 구장, 골프장까지 모든 영역에서 사용되고 있다.독일은 그동안 땅에 직접 씨를 뿌려서 조성하는 '직파' 방식을 선호했다. 비용이 저렴하고 잔디도 튼튼하다는 인식이 강했다. 롤잔디는 미국에서 먼저 발달했다.현재 미국은 80%가 롤잔디 방식으로 공급되고 있으며 20%가 직파를 하고 있다. 이에 반해 독일은 80%가 직접 파종이며 20%가 롤잔디 형태로 공급되고 있다.하지만 독일의 롤잔디 시장은 최근 급속도로 확장되고 있다. 직파 못지않게 튼튼하게 활착시키는 기술이 개발되어 '롤잔디는 약하다'는 인식이 많이 개선되었기 때문이다.이런 인식을 개선시키는 데 뷔흐너라젠이 많은 역할을 했다. 뷔흐너라젠은 독일에서 처음으로 롤잔디를 상품화한 회사이기도 하다.독일에서는 다른 작목보다 잔디가 수입이 더 많다고 한다. 현재 독일에는 80여 개의 잔디농장이 있는데 대규모 회사는 뷔흐너라젠을 비롯해 3개 정도가 있다. 독일 전체에 15만 ha가 재배되고 있는데 뷔흐너라젠 농장이 가장 넓다.○ 품질 검증 위해 축구시합 열기도뷔흐너라젠의 잔디 생산면적은 200ha(60만 평)에 이르며 모두 4개 마을에 잔디 재배포를 두고 있다. 연수단이 방문한 재배포장은 지난해 4월 파종한 포장으로 17개월 만에 수확을 하고 있었다.이 잔디는 리투아니아 축구장에 수출된다. 잔디는 두께 4㎝, 폭 60㎝, 길이 20m로 둘둘 말려 자동으로 포장되고 있었다.품종은 페레니얼 라이그라스(학명 Lolium Perenne)와 켄터키 블루그라스(학명 Poa Pratensis)를 혼합한 복합잔디로 배합비율은 30:70이다. 3:7로 파종했다고 해서 잔디면도 3:7로 나오는 것은 아니다.페레니얼 라이그라스는 발아율과 성장률이 좋아 3~4개월이 지나면 잔디면이 5:5정도로 구성된다. 페레니얼은 5~7일 만에 발아하지만, 켄터키는 한 달까지 걸린다.1㎡에 23g정도의 종자를 파종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뷔흐너라젠 사장은 율리와 해사(Juliwa-Hesa)에서 판매하는 잔디종자가 가장 품질이 좋다며 국내 ㅇㅇ군에서도 이 회사 잔디를 활용할 것을 권장했다.▲ 뷔흐너 대표가 연수단에게 초종별 특징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출처=브레인파크]잔디 재배를 위해서는 종자의 품질이 좋아야 하지만 관리도 매우 중요하다. 자주 자를수록 좋은 잔디로 자라는데 축구장의 국제 규격인 2cm 정도 높이를 유지하면서 일주일에 1~2회 정도 예초를 한다. 잔디는 자주 자를수록 밀도가 높아진다.▲ 리투아니아 축구장에 깔리게 될 잔디를 수확하고 있다[출처=브레인파크]롤잔디는 일반적으로 14개월에서 18개월 사이에 수확을 하고 있다. 하지만 12개월부터 수확이 가능하며 주문이 있어야 수확을 하기 때문에 재배기간은 12개월에서 18개월까지 다양하다.뷔흐너라젠은 2.5~3cm 정도로 절단해 롤 형태로 말아 납품하고 있다. 수확한 뒤 이동을 할 때는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24시간 동안 이동하는 경우도 있어 뿌리가 말라버리는 경우도 있다.이런 일을 방지하기 위해 원거리 이동을 할 때는 뿌리에 수분을 공급해서 비밀로 포장한 다음 이동하거나 30도 이상 온도가 올라가는 건조한 날씨에는 냉장시설이 되어 있는 차량으로 이동한다. 잔디를 잘라내면 퇴비를 살포하고 경운을 한 다음 같은 자리에 다시 파종한다.뷔흐너라젠의 잔디재배 방식은 기본적으로 농약과 화학비료를 거의 사용하지 않는 유기농업이다. 현재 독일에서도 재배포를 운동장으로 개방하지는 않고 있다. 아무리 작은 마을에도 2~3개의 잔디 운동장이 있어 굳이 재배포까지 이용할 일이 없기 때문이다.하지만 현재의 기술로도 재배 기간 중 3개월 정도가 지나면 재배포를 개방해서 2개월 정도 스포츠마케팅 장소로 활용하다가 1년이 지나면 상품으로 판매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주장이다.재배포 개방으로 일정기간 답압이 진행된 잔디가 병해충에 대한 저항력이 강하기 때문에 더 좋은 품질의 잔디를 생산하여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다는 것이다.○ 농약 사용하지 않고 유기농업으로 길러뷔흐너라젠에서의 질문은 주로 ㅇㅇ군 ㅇㅇㅇ주사가 맡았다. 잔디시비에서부터 판매까지 다양한 분야의 관심사항에 대해 질의했다. - 비료시비는 어떻게 하는가? 무농약 재배는 가능하다고 보는가?"잔디를 재배하기 위한 별도의 기비는 하지 않는다. 지력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윤작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일 년에 5~6회 비료를 시비하고 있다. 1㎡당 30g의 화학비료를 뿌리고 80~90g의 퇴비를 사용한다. 간혹 방제를 하는데 평균 5년에 1번꼴로 방제를 한다고 보면 된다. 거의 무농약 재배를 하고 있다."- 윤작을 하는 이유는? 깎아낸 잔디 찌꺼기는 어떻게 활용하는가?"고품질의 잔디를 생산하기 위해서도 땅을 바꿔주어야 하고 지력을 회복하기 위해서도 윤작을 해야 한다. 2~3년 마다 윤작을 위해 재배포를 옮기고 있다. 장기임대를 해서 옮기지 않고 싶은 마음도 있지만 지주들이 원하고 또 지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도 필요하기 때문에 옮겨가는 것이다. 깎아낸 잔디는 퇴비로 만들어 다시 재배포에 뿌린다."- 잔디의 가격 수준과 배합비율을 알 수 있겠는가?"축구장에 납품되는 것은 1㎡에 2.7유로(한화 4,800원) 정도다. 소량으로 구입할 경우는 5유로(한화 9,000원)에 거래된다. 축구장용 잔디는 페레니얼 라이그라스 20%, 켄터키 블루그라스 75%, 콜훼스큐 5%의 비율로 혼합된 종자를 쓰는 경우가 많고, 페레니얼과 컨터키를 3:7로 하는 경우도 있다."- 파종 적기를 언제로 보고 있는가?"3월도 좋지만 9월이 가장 적합하다고 본다. 9월에 파종하고 다음해 10월에 수확하거나 그 다음해 봄에 수확하는데 두 번 겨울을 난 잔디가 가장 튼튼하고 고가에 판매된다. 봄 파종인 경우에는 여름 잡초를 조심해야 한다."- 롤잔디의 역사로 보면 미국이 앞선다. 미국잔디와 독일잔디의 차이점은 무엇이라 생각하는가?"미국 잔디는 녹색이면 된다. 독일잔디는 녹색이면서 많이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독일 잔디는 튼튼하고 실용적이다. 사용횟수가 많다. 독일잔디는 밀도가 높고 잡초가 없다."○ 토양과 작목을 살리는 윤작체계 마련세계 유기농협회는 작물의 윤작을 권장하고 있다. 윤작을 통해 토양의 지력을 자연적으로 회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농토가 좁은 우리 실정에는 쉽지 않은 일이지만 윤작이 지력을 회복시켜 유기농산물을 생산하는 데 매우 중요한 조건임에는 틀림없으므로 잔디재배에 있어서도 윤작체계 도입을 검토해 보아야 할 것이다.이번 연수를 통해 축구장을 조성할 때와 재배포를 조성할 때의 식재층 설계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축구장을 조성할 때는 기비를 하지만, 재배포에는 기비를 하지 않는다.축구장에는 배수시설을 완벽하게 갖춰야 하지만 재배포에는 그렇게까지 완벽하게 할 필요는 없다. 재배과정에서 에어레이션과 버티컬 예취도 할 필요가 없다. 실제 뷔흐너라젠의 재배포는 축구장과 비슷한 천연배수 조건을 갖추고 있다.○ 재배포 설계는 축구장과 차별화 우리나라 기후는 유럽이나 미국과는 다르기 때문에 독일의 한지형 잔디 시공 관리 기술을 그대로 적용할 경우 많은 문제가 따른다.즉 국내 잔디농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우리 기후에 맞는 우수한 종자의 육종도 필요하다. 여름철 집중강우와 습해, 봄철 가뭄에 견딜 수 있도록 특화된 시공관리 기술을 확보하는 것도 필요하다.우선, 토양 배합비율을 외국의 기준에 맞출 것이 아니라 한국의 기후에 맞춰야 한다. 흔히 독일 복합잔디의 시공 경험을 토대로 한국의 기후가 독일과 많은 차별성을 갖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시공과 관리가 힘들다는 주장을 하는 사람들이 있다.그러나 한국과 독일의 기후를 분석해 보면 비가 연중 고르게 온다는 점을 제외하면 크게 다른 점이 없다. 여름철인 6월20일부터 9월20일까지의 독일 기후를 보면, 평균기온은 19.7도로 한국보다 다소 낮다. 하지만 최고기온 35.2도, 25도 이상 49일, 30도 이상 7일로 한국의 여름 기온과 비슷하다.강수량의 차이 문제는 배수와 관수를 철저히 하는 것으로 해결할 수 있다. 강수량이 많은 한국에서는 독일보다 파이프의 간격을 좁게 설치하고 자갈층을 두껍게 시공하면 된다.보다 큰 차이점은 토양에 있다. 독일에서도 분데스리가가 열리는 주경기장은 돈을 많이 들여 시공하지만 한국의 공설운동장이나 학교운동장 수준의 잔디밭은 배수관을 묻지 않고 구배만 만들면서 시공한 곳이 훨씬 많다.그 이유는 독일 토양이 배수가 잘되는 사질토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우리 토양은 점질토나 마사토가 많아 배수 관리에 좀 더 많은 투자를 해야 한다.○ 환경농업 방식의 롤잔디 재배환경농업 확대 차원에서도 롤잔디의 도입은 충분히 검토해 볼 만하다. 환경에 대한 관심은 날로 높아지고 있다. 학부모들이 초등학교 운동장에 인조잔디를 깔아 달라는 요구를 한지가 엊그제 같은데 지금은 아이들 건강을 해친다며 반대하고 있다. 친환경적으로 재배한 롤잔디의 수요가 급격히 확대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대목이다.병충해를 막기 위해 농약을 쓰는 관행도 개선해야 한다. 병충해가 발생한다는 것은 땅에 문제가 있었다는 말이다. 땅에 문제가 있는데 농약만 치는 것은 임시방편일 뿐이다. '병충해를 잡는 관리'가 아니라 '토양의 문제를 해결하는 관리'를 해야 한다.병충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땅을 개선시켜 병에 대한 저항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땅을 수직으로 절단하는 스파이킹이나 땅에 공기구멍을 뚫어주는 에어레이션은 땅 속 곰팡이균을 제거하는 효과도 가져오므로 병충해를 막을 수 있는 가장 좋은 관리방법이다.잔디 농장을 둘러본 연수단은 다시 뷔흐너라젠 본사가 있는 곳으로 와서 자재 창고를 둘러보았다. 잔디 재배에 있어서 자동화는 매우 중요하다. 농촌의 노동력이 노령화되면서 어떤 작목이든 기계화된 영농을 하지 않으면 농사 자체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류병무 주사를 중심으로 농기계 창고를 견학한 다음, 뷔흐너 대표에게 기념품과 감사의 인사를 전한 연수단은 인근 그리스 식당에서 점심을 먹고, 곧바로 223km를 달려 흑림 속으로 달려갔다.
-
2009-08-26○ 지속가능한 농촌관광쯔바이퇼러란트군은 관광산업 발전에 있어서 지속가능성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다. 지역 주민은 농촌관광으로 인한 환경오염을 줄이기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펼치고 있다.이곳을 방문하는 휴양객들도 이런 지역 주민의 노력에 공동으로 참여할 것을 설득한다. 환경오염을 줄이는 것은 지역민 뿐 아니라 방문객들을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농촌관광을 가장 먼저 시작한 곳이 프랑스와 독일이다. 이 중 독일은 국민소득 1만 달러 시절에 이미 농업유지와 경관보존, 환경보호와 농촌문화보호, 그리고 청소년 인격형성을 위해 농촌관광을 정책적으로 육성하기 시작했다.농촌관광은 1960년대 후반 남부의 산악지대로 농업 조건이 불리했던 바이에른주부터 시작되었다. 바이에른주는 오스트리아에 인접한 알프스의 산악지역으로서 농업환경이 불리한 인구 과소지역이었다.다른 주와 달리 생산비용 절감을 위한 대규모 농업정책에서 벗어나 소규모 가족 농업 중심으로 농업을 유지하고 있었기 때문에 산비탈의 낙농·축산농가와 관광을 연결하는 방안으로 농촌관광을 추진하게 된 것이다.이어 지몬스발트가 있는 흑림과 프라이부르크가 속해 있는 바덴뷔르템베르크주 등 인접한 주가 참여하게 되면서 '농가에서 휴가를!'이라는 운동이 전국적으로 정착되기 시작했다.○ 'DLG 인증 민박' 육성농촌관광을 지원하기 위한 조직은 독일농업협회(DLG), 식량농업부 정보서비스협회(AID), 독일농민연맹, 농업신용은행 등이 있다. 독일농업협회는 1885년에 설립된 비영리단체로 농촌관광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다.농가민박의 시설 운영이나 품질 기준을 점검하는 일을 주로 한다. 1965년부터 농가민박에 관심을 갖고 민박상품의 규격과 품질을 통일시켜 1972년부터 'DLG 인증 민박'을 육성하고 있다.DLG는 3년마다 민박 등급을 심사한다. 농업상담소, 농업종사자, 금융기관, 호텔․음식점협회, 소비자단체 대표로 구성된 위원들이 등급을 심사한다. 객실, 라운지, 급식시설, 화장실, 안전성, 전체적 인상, 휴양시설, 일반 관광객용 시설, 주위 환경의 쾌적성 등이 평가항목이다.○ 독일 농가민박의 지역적 현황독일 농가 민박의 지역적 현황을 보면, 독일에서 농촌의 고유한 어메니티가 살아있는 지역이 어디인지 잘 알 수 있다.농가 민박을 보유한 침대수로 보면 바이에른주가 5만3,194개로 1위, 흑림지역인 바덴뷔르템베르크주가 1만7,239로 2위를 차지하고 있다. 바이에른은 바이에른 국립공원 지역의 경관이 매우 뛰어나 국립자연공원 지역이 많고, 바덴뷔르템베르크지역은 앞서 언급한 것처럼 흑림이 농촌관광의 자산이 되고 있다.독일 전체 농가민박의 지역별 분포에서도 바이에른이 독일 전체 농가민박의 23.9%로 1위, 바덴뷔르템베르크가 13.2%를 차지하여 2위로 나타나고 있다. 독일농가민박을 안내하는 홈페이지는 www.bauernhofferien.de이다.[독일 농가민박의 지역별 현황]지역농업인민박인비율(%)침대수농가당(a)(b)(b/a)침대수Baden-Württemberg75,8502,5103.3117,2396.9Bayern154,1897,1314.6253,1947.5Bradenberg7,0082062.941,8368.9Hessen29,6692000.679334.7Mechlenburg5,1761783.441,3607.6Niedersachsen65,6501,0711.636,4506Nordrhein-Westfalen56,3662870.511,3824.8Rheinland-Pfalz35,4751,4103.977,9225.6Saarland2,066241.1626611.1Sachsen7,9682202.761,5076.9Sachsen-Anhalt5,100450.883317.4Schleswig-Holstein20,7061,3436.4912,7169.5Thüringen5,1501142.236735.9Berlin, Hamburg, Bremen 1,61770.43344.9계471,96014,7463.12105,8437.2○ 농가민박 경영학교에서 정기 교육농촌관광을 하는 농가 민박시설에는 우리 돈으로 3000만 원에서 5000만 원까지 정부가 보조금을 준다. 물론 그냥 주지는 않고 사전 교육과 사후 점검을 분명히 한다.농업전문학교에서 농가민박 전문교육을 이수하고 경영부기와 접객방법, 외국인 접객방법에 대한 현장 연수를 받아야 한다. 민박 주인들이 최소한 호텔 종업원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는 목표를 갖고 교육하는 것이다. 교육과 지원을 연계하는 전략으로 농촌관광의 품질을 유지하는 시스템은 우리도 하루속히 정비해야 할 내용이 아닐 수 없다.[독일 농가민박의 지역별 분포]주명칭비율Schleswig-Holstein8.10%Hamburg1.10%Bremen0.30%Niedersachsen11.00%Sachsen-Anhalt1.30%Nordrhein-Westfalen11.80%Hessen8.30%Rheinland-Pfalz7.20%Saarland0.60%Baden-Württemberg13.20%Bayern24.90%Thüringen2.40%Sachsen2.60%Bradenberg1.70%Berlin2.10%Mechlenburg-Vorpommern3.30%계100%○ 1인 평균 4.4일 체류쯔바이퇼러란트에는 모두 250농가가 민박을 하고 있고 4,500여개의 침대를 보유하고 있다. 이곳에서 연간 9만 명이 연 40일 정도 숙박을 하고 간다. 한 사람이 평균 4.4일 정도 머무르고 있으며 한 농가에 일 년 평균 1,600명의 손님이 숙박을 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숙박 손님을 포함한 전체 관광객은 연 200만 명 정도이며 관광수입은 연간 6000만 유로로 추산하고 있다. 민박 이외의 숙박시설은 호텔, 게스트하우스, 인, 민박, 휴가기간 중 임대할 수 있는 아파트, 농가 숙박, 캠핑장 등 종류도 매우 다양하다.쯔바이퇼러란트는 또한 다양한 자연을 이용한 레크리에이션과 스포츠를 즐길 수 있는 곳이다. 330km에 달하는 산악자전거 길이 잘 조성되어 있고 자전거도로 안내판이 곳곳에 설치되어 있어 길을 잃을 염려는 하지 않아도 된다. 하이킹 또는 노르딕 워킹용 산책로도 잘 정비되어 있다. 지역의 전통적인 숙박시설과 레스토랑에서는 이 지역 전통음식을 즐길 수 있다.○ 연간 807명 숙박, 재방문율 70%연수단이 민박을 한 흑림의 지몬스발트는 지몬스발트 계곡(Simonswaeldertal)을 따라 형성된 조용한 마을로 600명 정도의 주민이 살고 있다. 연수단은 이 마을 고트(Ruth)씨 댁에서 숙박을 했다. 연수단이 도착하자 고트씨 부부와 아들인 시몬이 모두 마당에 나와 기다리고 있었다.고트씨에 따르면 민박농가는 분기마다 숙박 현황을 군청 관광과에 보고하도록 되어 있다. 연수단이 숙박한 고트씨 농가가 군 관광과에 보고한 자료를 보면 2007년 1년간 이 농가에서 숙박한 연 인원은 모두 807명이다. 이 중 독일인이 586명으로 가장 많고 네덜란드인이 219명, 벨기에인이 2명으로 집계돼 있다.특별히 고트씨 농가는 네덜란드에 단골 손님들이 많다고 한다. 재방문율을 조사한 통계는 없지만 거의 대부분의 손님들이 2회 이상 방문한 손님들로 대략 70% 이상은 2회 이상 방문한 것으로 보면 된다고 한다.독일인 중에서는 헤센주(Hessen)주가 231명으로 가장 많았고 지몬스발트가 속한 바덴 뷔르템베르크(Baden-Wuertemberg)주는 19명, 바덴 뷔르템베르크에서 가까운 바이에른주(Bayern)는 22명으로 매우 적다. 인근 지역 보다는 먼 지역에서 휴양차 오는 손님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독일은 최근 농촌관광을 한 단계 더 혁신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런 노력의 중심에 농촌이라는 공간이 제공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어메니티인 '인정'이 강조된다.휴가 때 농가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원하는 △가족적인 유대의 강화 △조용한 농촌 △친환경적 어린이 놀이터 △체육시설 △인적교류 강화를 강조하고 있으며, 특히 향토음식 판매와 농산물 직거래와 연계하는 것은 가장 큰 과제 중의 하나다.□ 호텔급 서비스와 넘치는 인정이 경쟁력연수단을 고트씨 가족과 함께 전통적인 방법으로 양조한 과일주를 마셔가며 즐거운 저녁을 보냈다. 밤늦도록 대화가 계속되는데도 손님들과 함께 정을 나누는 모습에서 지몬스발트가 흑림 중에서도 농촌관광이 가장 활발한 지역이 된 이유를 알 수 있었다. 호텔 못지않은 서비스와 시설, 그리고 인정어린 접대가 지몬스발트 농촌관광의 경쟁력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인정 넘치는 공동체였던 우리 농촌도 많은 변화를 겪었다. 해외에 나가보면 지금은 개인주의적 성향이 강한 독일이나 프랑스 농촌이 더욱 인정이 넘치는 곳이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따뜻한 공동체가 주는 훈훈한 인정이 사라진다면 농촌관광은 거대한 숙박촌으로 전락하고 말 것이다.공동체성 회복이 농촌관광에 있어서 핵심적인 목표가 되어야 한다. 옆집에 온 손님이 아니라 우리 마을에 온 손님이라는 생각으로 따뜻한 인사를 건네고 저녁 때 찾아가 전통주를 놓고 담소라도 나눌 수 있는 곳이 경쟁력 있는 농촌체험마을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