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카사바"으로 검색하여,
8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중동·아프리카 주요국 국기 [출처=CIA] [아랍에미리트] 글로벌 통계 비교사이트인 넘베오(Numbeo), 2024년 중반 세계에서 가장 안전한 도시 1위는 아랍에미리트 수도인 아부다비(Abu Dhabi)... 글로벌 311개 도시 중 아부다비의 안전 지수는 88.2로 가장 높았으며 범죄율은 11.8로 가장 낮게 기록했다. 안전 지수 상위 10위 도시 중 6곳은 걸프협력회의(GCC) 지역으로 집계됐다.[아랍에미리트] 국제금융센터(DIFC) 규제당국(DFSA), 2022/23 회계연도 완료된 회계감사 조사 건수 33건으로 2020/21 회계연도 조사 건수 대비 14% 증가... DIFC의 검사 품질을 유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DFSA가 2022/23 회계연도 운영을 공식 허가한 신생 기업 수는 100곳 이상으로 최고치를 기록했다.[카타르] 국영항공사인 카타르항공(Qatar Airways), 2023/24 회계연도 순수익 US$ 17억 달러로 전년 대비 39% 증가하는 등 27년 동안 재무성과 최고 기록... 2023/24 회계연도 이용객 4000만 명 이상으로 전년 대비 26% 상승하며 이용객 매출액 19% 증가[튀르키예] 식품기업인 윌케르(Ülker Bisküvi), 7월 US$ 5억5000만 달러 규모의 7년 기한 채권 발행... 20개국의 글로벌 투자자 100명 이상이 채권 구입[튀르키예] 아쿠유 원자력(Akkuyu Nuclear Inc), 아쿠유 원자력발전소 프로젝트 내 현지화 규모 US$ 77억 달러로 국내 연구기관 등에 기회 제공... 러시아 국영원자력기업인 로사톰(Rosatom)이 2025년부터 첫 번째 원자로 건설을 시작할 계획이며 7년 이내에 가동하는 것을 목표로 정했다.[나이지리아] 주요에너지마케터협회(MEMAN), 휘발유 대채재인 카사바, 옥수수, 사탕수수를 원료로 활용한 에탄올 연료 전환시 연간 US$ 74억 달러 절감할 것으로 전망... 바이오연료 원료로 부각되며 국내 카사바 가격이 50% 이상 급상승해 식품안보 및 산업안보 침해 우려[나이지리아] 철도청(NRC), 1분기 철도 서비스 매출액 14억2000만 나이라로 전년 동기 7억6844만나이라 대비 84.91% 증가... 1분기 철도 시스템 이용객 67만 명으로 전년 동기 44만 명 대비 52.88% 상승했으며 1분기 철도 화물 운송도 큰 폭으로 성장[나이지리아] 금융서비스기업인 스탄빅 IBTC 은행(Stanbic IBTC), 6월 구매관리자지수(PMI) 50.1로 5월 52.1 대비 하향하며 7개월 최저치 기록... 가격 압박으로 인한 수요 저하와 산업 생산량 성장 둔화에 영향받아[이집트] 중앙은행(CBE), 5월 순외화자산 US$ 143억 달러로 4월 37억 달러 적자에서 2년 만에 흑자 기록... 라스 엘 헤크마(Ras Al-Hekma) 협정의 2번째 분할 차입과 대규모 외환 펀드 유입이 5월 외화자산 97억 달러 흑자 회복에 영향을 주었다.[이집트] 관광유물부(MoTA), 2024년 상반기 관광업 매출 US$ 66억 달러로 2023년 상반기 63억 달러 대비 5% 상승... 상반기 관광객 수는 706만9000명으로 2023년 상반기 706만2000명을 초과하며 최고치를 기록했다.
-
2024-05-18기관명: 태국 농업청간담회태국 방콕□ 간담회 : 태국 농업청◇ 한국 대표단과 태국 농업청과의 간담회 내용○ 한국 : 대한민국에도 농업 기계화에 관한 정책이나 연구가 있듯 태국 역시 정책과 기술 개발이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대한민국의 기술 개발과 정책이 태국에 비해 조금은 앞서 이루어진 부분이 있을 것이라고도 생각한다.태국과 대한민국 사이에서 한국이 앞선 부분은 태국과의 협력을 통해 보완해주고 태국이 잘하는 부분은 한국이 배워 정책 개발을 하는데 활용했으면 한다.○ 태국 : 태국에도 여러 농기계 정책을 가지고 있고 농업 종사자들이 필요로 하는 농기계를 생산하기위해 연구를 하고 있다. 한국의 농기계 수준과 연구의 성과가 태국보다 앞서 있기에 많이 배우는 자리가 되었으면 한다.태국은 1959년부터 소나 가축들을 활용해 농사를 지을 때 도구 사용을 시작하였고 그 시점부터 도구 생산도 시작되었다. 이 후 각종 농기계를 계속해서 발전시켜왔고 지금에 이르기까지 계속 사용하고 있다.현재 위치한 농업청은 1960년에 설립되었고 이후 농업청 자체적으로 농기계의 메인디자인을 만들기 시작했다. 이후 태국은 농기계 발전을 위해 타국들과의 교류 협력을 추진해왔고 http://un-csam.org/지속가능 농업 기계화 센터(CSAM: Centre for sustainable Agricultural Mechanization) 활동을 통해 농기계에 관한 기준도 마련하였다.농기계 개발은 농업청의 큰 과제이기에 지난 30년간 계속해서 연구를 하고 있고 여러 나라들과의 교류를 통해 농민들이 필요한 농기계를 만들기 위해 고민하고 있다.그에 따라 현재에도 다양한 종류의 프로젝트가 진행 중에 있다. 또한 농기계에도 세계 기준이 있기에 그 기준을 맞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콤바인, 하베스터, 스프레이어 등의 기계들을 활용하는 농업 기계화를 담당하는 부서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농기계의 기술과 효율성은 더욱 발전되어야하기에 농업 기계화에 적극적으로 참여를 독려하고 부처 차원에서도 노력해야 한다.현재 농업청에서 계속 개발하고 발전시키는 부분은 땅을 개간하여 씨앗을 뿌리는 것부터 수확하는 것까지 모든 부분을 포함한다.○ 한국 : 대한민국의 농업 기계화 정책에 관해 큰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하겠다. 대한민국에서 농업 기계화 정책의 마스터플랜은 1972년에 만들어졌다.마스터 플랜의 내용은 조금씩 변했지만 큰 틀은 2000년대까지 지속되어 왔다. 그 계획을 보면 크게 5가지 축으로 구성되어 있다.이 5가지를 촉진하는 것은 법인데 ˹농업기계화 촉진법˼에 의해 5가지 축이 만들어지고 지금까지 이끌어져 왔다. 5가지 중요한 축은△생산 △연구개발 △교육 △이용이다.△생산에 관해서는 초창기 한국 정부에서 생산기업을 대형 기업과 중소기업으로 나누어 생산에 필요한 자금을 지원해주었다. 생산 전도자금을 지원해 주었는데 이 자금은 농기계 생산에 필요한 원자재 구입비용이다.△연구개발은 그 이후에 대학교가 많이 들어서서 12개 정도의 대학교에 농업 기계관련 학과가 생겼고 그리고 농업 기계만을 연구하는 정부 조직 산하에 만들었다.△유통은 유통을 담당하는 판매상들에 있어 각종 지침을 정부에서 만들었다. 농기계에 필요한 부품을 구입할 때 정부에서 자금을 지원해주었고 농민들이 필요로 하는 사후봉사(After service)에 대해 일정한 시설 규제를 하였다.△농기계에 관한 교육을 살펴보면 회사와 정부 조직전국 농촌지도소에서 담당을 하여 농민들에게 지도를 해왔다.△마지막 사용에 있어서는 농업 기계화가 필요했던 80년대까지 정부에서 약 50%정도를 보조해주었다. 그리고 융자금 지원과 농기계 구입에 대한 부가 가치세 면제, 각종 농기계 임대사업, 공동 이용 사업 등을 적극적으로 지원해왔다.그래서 한국의 쌀농사에 대한 기계화 단계는 마무리 되었다고 본다. 다만 질적인 부분에서 더 고민하고 연구가 이루어져야한다.또 밭농사에 대한 기계화는 50%가 안 되었다. 경지 조건이 안 좋은 터라 규모가 작기에 규모화 하는 부분에 있어 어려움을 겪고 있다.○ 태국 : 80년대까지 정부에서 50%정도의 보조가 이루어졌다고 하는데 정부 보조금으로 이루어진 것이 맞는가? 또 이 지원이 각 농민 개별 지원인지 아니면 농민 단체나 조합을 통한 지원이었는가?○ 한국 : 정부 보조금이 맞고 90년대부터 농업 기계화가 어느 정도 이루어지면서 없어졌다. 두 가지 형태 모두 지원금으로 이루어졌다.쌀을 전문적으로 생산하는 농부에게도 지원했고 농민들이 다수 모인 조합이나 단체에도 지원을 해왔다. 그러나 이 지원이 모든 농기계에 해당하는 것이 아닌 주요 농기계인 경운기, 트랙터, 콤바인, 이앙기, 건조기 등에 관한 것이었다.○ 한국 : 현재 태국 정부의 중장기 농업 기계화 정책이 있는가? 또 농업 기계화 정책을 뒷받침해 줄 법이 마련되어 있는가?○ 태국 : 한국처럼 장기 정책은 없는 상황이다. 태국에서는 농업청 산하의 농업기계연구소 AERI(Agricultural Engineering Research Institute)를 통해 농기계 프로토 타입 디자인을 만들고 생산업체에서는 이 디자인을 통해 기준을 지키며 생산을 하게 한다. 최근에는 농기계 R&D센터와 농기계 테스팅 센터를 설립했다.○ 한국 : 한국에서는 농기계생산업체에 대한 정부 보조가 이루어졌다고 설명했는데 태국에서도 이러한 보조가 존재하는가?○ 태국 : 다른 지원은 특별히 존재하지 않고 연구를 해서 농기계 디자인을 만들면 농기계 생산업체와 공유를 하고 또 쉽게 제작 가능한 농기구의 경우 농가로 바로 전달하여 생산 및 사용하게 돕고 있다.그 외에는http://www.baac.or.th/baac_en/,태국농협은행 BAAC(Bank for Agriculture and Agricultural Cooperatives)를 통해 농민들에게 대출 지원을 하고 있다.태국농협은행의 농민들에 대한 은행 대출 이자는 저리로 책정되어있고 대출시 태국 내 뿐 아니라 태국 외에서 농업 관련 대출이 가능하다. 그리고 외국 농기계 업체들이 수출을 할 때 ‘Free Zone‘을 설정하여 세금 혜택을 받을 수 있게 한다.○ 한국 : 한국 농기계 업체가 태국에서 생산을 할 때도 세제 해택을 받을 수 있는가?○ 태국 : 이와 관련해서는 농업청보다 http://www.boi.go.th/투자청(Thailand Board Of Investment)을 통해 더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 같다.○ 한국 : 말씀하신 내용을 정리하자면 농기계 생산업체에게 제공되는 것은 농업공학연구소의 연구 결과물이라는 것인데 이외에는 아무것도 없는가?○ 태국 : 지금 현재는 이외의 것은 없고 추가로 특허 관련 업무만 진행 중이다.○ 한국 : 정부에서 농기계 가격을 정하거나 통제하는 것은 없는가?○ 태국 : 따로 가격을 통제하지 않는다.○ 한국 : 한국에서는 1990년대 이전에 정부에서 가격 결정을 했다. 이를 위해 원가 조사를 진행했었다. 태국에서는 이와 유사한 절차는 없는가?○ 태국 : 없다. 다만 정부에서 프로젝트 별로 농기계를 농민들에게 구매해서 주는 경우가 있다. 이때 가격을 측정해서 구매를 진행한다.예를 들어 가장 최근 프로젝트에서는 여러 농가들이 사용할 수 있는 트랙터용 쟁기와 기타 농기구들에 대한 구매를 진행했다. 이런 프로젝트가 많이 있지는 않다.○ 한국 : 그렇다면 국내 생산품과 수입 제품에 대한 차별은 없는가? 한국 기업이 생산한 쟁기와 태국 기업이 생산한 쟁기에 관해 정부 정책적으로 차별이 존재하는가?○ 태국 : 해외에서 수입하는 제품과 태국 내에서 생산되는 제품에 관해 특별한 차별은 존재하지 않는다. 다만 제품 구매를 위한 대출에 있어서는 은행에서 판단을 하는 문제이다.여기서 핵심은 수입 제품이냐 국내 생산품이냐 하는 부분이 아니라 기준을 충족하느냐 충족하지 못하느냐이다. 이를 위해 정부에서는 농기계 테스팅 센터를 설립했다.농업청 차원이 아닌 현 태국 수상이 농기계 기준의 중요성을 강조하였기에 국가적 차원에서 농기계 테스팅 센터가 빠르게 설립 된 것이다.○ 한국 : 그렇다면 현재까지 그러한 기준이 없었다는 이야기인가?○ 태국 : 이전에도 기준과 검사가 존재했지만 확고한 규정이 없었는데 현재는 농기계 생산 시 직후 검사가 이루어져야한다는 규정이 생겼다.현재 태국 내에서 테스팅을 진행할 때 민간 기관에 의뢰해서 진행하는데 한국에서는 농기계 기준 검사를 어떻게 진행하나?○ 한국 : 과거에는 정부조직에서 진행했고 현재에는 정부가 지원하는 제3섹터에서 하고 있다. 이 제3섹터는 민간 기관이 아니다.테스팅 결과는 매우 중요하기에 민간에 맡길 수가 없기에 정부가 지원하는 제3섹터를 활용하여 테스팅 한다. 이 테스팅 하는 곳은 한 곳 존재한다.○ 한국 : 농기계 생산에서부터 유통까지의 과정을 설명해 달라○ 태국 : 농기계 업체가 아니라 확실히 모르나 설명하자면 생산 하는 업체를 통해 직접 농민에게 판매되는 경우와 Distributor(판매점)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이 Distributor는 태국 전국에 많은 숫자가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한국 : 중고 농기계가 많이 쓰이는 것으로 아는데 이에 관한 가격, 주요 수출국가 등에 관한 정보를 알 수 있는가?○ 태국 : 대부분의 태국에 수출하는 국가는 일본으로 알고 있다. 주로 판매하는 곳은 랑싯의 씨앙꼿이다.○ 한국 : 농기계 판매 시 유지 보수를 위한 사후봉사가 중요한데 이에 대한 제도나 정책은 어떻게 되는가?○ 태국 : 정부 차원의 정책과 제도는 없고 기업 차원에서 각 회사별 규정에 따른 보증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알고 있다.○ 한국 : 한국도 농기계에 관한 내용이 산공부 산하에서 관리를 하였으나 농업 기계화가 필요하기에 농림부에서 관리를 하게 되었다. 태국이 계속해서 관련 내용을 농업부가 아닌 다른 부처에서 관리한다면 농기계 정책은 추진하기가 더 어려울 것 같다.마찬가지로 농기계 산업도 산자부에서 관리를 하였으나 대통령 지시로 농림부 산하로 옮기게 되었다. 태국도 한국과 같은 마스터 플랜 설립을 통한 농업 기계화 정책을 펼쳤으면 좋겠다. 체계적인 정책 추진이 아니면 기계화는 정착되기 어렵다.농림부에서 농업 기계화 및 농기계 산업에 관해 관리하고 정책을 추진한다면 더 좋은 결과물을 만들 것이라고 생각된다.□ 질의응답- 한국에서는 정부 차원의 융자와 보조를 통해 농촌의 농기계 보급률을 높이는데 도움이 되었다. 태국에서는 이러한 정책에 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아까 잠깐 언급했듯 태국에서는 BAAC를 통한 융자를 지원하고 있다. BAAC에서 융자를 한다는 것 자체가 정부의 협의가 있었기에 지원이 이루어진 것이고 이러한 농업 융자의 경우 항상 가능한 것이 아니라 시기 혹은 상황에 따라 다르게 이루어진다."- 정부에서 융자 지원이 이루어진다는 의미는 시중보다 금리가 낮고 그 차액을 정부에서 보존할 때 정책적인 의미가 있는 것인데 이 부분에 차이가 존재하고 정부에서 지원하는지."이자의 차이에 있어서 정부에서 지원한다."- 전 세계가 지구 온난화 때문에 문제를 겪고 있고 한국의 경우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열대와 아열대 기후로 변화하고 있다. 이를 위해 에너지 절감, CO2를 절감하기 위해 에너지 절감형 시설들이 많이 들어서고 있고 친환경과 관련된 법안들이 만들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렇다면 태국에서는 이 지구 온난화와 기후변화에 대비하기 위해 어떠한 정책들을 마련하고 있고 현 상황은."지금 태국 정부에서는 지구 온난화 방지를 위해 위원회를 설립하고 여러 부처에서 각각의 계획을 갖고 있는 상황이다.농업부의 계획을 소개하자면 태국 내에서는 산림이 부족하지 않은 상황이라 다른 국가에서 사막화 방지를 위해 진행하는 나무 심기와 같은 정책 보다는 발생하는 폐기물을 줄이는 정책을 펼치고 있다.가장 공기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사탕수수 재배 시 사탕수수를 태우는 작업을 많이 하는데 이 때 발생하는 폐기물과 유해물질을 줄이기 위해 태우는 방식이 아니라 다른 방식을 통해 제거 하고 이 과정에서 에너지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을 연구 중에 있다."- 태국에서 밭작물이라 하면 카사바, 감자, 고구마 그리고 양파 등이 있을 것인데 이 작물들에 관한 증감의 추이나 재배 시 기계화 정도 앞으로 기계화에 대한 정책들은."카사바나 감자 등에 사용되는 흙을 갈구는 기계는 이미 디자인이 완료되어 시판되고 있다. 감자를 심는 기계도 현재 생산을 하고 있는 상황이다.현재 개발을 하고 있는 부분은 카사바 나무를 자르고 수확하는 기계이다. 카사바의 경우 식용 보다는 가축 사료에 많이 사용되었는데 카사바 수확 시 카사바를 얇게 써는 기계 개발을 추진 중에 있다. 만약 밭작물 관련하여 태국에서 개발되지 않은 제품이 있다면 한국 방문 시 수입을 추진하고 싶다."
-
■ 태국시장 점유율 2위의 농기계 기업, 얀마■ 기관명 : 얀마 타일랜드■ 안내 : Yamashita Koji, Tatchapon YANMAR S.P. CO., LTD Ladkrabang Industrial Estate 115 Soi Chalongkrung 31 LamplatiewLadkrabang, Bangkok 10520 Thailand. Tatchapon Chawintanachoti, Department Manager of Yanmar ThailandMobile: +66 6 3212 7680Email: tatchapon_chawintanachoti@yanmar.com브리핑태국 방콕□ 브리핑 : 얀마◇ 태국 농업 현황 소개○ 최근 3년간 태국에 비가 많이 오지 않아 2모작 이상을 짓던 태국의 농부들이 일모작 밖에 진행을 할 수 없었고 거기에 태국의 수매정책이 중단되고 쌀값이 하락하여 이전에 비해 농부들의 수입이 4배 감소하였다.많은 농부들이 수입보다 빚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농사와 관련된 비료, 농자재 등 관련 농산업도 위축되어 있는 상태이다.○ 현재 태국 경기는 침체되어 있고 향후 경기가 좋아지길 기대하고 있다. GDP가 3.3% 상승했다고는 하나 실물 경제와는 전혀 상관이 없는 수치로 오히려 체감되는 경기는 마이너스 성장에 가까운 듯하다.그래서 현재 태국 Kubota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원가 절감이다. 기존에 일본에서 수입해 오던 자재들을 태국 현지에서 생산하고 있다.▲ 태국과 한국의 비교 표[출처=브레인파크]여기에 오신 분들이 한국에서 오셨기에 태국과 한국을 비교하여 태국이 어느 정도의 국가인지 설명을 하겠다. 먼저 국토 면적으로 보았을 때 태국이 한국보다 5배 정도 크고 인구수는 한국보다 129%가량 더 많다.GDP는 한국의 30% 정도이고 1인당 소득으로 보았을 때는 25% 정도이다. 농경지 면적은 1,000만 ha로 한국 보다 12배가량 넓다. 그리고 농작물 생산량은 3700만 톤 정도로 한국의 9배이다.그러나 농지 생산성으로 보았을 때 한국의 60%정도 밖에 되지 않는다. 또한 세계 최대의 농업 국가답게 농업에 종사하는 노동자 수가 전체 노동인구의 38%로 한국보다 6배가량 높다.▲ 아시아 주요 지역 쌀 생산량[출처=브레인파크]○ 쌀 생산량을 보면, 전 세계에서 7억 4천만 톤이 생산되는데 그 중 90.5%인 6억 7천만 톤이 아시아에서 생산되고 있다.가장 많은 량을 생산하는 국가는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등의 순이나 대부분의 국가들은 수출이 아닌 자급자족을 목표로 쌀을 생산하다. 인도, 태국, 베트남 등의 아시아 국가가 자급자족과 수출을 동시에 진행하고 있다.○ 태국의 지형은 크게 동북부, 북부, 중부, 남부 4개로 나뉜다. 이 중 동북부 지역에 대부분의 농작지가 위치해 있다. 동북부에서는 576만 ha가 농작지로 쓰이고 쌀, 카사바, 사탕수수가 주로 재배되고 농작물 수확이 1년에 한 번씩 가능하다.그 다음으로 넓은 지역은 288만 ha가 농작지로 쓰이는 북부 지역으로 쌀 과 여러 채소류 등이 재배되며 대부분의 지역에서 1년에 한 번 농작물 수확이 가능하나 중부지역과 맞닿아 있는 곳에서는 1년에 2회 수확이 가능하다.중부 지역은 192만 ha가 농작지로 쓰이고 쌀, 카사바, 사탕수수 등이 재배되며 환경적인 이점 상 평균 2.5회 정도 1년에 재배가 가능하다.어떤 중부 지역에서는 3회 혹은 4회의 재배도 이루어진다. 남쪽은 16만 ha가 농작지로 쓰이고 주로 고무나 야자나무 재배가 이루어진다.○ 태국 농기계의 발전 현황을 보면 크게 세 단계로 볼 수 있다. 초기 단계에는 가축을 사용하여 농사를 지었다. 이 후 가축에서 경운기(Power Tiller) 를 사용하는 단계로 이동했다.마지막으로 경운기에서 트랙터를 사용하는 단계로 바뀌게 되었다. 현재 경운기 사용은 점점 줄고 있고 이에 반해 트랙터 사용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이 변화의 추세 즉 기계화의 배경은 재배 방법의 발전 뿐 아니라 탈농촌에 따른 노동력 부족과 농가의 소득 증대를 더욱 촉진시키기 위함이다.○ 각 작물들을 수확하는 시기를 보면 주황색으로 표시 된 기간이 가장 많은 양의 수확이 가능한 때이고 노랑색의 경우 적은 양의 수확이 이루어지는 때이다. 흰색으로 표시된 부분의 경우 수확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는 때를 말한다.◇ Yanmar 태국 법인 소개○ Yanmar는 1979년에 태국에 브랜치를 설립하였다. 현재 태국의 농기계 업체 1위는 Kubota이고 2위는 Yanmar로 둘 다 일본 업체다.태국에서 생산을 하여 태국 내수시장 뿐 아니라 인근 지역(캄보디아, 미얀마, 라오스, 필리핀, 인도네시아 등)에도 수출을 하고 있다.○ Yanmar 태국 법인은 태국의 농기계 변화에 맞추어 법인의 이름과 사업의 방향을 변화시켜왔다. 아까 언급되었듯 Yanmar 태국 법인은 1978년에 ‘Yanmar Thailand Co’의 이름으로 설립 되었다.이 시기는 가축을 통한 농사에서 경운기를 활용한 농사로 바뀌는 시기였다. 작은 농기계를 활용한 농사가 이루어질 때라 Yanmar 태국 법인도 이에 맞는 농기계를 생산하여 판매를 하였다.10년이 지난 1988년에 태국의 자본과 합작하여 ‘Yanmar S.P .C.o’ 로 이름을 변경하여 사업의 확장을 계획했다.○ 2004년도는 경운 농기계에서 트랙터로 전환될 시기이다. 이에 맞추어 ‘Yanmar Agricultural Machinery(Thailand) Co. Ltd’를 설립 했다.이때부터 YAMT라고 불리었고 트랙터 생산, 유통, 판매 후의 금융까지 담당했다. YAMT는 금융 쪽 전문 회사가 아니기 때문에 이 후 2009년에 금융을 전문적으로 담당하는 Yanmar Capital을 설립했다.이 후 2011년에 이전 Yanmar S.P와 YAMT를 합병하여 Yanmar S.P.Co.Ltd가 되었고 라끄라방 지역에 공장을 짓고 생산을 하게 되었다. 이 곳 공장에서는 작은 농기계의 경우 연간 7만 대, 트랙터는 1만5,000대를 생산하고 있다.○ 직원은 모두 약 700명 정도의 규모이다. 법인장은 Yamashita로 근무 중에 있고 현재 총 8개의 부서가 운영 중이다.▲ Yanmar 태국 법인 위치[출처=브레인파크]○ 현재 Yanmar SP의 본부는 라끄라방 공단에 위치해 있고 방콕 시내에서 18km 떨어진 지역에 판매 및 사후 서비스를 지원하는 지점과 Yanmar Capital이 위치해 있다.○ 트랙터 딜러는 총 58개로 동북부 20개, 북부 16개, 중부 17개 그리고 남부 총 5개의 딜러 업체가 존재한다.○ 작은 엔진을 담당하는 딜러는 총 200개의 업체가 있고 트랙터는 58개의 업체, 그리고 최근 사업을 확장하며 생긴 건축 관련 딜러는 13곳 있다.○ Yanmar의 서비스 센터의 경우 사후 관리를 제공하는 곳으로 총 10개 지역에서 사후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중 페타부리(Petchauri)지역은 서비스 뿐 아니라 쇼룸 또한 갖고 있다.◇ Yanmar 태국 공장 소개○ 프론트공장의 아웃라인은 그림과 같고 공장이 갖고 있는 컨셉은 유연한 생산 시스템, FMS(Flexible Manufacturing System)이다. FMS는 여러 가지 다양한 제품을 한 가지 라인에서 생산할 수 있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첫 번째 FMS Machining Line 은 FMS 안에서 Horizontal Line(수평적 라인)으로 기계를 생산한다. Horizontal Line은 Vertical Line(수직적 라인) 보다 투자 금액이 높아지는데 그 이유는 모델을 바꾸거나 할 때 편리성이 높아서이다.○ 두 번째 엔진, 변속기&프론트 엑셀 조립 라인에서는 엔진에 문제가 있는지 이상 소음이 있는지, 오일이 누수 되고 있는지 등에 관한 이상 점검을 한다.○ 변속기, 프론트 엑셀 페인팅 라인에서는 자동차 페인팅 기술과 동일한 E-coating(ED)를 사용하여 부식을 방지하고 있다.도색 이후 건조를 시키는 과정에서 두 번 코팅을 입히고 두 번 건조를 시키기에 ‘Two-coat Two-bake’ 라고 부르고 있다.○ 마지막 라인인 트랙터 조립 라인은 최종적으로 트랙터를 조립하는 라인으로 균형과 운전 중에 상호간 회전 중심선이 일치하도록 기기를 배열 하는 것에 대한 롤러 테스트도 진행한다. 마지막 QC(품질관리)를 통해 최종 이상 유무를 점검한다.◇ Yanmar 태국 제품○ EF393T와 EF494T는 공장에서 생산하는 완성품 중 하나로 EF393T의 경우 39마력의 제품이고 EF494T는 한 단계 더 높은 모델로 49 마력이다. 모델명에 적혀있는 숫자 앞 두 자리가 마력을 상징한다.○ 2016년 초 새로운 모델인 EF514 MU를 시작하게 되었다. 이 모델의 경우 농기계와 관련하여 세계 최초로 전세계 최대 축구 클럽 중 하나인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를 후원하며 한정판 트랙터를 생산했다.○ EF725T는 72마력의 트랙터이다. 작은 엔진들은 Yanmar에서 생산하는 다양한 엔진으로 7-16마력의 엔진들이다.○ 이외에도 TNV엔진, 굴착기, 콤바인 하베스터, 이앙기 등을 태국 현지 업체와 함께 생산을 하거나 일본, 중국에서 수입하여 판매를 하고 있다.□ 질의응답- 농기계를 할부로 구입하게 하면 차량처럼 매달 갚게 하는지."차량 할부처럼 매달 농기계 값을 갚는 것이 아니라 농작물 수확 기간에 맞추어 수확이 이루어질 때는 더 많은 금액을 갚게 하고 수확 철이 아닐 때에는 소규모나 혹은 다음 번 수확에 맞추어 갚게 한다."- 대출 시 농가가 부담하는 담보 같은 것은 있는지."농기계 값의 70% 대출이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보증인이 있어야 한다."- 농가의 경제 상황이 많이 좋지 않다고 했는데 부실 채권 발생 등으로 이어지지는 않는지."갚지 못할 상황으로 판단 될 때는 트랙터를 다시 농가에서 가져오게 된다. 아까 질문에 잠깐 답했듯 수확기간이 1년에 2번인데 이 2번 사이에는 목돈을 최소 2번은 지불해야 한다.그러나 이 1년 사이 2번 목돈을 갚지 않을 때에는 회수 절차를 밟게 된다. 그렇다고 돈을 안낸다고 바로 회수를 하지는 않는다. 파이낸싱을 담당하는 직원들이 해당 농민을 직접 만나 상환 계획이라던가, 앞으로 농가 수입을 어떻게 올릴지 충분히 이야기를 나누어 보고 결정을 한다."- Yanmar Capital의 설립이 매출에 영향을 끼쳤는지."아니다. 매출에 영향을 끼친 부분은 없다. 단 태국의 농가에는 점점 직접 구매가 아닌 파이낸싱을 통한 대출 혹은 할부 구매를 원하는 비율이 증가하고 있는데 기존의 Yanmar의 경우 이 분야의 전문가가 아니기에 Yanmar Capital 설립을 통해 전문간들이 자본을 관리하는 것뿐이다."- Yanmar는 R&D에 어느 정도 투자 하는지."일본의 지사 개념이다 보니 투자비용 및 비율은 얼마 되지 않는다. 즉 새로운 제품을 개발하는 것보다 기존에 나와 있는 제품을 태국에 맞게 개량하는 차원의 R&D라고 볼 수 있다."- Yanmar SP가 합작회사로 운영이 되는데 합작회사로 운영하면서 태국정부가 편의를 봐준다거나 혹은 사업을 어렵게 만든 다거나 등의 전반적인 합작회사를 태국에서 운영하는 것들에 대한 느끼는 점은."특별한 혜택으로 본다면 세금 면제가 있을 것 같다. 원자재를 해외에서 수입하는 경우가 많은데 수입 시 관세를 면제해 준다거나 법인세를 인하해 주기도 한다. 단점이라고 한다면 태국의 인건비가 주변의 국가들에 비해 높다는 것이다."
-
2024-05-18■ 태국 농기계 산업의 발전 전략■ 기관명 : 태국농업공학협회■ 발표자명 : 다레스 키티요파 태국농업공업협회장Dares KittyiyopasPresident of Thai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ingBuilding 5 Floor 5, Department of Agricultural Extension브리핑태국 방콕□ 브리핑 : 태국농업공학협회◇ 협회 소개○ 태국농업공학협회(TSAE : Thai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ing, http://www.tsae.asia/)는 1976년에 설립된 비영리 형식의 협회이다. 총 271명의 회원으로 이루어져 있고 정부기관관료, 대학교수 등이 주를 이룬다.또 무역 및 유통업자, 농기계 산업에 관심이 있어 하는 이들도 적지만 회원으로 가입되어 있다. 협회에 가입 시 2가지 선택이 가능하다.농기계 산업에 종사하는 이들은 평생회원(Long life member)으로 대학생 혹은 농기계 산업에 관심을 갖고 가입한 이들은 연간회원(Yearly Member)로 가입을 한다. 현재 271명의 회원 중 명예회원은 6명, 평생회원은, 231명 그리고 연간회원은 34명이다.○ 협회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농업 공학 분야의 확장과 연구(기존 농업 기술 발전 및 신규 기술 개발) 촉진△국내외 기관들과 교류 및 협력 추진△전문가 조언 및 기술 서비스 제공 △정부, 대학, 산업 등의 각 이해관계자들 사이의 협업이 가능하게 하는 역할○ 협회의 주된 활동은 다음과 같다. △출판(농기계 구매 가이드북, 농업공학협회 잡지 등) △조직(매년 협회 컨퍼런스 및 농업공학전공 학생들의 프로젝트 발표회 등) △서비스 제공(농기계 관련 규범, 기준 마련 및 수정)△농기계 사용 매뉴얼 트레이닝 △국내외 농기계 사용에 대한 연구 진행○ 협회는 직원을 따로 두지 않고 프로젝트 베이스로 협회원 또는 위원회를 통해 조직되고 운영된다. 진행되는 프로젝트에 대한 보수는 따로 없으며 프로젝트의 크기에 따라 많은 인원이 참여하느냐 아니냐가 결정된다.◇ 농기계 수출 현황○ 두 그래프에서 원의 크기는 수출량을, 가로축은 연간 성장률, 세로축(①)은 현시비교우위지수(RC"Revealed Compartive Advantage)를 나타낸다. ① 전세계 전체수출시장에서 특정상품의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과 특정국의 수출에서 동 상품추술이 차지하는 비중사이의 비율로 특정 상품의 비교우위를 판단하는 데 널리 쓰이며 이 지수가 1보다 크면 비교우위가 있다고 판단한다.▲ 태국 및 인근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농기계 수출(단위: 백만 USD)[출처=브레인파크]○ 수출에 있어 싱가폴의 경우 직접 생산을 통한 수출이 아니라 중간 무역을 통한 수출량이 많기에 원의 크기가 큼에도 그래프 하단에 위치한다.▲ 태국 및 인근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농기계 수입(단위: 백만 USD)[출처=브레인파크]○ 수입에 있어 태국의 수출량이 많은 이유는 태국 인근에 위치한 라오스, 미얀마, 캄보디아 등으로 진출하는 농기계 제품들이 태국을 통해 육로로 이동해서이다. ◇ 농기계 제품별 사용 현황○ 기타의 경우 해당 농기계를 사용하지 않고 농부의 노동을 통해 이루어지거나 다른 농기계를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자료들의 경우 이전에 조사가 이루어졌기에 지금과는 다소 차이가 발생 할 수도 있다. TSAE에서는 소유하는 농가수가 조금은 증가 했으리라 예상한다.◇ 농업 구조 개혁○ 현재 태국 농업은 농기계 사용 확대에 있어 사용을 권장하는 단계이고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는 과도기에 놓여있다. 이에 협회는 정부기관과 민간이 같은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게 지원하고 있다.▲ 태국 농업 구조 개혁[출처=브레인파크]○ 이를 위해 농업 구조 개혁을 준비 중인데 첫째로 시장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여 농산업이 어떠한 수요가 있는지 파악하고 다음으로 어떻게 해야 농작물 생산량이 많아질지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시장 필수 조건을 맞추기 위한 가치를 3가지 분야(△농가△프로세싱△시장)로 나누어 생성할 계획이다.○ 먼저 농가에 관해 살펴보면 소, 중, 대규모 농가로 나눌 수 있다. 소규모 농가의 경우 여러 소규모 농가를 Machinery Pool로 조직하여 농기계를 공유하여 사용 할 수 있게 하려고 한다.또 농사에 필요한 각종 농자재들을 협회차원에서 대여해줄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려고 한다. 그리고 환금 작물 재배를 독려하여 농가 소득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려고 한다.소규모 농가의 편의를 위해 임대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인데 한국에서도 조합이나 국가 기관을 통해 임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중형 농가의 경우 소규모 농가보다 고품질의 농기계에 대한 수요가 존재한다. 농작물 재배 및 수확 시 작동이 편리하고 빠른 효과를 볼 수 있는 농기계를 사용하려고 한다.○ 대형 농가는 설탕 공장이 갖고 있는 사탕수수 농장, 카사바를 가공하는 공장이 소유하고 있는 농장들 등이 대부분이다. 대형 농가들에는 농업 현대화가 중요하기에 GPS 설치 등을 지원하려 한다.정밀 농업의 경우 한국에서도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Farm Pool을 통해 대형 농가가 소규모 농가도 관리를 하며 농작물 재배 및 수확 시 효과성을 최대로 증진시키려 한다.○ 프로세싱 쪽에서는 수확물 증대와 가공 원가 절감, 높은 기술력 확보, 시장의 요구에 맞는 상품 다양성과 상품 혁신을 목표로 하고 있다. 나아가 세계 시장 표준에 맞는 상품을 생산하려고 한다.○ 시장에서는 새로운 방식으로 시장을 확대하려고 한다. 태국 로컬 브랜드에 대한 영향력을 증대시키고 새로운 S 곡선과 소셜 비즈니스에 대한 연구도 진행 할 예정이다.○ 이 모든 과정들은 높은 효율성, 식량 안보, 친환경 등을 목표로 R&D와 트레이서빌리티(②)를 같이 진행 할 계획이다. 또한 수자원에 대한 관리와 조합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방법 그리고 각 지역별로 어떠한 작물이 효율성이 높은지를 더 연구할 계획이다. ② 모든 측정기(測定器)를 국가 표준으로 각 단계별로 체계(體系)를 세워 측정 결과의 신뢰성, 통일성을 유지하려는 것을 말한다◇ 단기 및 중장기 계획○ 단기적 계획으로 먼저 농작물 생산자들이 현대적이 농사를 지을 수 있게 지원할 계획이 있다. 전통적 방식의 농사를 짓는 이들을 독려해서 현대적인 방법으로 변화 시킬 계획이다.예전에 인력을 통해 이루어지던 작업을 기계화 하여 효율성을 높일 계획이다. 또 환금 작물 재배를 적극 장려할 계획이다.○ 중장기적 계획으로는 농기계 기술 개선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여 농업 작물 생산량 및 효율성 증대를 높일 계획이다. 또한 농기계 관련 응용 프로그램들도 개발할 계획이다.◇ 현대적 농업 개발 계획○ 현대적 농업 개발 계획으로 주요 생산품목에 있어서는 작물, 소형 동물, 대형 동물 그리고 어업에 대한 계획 및 비주요 생산품목으로 환금 작물에 대한 발전 계획을 세우고 있다.○ 6개월 이내의 단기적 계획으로 조합을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모델을 만들어서 농가들이 현대화 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할 계획이다. 1년 이상의 중장기 계획으로 농업에 대한 혁신 및 발전 모델을 연구하여 농가들이 IT 기술을 적용하고 활용 할 수 있는 계획을 추진 중에 있다.◇ 지역 별 생산품 발전 계획○ 지도에 보이는 것처럼 지역 별로 어떠한 생산품을 발전 시켜야 할 것인지를 지역의 토양 및 환경에 따라 지정하여 그에 맞는 각 기술과 농기계를 발전 시킬 계획이다.정부 및 공공기관에서 운영하는 농장들에 대한 발전 계획과 공공 농장들이 없는 지역에 대해서는 사립 농장들에 대한 발전을 함께 추진 할 계획이다.▲ 지역별 공공 농장 발전 계획[출처=브레인파크]◇ 농업 현대화 개념○ 농업 현대화에 대한 개념은 개선된 기술을 활용하여 더 발전되고 정밀한 농업을 의미한다. 또 토양과 수자원 같은 가변적인 요소들도 통제 하여 생산성을 높이는 것이다.이는 더 많은 량을 생산하고 이들에 대한 품질 및 안전 관리를 확실히 하여 수출 증대 및 수출에 대한 트레이스빌리티를 가능하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IT 기술 기반 정밀 농업▲ GPS와 위성을 통한 트랙터 관리[출처=브레인파크]○ 수자원에 있어 태국 내에서는 지역 및 기후별로 가뭄이 심한 지역이 있기에 우기 때 물을 많이 축적하여 관리를 통해 수자원을 활용 할 수 있는 기술을 사용 중에 있다.○ 한국도 그러하다고 들었으나 태국도 젊은 층의 탈농촌화가 심각한 상황이다. 노동력이 감소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트랙터 사용율을 높이고 있다.◇ BAAC(③) 프로젝트: 농기계 재정 지원 ③ BAAC(Bank for Agriculture and Agricultural Cooperatives)는 태국의 농협은행이다.○ BAAC(Bank for Agricultur and Agricultural Cooperatives)는 농작물 생산, 가공, 이동에 있어 농기계 재정 지원 프로젝트를 통해 농작물 생산 효율성을 증대시키고 비용 절감을 달성하고자 한다.BAAC 프로젝트는 다음을 목표로 한다. △농기계 및 각종 농사용 자재 투자를 위한 파이낸싱 △농가가 농기계를 소유 할 수 있게 하기 위한 리파이낸싱(④). ④ 조달한 자금을 상환하기 위해 다시 자금을 조달하는 일을 뜻한다. 현재의 대출금리가 기존의 대출금리보다 낮아지면 대출자는 대출이자 부담을 줄이기 위해 재융자(refinancing)를 받아 기존 대출금을 갚는다○ BAAC는 새로운 시즌의 농작물 생산을 위한 자금 지원을 준비하여 농가들의 가뭄이나 작물 가격 하락 같은 문제를 해결 해오고 있다.◇ 연구를 통한 농기계 역량 강화 정책○ 정부기관과 함께 농업공학협회는 우선 각각의 농기계를 35개의 그룹으로 나누고 농기계 품목에 대한 공급사슬 연구를 진행했다. 그 결과 농기계에서 가장 중요한 10가지 부품을 정리할 수 있었다.이 10개의 요소는 △구조 △모터 △축(shaft) △전자제어시스템 △프로펠러 △제어 시스템 △엔진 △엔진 벨브 △컨베잉 시스템 △실린더 이다.아직 조사가 완벽하게 끝나지 않아 어떤 농기계가 가장 많이 쓰기고 필요한지에 관해 수치로 정리가 되지는 않았다.그러나 정부와 협회 차원에서 이에 대한 연구 및 조사를 계속 진행 중에 있다. 객관적 자료를 마련하여 태국 전역에서 농기계 활용 및 연구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노력 할 계획이다.◇ 태국 경제 발전을 위한 정부 정책○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격차 감소 △인적자원 개발 △경쟁력 강화이다. 이를 위한 전략으로 가장 먼저 투명한 정부 시스템 마련을 하여 자국민들이 정부를 신뢰하고 자신의 일을 할 수 있게 노력할 계획이다.또한 혁신과 생산성을 증대시키고 인적 자본의 질을 향상시키며 경제력 증진을 통해 자국민의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할 계획이다.○ 이 계획을 이루기 위해 7가지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7가지 방안은 다음과 같다. △혁신과 생산성 증대 △중소기업과 창업 지원 △관광업과 Mice 산업(⑤) 촉진 △새로운 S 커브 산업 추진 △농업 현대화 △머니타이제이션(⑥)을(Monetization) 통한 소비 촉진. 이 7가지 방안을 위해 각각의 정부기관이 지원할 계획이다. ⑤ 기업회의(Meeting), 포상관광(Incentive trip), 컨벤션(Convention), 전시박람회와 이벤트(Exhibition&Event) 등의 영문 앞 글자를 딴 말.좁은 의미에서 국제회의와 전시회를 주축으로 한 유망 산업을 뜻하며, 광의적 개념으로 참여자 중심의 보상관광과 메가 이벤트 등을 포함한 융·복합산업을 뜻한다. ⑥ 원조 물자를 받은 나라에서 매각한 대금을 그 나라의 경제 부흥을 위해 쓰는 일▲ 경제 구조 발전 방향[출처=브레인파크]◇ 투자 특권을 누릴 수 있는 10가지 집중 산업○ 투자에 있어 태국 정부의 특권을 받을 수 있는 10가지 산업은 기존의 5가지 산업과 신규 5가지 산업이 있다. 기존의 5가지 산업은 △차세대 자동차 △스마트 전자제품 △웰니스 및 의료관광 △농업 및 생명공학 △미래 식품이다.○ 신규 5가지 산업은 △로봇 공학 △항공과 물류 △화학 연료 및 생화학 △디지털 산업 △메디컬 허브 산업이다.○ 이 모든 10가지 산업은 태국 내에서 사업을 진행할 때, 태국의 투자청(Board Of Investment)를 통해 특권과 세금 혜택을 받을 수 있다.정부는 또한 국가경쟁력강화펀드(Competitiveness Enhancement Fund)를 운용하여 민간기업들의 대 태국 투자 유치를 이끌어내기 위한 계획을 세웠다.□ 질의응답- 쌀 생산하는데 있어 생산비용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태국이 세계 쌀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생산단가를 낮춰야 할 것인데, 태국도 농촌의 인구 유출이 심각하다고 늘었다. 그렇다면 정부 차원에서 농기계화를 위해 지원 방안을 세우거나 노력하고 있는 부분이 있는지."정책적으로 농기계를 지원해주거나 사주는 경우는 없고 만약 농가에서 농기계를 구입한다고 했을 때 대출 지원을 해주거나 이자를 정부에서 감면시켜주는 정책이 있다."- 태국에 한국 기업이 농기계를 수출하거나 혹은 공장을 지어 운영하려고 한다면 어떤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두 가지 모두 혜택이 가능하다. 공장을 지어 운영을 한다면 태국 투자청을 통해 세금 감면 등의 혜택을 받을 수 있고 수출에 있어서도 지원을 받을 수 있다."- 태국이 물이 부족하다고 들었는데 이와 관련한 농기계들이 많이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지."태국은 가뭄이나 물 부족으로 인한 문제들이 있으나 지난 조사 결과 양수나 물 관련 농기계 제품의 수가 그렇게 많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태국이 내륙 국가들의 입구다 보니 태국이 수입하여 다시 수출하는 경우가 많다고 하였는데 이는 어떻게 진행 되는 것인지."태국이 갖고 있는 시스템 중에서, 해외에서 수입한 제품을 바로 수출을 할 때 'Free Zone'이라는 시스템을 통해서 면세하여 곧 바로 수출을 할 수 있게 한다.태국은 주변 국가들에게 수출하기 전 먼저 사용을 해보는 경우가 많다. 태국에서 성능이 입증 되면 주변 국가들도 수입을 많이 하곤 한다."
-
태국 농업에 대한 이해■ 기관명: 코피아 태국 센터■ 발표자명: 우종규 코피아 태국 센터소장Woo Jong-Gyu, pH. D, Plant breederKOPIA Thailand, Department of AgriculturePhaholyothin Rd., Chatuchak, Bangkok 10900, ThailandEmail: wooojgyu@naver.comOffice: +66-2-579-2963(4)Mobile: +66-89-015-0147브리핑태국 방콕□ 브리핑 : 코피아 태국◇ 코피아 소개○ 코피아(KOPI"Korea Program on International Agriculture)는 농업진흥청에서 만든 프로그램이다. 40-50 년대 이 후 수혜국이던 한국이 백색혁명과 녹색혁명을 거쳐 농업을 발전시켰고 이 전 한국이 도움을 받았던 것처럼 개발 도상국가들에 지원을 하기 위해 시작되었다.코피아의 특징은 전문가 몇 명을 파견하여 정책을 만드는 일을 하는 것이 아니라 한국 국내에서 개발된 기술 뿐 아니라 예산과 전문 인력을 함께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각 개발도상국이 갖고 있는 고유의 지식과 경험을 유지하고 이를 발전시킬 수 있는 방안을 20개 개발도상국 기관들과 함께 협력하여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코피아센터 개요[출처=브레인파크]▲ 코피아센터 설립 현황(20개국)[출처=브레인파크]○ 태국 센터는 2012년도에 개소하여 소장, 선임급 연구원 1명, 연수생 2명 그리고 현지 직원 3명(행정, 연구, 운전)이 사무실에서 근무 중이다.센터가 위치한 카세삿 대학교(Kassesat University) 내에 위치해 있는데 카세삿 대학교는 농업 대학으로는 태국에서 3번째로 설립된 명문대학이고 태국 전역에 3개의 캠퍼스를 운영하고 있다.대학교 부지 안에는 농업 관련 각종 정부 기관들이 위치 해있다. 각 본부가 방콕에 있고 분야별 연구는 지역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태국 코피아센터 외관[출처=브레인파크]○ 현재 태국 센터는 태국 농업청과 4개의 공동 과제를 진행하고 있다. 옥수수 생산, 사탕수수, 녹두 그리고 원예작물을 주제로 하고 있고 각 주제 별 예산을 투입하여 시행 중에 있다.구분과제명기간협약체결협력- 일대 잡종 옥수수 종자 생산 농가 육성2014. 10~ 2017. 9체결(14.10)- 사탕수수 무병종묘의 대량 생산 및 농가 포장 검정2015. 12~ 2018. 11체결(15.12)- 소규모 농가를 이용한 녹두 상업용 종자 생산2015. 12~ 2018. 11체결(15.12)- 영양번식 원예작물의 우량계통 선발 및 종묘 기내 증식2015. 12~ 2019. 11체결(15.12)△ 협력과제 현황○ 태국의 음식을 보면 주로 육식을 많이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불교 국가 임에도 돼지고기, 닭고기 소비량이 많다. 이에 가축 사육에 따른 옥수수 소비량이 많다. 옥수수 소비는 사료용으로 보면 된다.○ 그러나 태국이 농업 국가임에도 대부분의 옥수수는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무역 적자 감소 및 태국 농업 발전을 위해 태국 내에서 옥수수 재배가 가능하게끔 농민들을 모아 교육 및 재배 지원 사업을 하고 있다.○ 사탕수수의 경우 세계 2위생산 국가로서 무병종묘를 생산하여 품질을 더욱 높이는 부분과 녹두 생산에 있어 체계가 잡혀있지 않아 이를 위한 교육도 진행 중이다.◇ 태국 농업 현황○ 1인당 GDP가 5천 달러 이상이지만 극심한 빈부격차를 보이고 있다. 또 시골의 일반 농가의 수준을 현저히 낮은 것으로 파악된다.그러나 대규모 사탕수소 재배 나 각종 작물 재배 등을 통해 한국의 재벌기업 총수들보다 더 부유한 사람들도 태국 내에 꽤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인당 GDP농업비중농업인구총경지면적5.647달러8.6%17.5 백 만명2 천만 ha△ 주요 농업현황(FAO Statistics, 2014년)작물명벼옥수수카사바사탕수수대두코코넛커피재배면적9,8191,2061,3601,3394020842작물명마늘쪽파양파파인애플두리안망고스틴난재배면적14101.79192653.5△ 주요 작목 재배면적(Agriculture Statistics of Thailand, 2013년 / 단위: 1,000ha)○ 태국은 농업 국가답게 각종 작물을 넓은 면적에서 재배하고 있다. 쌀 생산의 경우 전 세계 생산량의 1~2위를 매년 왔다 갔다 하는 중이다. 또 옥수수, 카사바, 사탕수수를 넓은 면적에서 생산하고 있다.넓은 경작지에서 농작물을 재배하다 보니 부피가 큰 농기계를 사용해야 하나 농가의 소득이 높지 않은 것에 비해 큰 농기계들의 가격대, 인건비가 높고 또한 농업 인구가 감소하고 있기에 중고 농기계를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작물명벼옥수수카사바사탕수수대두코코넛커피재배면적28,0225,06329,199102,979701,01038작물명마늘쪽파양파파인애플두리안망고스틴난재배면적90132402,20956927847△ 주요 작목 생산량(Agriculture Statistics of Thailand, 2013년 / 단위: 1,000톤)○ 과일 재배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데 그 중 코코넛 재배를 살펴보면 인력을 활용하는 것이 아니라 원숭이가 코코넛 나무에 올라가 코코넛 열매를 수확하는 방식이다. 즉 과수에 있어서는 기계화 활발하지 않다고 볼 수 있다.구분쌀당류카사바고무파인애플두리안팜유수량(톤)6,611,6196,644,4358,289,4893,851,555746,509381,414725,217수출액(1,000$)4,015,1822,827,8702,264,0969,454,774678,567255,869529,380단가(USD/톤)6074252732,454908670729△ 주요 수출 농산물의 품목, 수량, 금액(Agriculture Statistics of Thailand, 2013년)구분대두당류옥수수밀가루사과감귤류감자수량(톤)1,679천215천192천190천148천161천120천수출액(1,000$)936,949164,40236,50287,990177,252137,559118,784단가(USD/톤)5587661894631,194852990△ 주요 수입 농산물의 품목, 수량, 금액(Agriculture Statistics of Thailand, 2013년)○ 농산물의 생산과 이후 가공은 대규모로 이루어진다. 세계에서 가장 큰 사탕수수 공장이 태국에 위치해 있으며 카사바 또한 큰 덤프트럭 수십 대가 계속 움직여야 할 만큼 단위가 크다.○ 농산물의 생산과 이후 가공은 대규모로 이루어진다. 세계에서 가장 큰 사탕수수 공장이 태국에 위치해 있으며 카사바 또한 큰 덤프트럭 수십 대가 계속 움직여야 할 만큼 단위가 크다. 그러나 반대로 소규모로 이루어지는 농업도 많이 이루어진다. 대규모 농장들은 대부분 태국인이 소유주로 있다.○ 태국에는 딸랏 타이라는 대규모 농산물 도매시장이 운영되고 있다. 시장에서 거래되는 품목들을 보면 태국 사람들의 식문화가 다양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화훼시장이 운영되는데 태국은 알려졌다시피 불교국가이고 이 때문에 부처에게 바치기 위해 많은 꽃이나 난이 거래가 되고 있다.○ 앞서 언급했듯 태국의 시골 및 농촌에서는 전 세계 어느 국가와 마찬가지로 젊은 인구 층의 이탈이 심각하다. 따라서 1인 혹은 2인 가족이 가족노동을 해야 하는데 이 때의 면적은 제한된다. 이에 우리나라에서 좋은 기술로 생산이 되는 소규모 농기계들이 가능하다면 수출되면 좋을 것 같다.○ 파쇄기, 예초기 등 나름대로 다양한 농기계가 존재하나 구매에까지 잘 도달 하지는 않는 것으로 보인다. 개인 별 혹은 작은 업체에서 많은 기계들을 생산하고 판매하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 실제 시골이나 외곽에서는 새 제품을 구매하여 사용하기에는 가계 소득이 낮아 어려운 것으로 알고 있다.○ 한국 농식품의 대 태국 수출 현황은 지속적으로 해마다 증가하다가 최근 소폭의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수출품에 있어 김치의 경우 현지 제조 김치가 유통되고 있는 실정이라 수입 김치의 차별화가 부족하다.2007년2009년2011년2013년103.8155.0296.5269.4△ 대 태국 한국 농식품 수출 현황(백만 $)농산물 조제품사료딸기채소종자인삼제품단감배김치고추장사과69.37.12.70.70.60.60.20.130.10.1△ 주요 수출 품목(백만 $)배중국산(98.9%, 13.5THB)일본산(0.02%, 300THB)한국산(0.02%, 79THB)포도중국산(53%, 78THB)미국산(21.4%, 395THB)한국산(-, 470THB)딸기미국산(37%, 155THB)한국산(19%, 178THB)뉴질랜드산(18%, 139THB)단감중국산(71%, 50THB)일본산(13%, 299THB)뉴질랜드산(13%, 75THB)△ 수출 유망 품목(백만 $) □ 질의응답 : 참가자◇ 태국 정권 관련- 독재, 군사독재가 쭉 이어지고 있다고 본다면 이는 상인층과 연관이 되어 있는가? 이를 베트남과 비슷하다고 보면 되는지."아는 한 말씀드리자면, 우선 군사독재는 쿠테타가 끝났기에 더 이상 아니다. 쿠테타는 주기적으로 발생한다. 군부는 왕족, 귀족들 출신이 대부분이다. 전 인락 총리 쪽 계열은 상인층이다.선거를 진행하면 상인 계층의 후보가 승리한다. 두 번 연임이 가능하니 상인 계층이 8년 가까이 지배를 하게 되고 이 때 군부가 쿠테타를 일으킨다.쿠테타를 통해 세운 정권은 계속 유지시킬 수 없기에 또 선거를 하게 되어 또 상인 계층이 지배를 이어나간다. 대략적으로 8년의 주기로 쿠테타가 발생한다고 볼 수 있다."- 동남아시아를 구조적으로 보면 상층부(지도층), 상인, 하층민으로 나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사업 진행시 상인이 아닌 상층부와 연결이 이루어져야 할 것 같다. 태국도 그러한지."상인, 상층부라고 딱 이야기하기보다 그 당시 실권을 누가 갖고 있느냐를 보아야 할 것 같다."- 다른 동남아시아 국가를 보면 관료가 갖고 있는 권력이 강하고 관료가 다음 세대로 계속 세습 되는 경향을 보이는데 태국도 그러한지."태국은 그러지 않다고 볼 수 있다."◇ 코피아 관련- 코피아의 주요 업무를 식량 작물 연구라고 보아도 되는지."코피아는 작물을 연구하는 곳이 아니라 농촌 진흥청 소속 기관으로 농촌 진흥청에서 개발도상국에 농업기술연구를 지원해주는 곳이다.이 때 기초 기술 보다 실용적인 기술을 농민들에게 알리는 역할도 담당하고 있다. 개발된 기술을 농가에서 직접 실용화 할 수 있게 농민들이 이익을 만들 수 있게 도와주는 것이다."- 한국에서 개발도상국을 지원하는 코이카(KOICA)와 업무가 중복되는 부분은 없는지."코이카의 경우 무상원조를 통해 각종 농자재나 자금을 지원하는 것이라면 코피아의 경우 농민들이 돈을 벌 수 있는 부분을 연구하는 기관이라고 보면 된다. 30-40년 동안 한국이 개발하고 발전시킨 농업 기술을 각 국가의 실정과 환경에 맞추어 제공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농업 일반 관련- 사진에서 보여 준 플란테이션(Plantation)의 소유는 누가 하고 있는가? 외국 자본이 하고 있는지."태국인이 소유하고 있다."- 농기계를 운영하는 데 있어 유류비가 중요할 것 같은데 기름 값이 어느 정도인지."우리나라의 약 70%정도로 현지 물가에 비해 비싸다고 볼 수 있다."- 태국에서는 농약 살포에 대한 규정은."우리나라에서는 법상으로 관리가 되나 한국처럼 이루어지지 않는다. 한국에서는 24D사용이 안되나 태국에서는 많은 곳에서 사용된다. 한국의 30-40년 전과 비슷하다고 보아야 할 것 같다.여러 분야에서 전통적인 농법이 존재하고 농업 국가답게 많은 생산을 하는 만큼 농업에 있어서도 친환경적인 방법이 있을 것이라 예상은 되지만 아는 선에서는 강한 농약을 많이 사용한다고 할 수 있다."- 쌀농사의 경우 육모, 이앙을 하는가 아니면 직파재배를 하는지."거의 대부분 직파로 한다."
-
2022-02-04나이지리아 100% 디지털 보험 스타트업인 카사바(Casava)에 따르면 시드 라운드에서 아프리카 보험기술 회사로는 최대 규모인 US$ 400만달러를 모금했다.또한 국내 스타트업으로는 2번째로 큰 모금액이다. 이번 카사바의 시드 라운드는 독일 베를린 본사의 기업인 타겟 글로벌(Target Global)이 주도했다.엔젤 투자자들과 더불어 다음과 같은 벤처 투자자들이 참가했다. Entrée Capital, Oliver Jung, Tom Blomfield, Ed Robinson, Brandon Krieg 등이다.또한 이번 라운드에 참여한 국내 출신 투자자는 다음과 같다. Uche Pedro(BellaNaija), Babs Ogundeyi(Kuda), Musty Mustapha(Kuda), Shola Akinlade(Paystack), Olugbenga “GB” Agboola(Flutterwave), Honey Ogundeyi(Edukoya), Tosin Eniolorunda(TeamApt), Opeyemi Awoyemi(Moneymie) 등이다.카사바는 2019년 소액 보험 라이선스를 획득하고 2021년 4월 정식 출시됐다. 수백만 명의 사람들에게 일반 및 생명보험 상품을 제공하고 있다.2022년 2월 현재 기준 카사바는 1600만달러의 보험 혜택을 받고 있는 6만6000명 이상의 고객을 보유하고 있다.카사바의 건강보험 상품은 가입자가 나이지리아 전역의 900개 병원뿐만 아니라 1000명 이상의 의사를 통해 원격의료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카사바(Casava) 홈페이지
-
2020-12-01나이지리아 농업기업인 엘라 레이크스(Ellah Lakes Plc)에 따르면 서부에 위치한 온도(Ondo)주정부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엘라 레이크스는 온도주에서 팜오일 및 카사바 경작용 5000헥타르(ha)의 토지에 대한 공동개발 및 관리를 위한 협약을 맺은 것이다.이번 협약으로 팜오일과 카사바 사업부문의 생산기반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포트폴리오를 다양화한다는 전략적 목표도 달성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또한 엘라 레이크스는 남부에 위치한 에도(Edo)주에서 소작농 프로그램을 착실히 진행하고 있다. 에도주의 농업개발프로그램(ADP) 인력의 참여로 카사바 농지 100헥타르(ha)에서 첫 이정표가 될 기록을 달성한 바 있다.▲엘라 레이크스(Ellah Lakes Plc) 홈페이지
-
국제열대농업연구소(IITA)에 따르면 2016년 나이지리와 탄자니아에서 카사바농사법에 대한 563개 항목의 시도를 단행했다.열악한 환경의 농부들의 생활 개선과 카사바 생산 증대를 위한 목적이다. 연구자들은 시행을 통해 비료권장 사항, 최상의 재배 시기, 재배 계획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기를 예상하고 있다.카사바는 아프리카 대륙 전체에서 재배되지만 아시아와 비교해 헥타르 당 수확량이 8톤으로 적은 편이다. 태국은 수확량이 22톤 이상이며 아시아 국가들과 비교해 국제수출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없는 실정이다.▲국제열대농업연구소(IITA) 로고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