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해양유전"으로 검색하여,
12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싱가포르 굴착장비업체 셈코프(Sembcorp)에 따르면 2017년 1월 동종계 NADL과 조선업체 Jurong Shipyard와의 불가침협약을 연장했다.셈코프측에서 반잠수식 해양굴착장비인 '웨스트 리겔(West Rigel)'을 Jurong Shipyard에 인도하기로 했던 시기가 오는 7월6일로 연기됐기 때문이다.3사의 사업 내용은 셈코프로부터 웨스트 리겔을 매입한 Jurong Shipyard가 해당장비를 해양유전개발업계에 판매할 계획이며 이러한 계약주선을 NADL이 담당하고 있다.참고로 불가침협약(standstill agreement)은 인수합병(M&A) 시장에서 자사경영권을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 일정기간 적대적 인수공격을 하지 않기로 약정하는 것이다.▲west rig 이미지(출처 : seadrill)
-
싱가포르 해양서비스업체 발리안즈(Vallianz)에 따르면 2017년 당사의 핵심사업을 '용선(vessel chartering)'에 초점을 맞춰 간소화할 계획이다.기존 석유가스 부문 중 탐사, 선원관리 등의 서비스는 중단하고 선박임차에 집중해 현재 침체되는 해양산업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목적이다.2016년 말을 기준으로 국내 해양유전사업은 전반적으로 둔화되고 있다. 당사의 고객들도 사업을 유지하기 어렵다 보니 서비스사업을 축소시키는 추세다.▲발리안즈 홈페이지
-
말레이시아 해양건설업체 SapuraKencana에 따르면 2016/17년 3분기 순이익은 1.58억링깃으로 지난해 동기에 비해 21.7% 증가했다.동기간 매출액이 23.1% 감소했음에도 '에너지'부문의 영업이익이 전년도 적자에서 흑자로 전환됐기 때문이다. 다만 사업시기에 따른 일회성 이익에 그쳐 지속성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이번 회계연도 1~3분기 누적 순이익은 3.8억링깃으로 전년도에 비해 23% 감소했다. 이번 3분기 외에는 저유가 및 수주감소로 해양 엔지니어링, 건설, 굴착 부문의 실적이 모두 하락됐기 때문이다.당사는 주력사업인 해양유전사업이 둔화된 상태이며 현재 링깃화의 평가절하로 발생되는 외환손실은 전체 실적에 악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된다. 다음 4분기 내로 자체적인 비용관리가 필요한 시점이다.
-
말레이시아 해양유전서비스업체 Bumi Armada에 따르면 2016년 3분기 순손실액은 9671만링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동기 순이익 7000만링깃에서 '적자'로 전환된 것이다.올해 초부터 부유식원유생산저장설비(FPSO) 및 부유식가스솔루션(FGS) 부문의 실적이 지속적으로 하락됐기 때문이다. 참고로 2016년 1~3분기 누적순손실액은 6억링깃에 달한다.
-
2016-10-06말레이시아 해양유전서비스업체 Perdana Petroleum에 따르면 2016년 10월 석유업체 페트로나스(Petronas)와 해양지원선박 17척에 관한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공급될 선박은 업무형소형선박(workboat) 2척, 해양작업예인선(AHTS) 8척, 바지선(barge) 10척 등이다. 2019년 9월까지 약 3년간 공급계약이 이행되며 계약금은 6700만링깃이다.▲Perdana Petroleum 홈페이지
-
말레이시아 해양건설업체 SapuraKencana Petroleum Bhd에 따르면 2016/17년 2분기 순이익은 1억1230만링깃(약 297억원)으로 지난해 동기에 비해 7.9% 소폭 증가했다.동기간 매출액이 40.2% 급감했음에도 불구하고 에너지 사업부의 세전이익이 급증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건설, 엔지니어링, 굴착 등 주요 사업부가 침체돼 지속성이 결여된 상태다.건설 및 엔지니어링의 경우 매출액이 7억9670만링깃으로 집계됐으며 전년도에 비해 51.4%나 감소했다. 굴착부문은 5억3770만링깃으로 31.4% 줄어 해당 사업부의 실적이 크게 하락했다.참고로 직전분기인 1분기 순이익이 57.7% 대폭 감소한 것에 비하면 실적이 유지됐다고 볼수는 있다. 그러나 해양유전사업이 둔화된 것은 명백한 사실이다.2016년 9월 기준 당사는 해양유전 개발 및 건설 등 2억6400만링깃 상당의 프로젝트 5개를 확보한 상태다. 계약주체는 자회사인 석유가스 전문업체 TL Offshore Sdn Bhd다.사업내용은 ▲파이프라인 건설 ▲부유식원유저장설비 구축 ▲각종 해양유전 부속구조물 설치 등이다. 이번 계약이행이 정상적으로 완료된다면 실적회복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
말레이시아 해양건설업체 SapuraKencana Petroleum Bhd에 따르면 2016년 9월 기준 해양유전 개발 및 건설 등 2.64억링깃 상당의 프로젝트 5개를 확보한 상태다. 계약주체는 자회사인 석유가스 전문업체 TL Offshore Sdn Bhd다.5개 계약의 주요 사업내용은 ▲파이프라인 건설 ▲부유식원유저장설비 구축 ▲각종 해양유전 부속구조물 설치 등이다.사업지역은 베트남, 태국,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 해양지역으로 집중됐으며 향후 1년 이내로 계약이행이 완료돼야 한다.
-
[말레이시아] 해양물류업체 MISC, 2016년 8월 미국 해양유전업체 셰브론태국법인(COTL)으로부터 9.26억링깃 상당의 부유식원유저장설비(FSO)에 관한 운영·임대 계약 체결2016-08-29말레이시아 해양물류업체 MISC hBd에 따르면 2016년 8월 미국 해양유전업체인 셰브론태국법인(COTL)으로부터 9.26억링깃 상당의 부유식원유저장설비(FSO)에 관한 운영 및 임대 계약을 체결했다.당사의 계약주체는 자회사인 에너지선박업체 PNB(Petroliam Nasional Bhd)이며 해당 설비의 운영지역은 타이만(Gulf of Thailand)이다. 현재 태국은 저유가 상황임에도 업스트림 사업에 1000억바트까지 지출할 계획이라 관련 설비의 공급이 필요한 상황이다.
-
싱가포르 해양건설업체 셈코프마린(Sembcorp Marine)은 올해인 2016년 저유가, 굴착사업 침체 등으로 실적이 지속적으로 하락되고 있다. 하지만 해외기업에 대한 인수전을 통해 핵심사업에 더욱 집중하려는 모습도 보이고 있다.첫째, 싱가포르 해양조선업체 셉마린(SembMarine)에 따르면 2016년 1분기 순이익은 S$ 5480만달러로 지난해 동기에 비해 48.2% 급감했다. 유가하락, 금융비용 증가, 대형 프로젝트 연기 등이 주요인이며 동기간 매출액도 29.6% 감소됐다.둘째, 2분기 순이익은 S$ 1100만달러로 지난해 동기에 비해 90%나 급감했다. 저유가의 장기화로 인해 기계획된 해양유전 굴착사업이 연기되면서 실적이 악화된 것이다. 또한 굴착사업부문의 수익성 저조와 기타 금융비용에 대한 손실액만 4000만달러에 달했다.이러한 기업실적의 침체에도 당사는 올해 해외기업에 대한 인수전을 활발히 전개하고 있다. 2016년 8월에만 2건의 인수전을 결정했으며 모두 해양건설부문인 굴착사업과 조선엔지니어링 사업이다.첫째, 셈코프마린은 2016년 8월 해양굴착업체인 PPL Shipyard의 지분 15%를 인수하기로 결정했다. 해당업체의 인수를 통해 해양장비 및 선박의 설계, 건조, 건설, 수리까지 당사의 핵심사업을 더욱 체계화할 계획이다. 현재 인수대상업체의 지분 85%를 보유하고 있다.둘째, 동기간 자회사인 조선업체 'SMIY'가 노르웨이 조선엔지니어링업체 'LMG Marin AS'의 지분 100% 인수계약에 합의했다고 발표했다. 인수대상업체는 폴란드, 프랑스 등 유럽지역의 조선 설계 및 엔지니어링에 관한 다양한 플랫폼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다.이처럼 셈코프는 인수전을 통해 본원적 사업에 대한 집중적인 체계화 작업과 해외사업 진출에 대한 교두보를 마련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실적하락에도 불구하고 과감한 인수전을 단행하는 것이 기업재무에는 부정적이지만 미래형 투자로서는 높게 평가된다고 말한다.
-
싱가포르 선박제조업체 발리안즈(Vallianz)에 따르면 2016년 2분기 순이익은 S$ 485만달러로 지난해 동기에 비해 5.4% 소폭 감소했다. 동기간 매출액도 8554만달러로 2.1% 축소됐다.지난 1분기에도 순이익은 1.6% 소폭 줄었음에도 중동지역 해양지원선박 용선계약을 체결하면서 미래형 성장가치를 보유하고 있었다.하지만 해당기업 지분의 25%를 소유한 해양유전서비스업체 스위버(Swiber)의 부채확대로 실적에 악영향이 미친 것이다.참고로 발리안즈는 지난 5월 중동국가로부터 2.88억달러 상당의 해양지원선박 13척에 대한 용선계약을 체결했다. 라틴아메리카에서의 프로젝트가 종료된 이후 목표시장을 중동으로 이전 중이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