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석가장"으로 검색하여,
4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北京市海淀中村南大街12챠이디엔숑(蔡典雄) 박사Tel: +86 (0)10 8210 9742Mob: +86 (0)135 1103 7738dxcai@caas.ac.cn브리핑 ④중국 베이징□ 브리핑 : 챠이디엔숑 박사◇ 중국 유기질 비료 시장 현황○ 중국은 큰 면적과 많은 인구를 보유한 국가답게 유기질 비료 분야에 대한 연구, 생산 종사자도 많다. 연구기관으로는 국가차원 기관이 5~6개, 성 및 시에도 연구기관이 존재한다. 생산업체도 많다.특히 유기질 비료 업체의 성장속도는 매우 빠르다. 중·대형 업체만 2015년도에 1,580여개가 있었는데 현재는 2,000여개로 추정되고 있다.○ 중국에서 친환경 분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에 화학 비료 사용을 지양하고 유기질 비료 및 생물 유기질 비료 활용이 장려되고 있다.○ 많은 업체에서 생산을 하고 있으나 아직 수요와 공급 사이에서 균형이 안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유기질 비료 공장의 비율은 화학 비료 공장의 10% 정도 밖에 안 된다. 국제사회의 평균에 미치기에는 최소 40%정도 모자란다.○ 전체 비료 생산 시장이 9,000억 위엔 규모이고 그 중 유기질 비료 1,000억 위엔 정도이다. 화학 비료 규모가 줄고 유기질 비료 규모가 증가하는 추세를 반영하면 유기질 비료 시장의 성장 가능성은 지금보다 훨씬 크다고 할 수 있다.◇ 중국 유기질 비료 종류○ 중국에서 유기질 비료는 농업 유기 폐기물을 원료로 해서 소독, 발효 이 후 비료로 만든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 생물유기질 비료, 유기무기복합비료, 균제를 주체로 하는 바이오 비료, 아미노산 종류의 비료 등 십여 가지 종류의 유기질 비료가 존재한다.○ 정부 차원에서 바이오 유기질 비료에 관해 지원 폭이 크다.○ 중국의 유기질 비료 생산은 주로 동부 위주이고 중·서부는 적은 편이다. 그 이유는 동부 지역의 농업 생산이 선진적으로 발달해서 이다. 특히 산동, 허베이, 광동, 광소 등이 발달해 있다.○ 기업규모를 볼 경우 연간 생산량에 있어 2만 톤 이상 그 중 3~5만 톤 이상의 비중이 많다. 중형은 5~10만 톤을 지칭하고 10만 톤 이상은 대형으로 분류한다. 일반적으로 규모가 작은 2만 톤 이하의 자료는 통계는 넣지 않는다.○ 현재까지의 동향을 볼 때 생물(bio) 유기산업의 성장이 가장 빠르다. 수백 개의 업체가 성장하고 있다. 2007년도까지만 해도 바이오 유기산업의 업체는 70여개 이던 것에 비교해보면 고무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연간 생산량을 보면 그다지 높은 수치를 기록하지는 않는다.○ 생물 유기질 비료 생산의 양은 비교적 낮은 수치이다. 생물 유기질 비료는 균질인 미생물이 첨가되기에 사용 가능한 농작물이 제한적이며, 사용 범위가 한정되어 있다.생물유기질 비료에 관해 중국정부의 기준이 있다. 그 기준으로 유기 탄소 카본의 함유 이외에도 유해 균종을 제외한 미생물 첨가 비율도 보아야 한다. 활용되는 작물은 많으나 주로 경제 작물에 많이 활용되고 있다.□ 질의응답 : 참가자◇ 정책에 관하여- 유기질 비료 대정부 정책에 있어 중앙 단위의 정책이 있을 것이고 성 단위의 정책이 있을 것인데 이 들의 대표적인 정책들에 각각 소개 가능한지."과거에는 중국 내에 굶는 이를 없게 만든다는 중국정부의 최우선 정책이었다. 따라서 농산물 증산을 위해 화학 비료를 과다 사용하였으며, 토양의 질 개선 등에는 신경을 쓰지 않았다. 신경을 쓰지 않는다.환경 문제와 지속가능한 발전이 대두가 되면서 최근 5~10년 사이부터 이 문제에 주목하기 시작하였다. 이러면서 유기질 비료를 농민들에게 점차 권장하기 시작하였고, 가장 최근에 중앙에서 토십조(土十條)를 발표했다.“토십조”는 중국 정부의 농산품 품질 생산량 보존, 거주환경 안전을 목표로 한 토양 오염 방지 행동 계획이다. 토십조는 심각한 토양 오염에도 불구 오염상황에 대한 구체적인 자료가 부재하다는 인식에서 시작하였다.세부적으로 2020년까지 오염경지 안전 이용률을 90%이상, 오염 필지 안전이용률을 90%이상으로 맞추는 것이 목표이고 또 2030년까지 두 항목을 5%씩 더 끌어올리는 목표를 하고 있다.토십조는 2030년까지의 목표 달성을 위해 다음과 같은 10가지 정책을 갖고 있다. △토지오염 조사△오염 방지 법 및 시스템 완비△농업 생산 환경 안전 보장△건설용지 허가 및 환경 위험 방지△토양 보호 강화 및 오염 엄격 관리△감독관리 강화 및 예방 작업 개선△회복 작업 개시 및 토양 환경 개선△연구개발 강화 및 관련 산업 발전 추진△정부 주도 작용 및 관리 시스템 구축△목표 심사 및 책임 추궁 강화이다.중앙 정부는 10가지 항목의 달성을 위해 10억만 위안을 투입할 계획이다. 그 전에는 “토양유기질향상행동계획”을 진행했다.중앙 정부에서 이런 정책을 지방으로 하달하면 지방에서는 이 중앙정책을 기본으로 중앙정책 달성을 위한 중앙정부 재정에 지방정부에서 예산을 보태서 진행한다. 이때 지방 정부의 재정상황에 따라 달라진다.중앙의 정책이 없을 경우 지방에서 정책을 내기도 하나 대부분 중앙의 정책을 지방사정을 맞추어 개선하거나 덧붙여 진행한다."- 유기질 비료의 생산량이 수요에 비해 모자라는 상황인데 정책적으로 수입을 하면 안 되는지."현재 수입을 하고 있다. 화학비료와 유기질비료를 합한 총 비료 수입량이 약 3,000여만 톤이고 유기질 비료의 경우 화학 비료에 비해 그 수치는 낮다.중앙정부 차원에서 토지개량이 주목적이기에 질이 좋은 유기질 비료, 특히나 하이엔드(High-End) 제품들 수입을 장려하고 있다. 유럽과 미국 일본에서 주로 수입이 이루어지고 있다."- 수입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했는데 북경 농업대학에서 들었을 때는 중국의 유기질 비료에 있어 한국의 중금속 기준보다 완화가 된 상태라고 들었는데 중국의 중금속 기준에 맞는 품질이 좋은 제품 수입이 장려 된다면 중국의 제품들에 비해 특히 중금속, 구리, 아연 등이 엄격히 관리가 되는 한국의 제품 수출이 가능한지."우선 정부 원에서의 수입 장려는 제품의 질이 뛰어난 유기질 비료에 해당한다. 물론 한국의 제품과 기술이 중국에 비해 많이 발전하였고 방역이나 중금속에 대한 부분도 엄격하게 갖춘 제품일 것이라고 생각한다.중금속과 방역뿐 아니라 유해 유기질과 미생물 등에 관해서도 검토를 해야 수입이 가능하다. 현재는 유럽과 미국 그리고 일본에서 수입을 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유기질 비료 수출입 기준은 다른 품목들에 대해 중국이 갖고 있는 기준과는 다르다."- 수입 시 분말 형태의 비료도 수입되는지."고체, 액상 다 수입된다."- 언제까지 화학비료 대비 유기질 비료의 생산량을 1:1(50:50)로 맞출지에 관한 정부의 기한이 있는지."농업부에서 2014년도에 1:1 전략을 세워 2020년까지 목표를 이루자라는 계획을 세웠으나 강제성이 담기거나 반드시 이루겠다는 느낌의 정책은 아닌 것 같다."- 유럽 미국 일본에서 수입되는 유기질 비료의 주요 원료는."회사에서 말해주지 않는 경우가 많아 잘 모르겠지만, 기준치에 부합하면 되니깐 상관없을 것 같다."- 수입하는 비료가 가축분 비료라고 할 때 수입 시 방역 문제는 어떻게 해결하는지."동식물에 적용되는 것이 방역이고 비료의 경우 방역과는 관련이 없다. 비료의 경우 미생물에 해당되기에 유해 물질만 제거하면 문제가 없다."- 장기적인 중국 농업 산업의 목표가 자급자족에 관한 부분인지 농업대국으로서 수출이 목표인지."아직까지는 자급자족이 목표이다."- 한국의 친환경 작물 재배와 달리 중국에서 유기질 비료 사용을 토양오염을 위해서라고 많이 강조를 하는데 어떤 상황이기에 이런 얘기가 나오는 것인지."사실은 이야기의 강조점의 차이가 있어 그럴 뿐 모토는 똑같은 것 같다. 중국역시 안전하지 않은 작물이 재배된 것에 대해 우려하고 있고, 이 문제의 출발이 토지라고 생각하기에 건강하지 않은 토양 개선을 우선시 하는 것이다. 우리도 건강한 작물 재배가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어느 지역의 토양오염이 가장 심한지."호남성의 일부 농작물들에서 중금속 문제가 대두가 되었는데 심각했던 것은 아니다. 또 일부 중금속은 한국과 일본보다 기준이 높게 책정되어 있기에 오염이라는 기준이 더 빨리 나올 수 있다.또 토질이라고 하면 오염문제도 있지만 토지 자체가 영양분을 함유하고 있기에 이 측면에서 동북지역의 토지는 유기질 함량이 양호한 편이고 중남부와 서부는 적은 편이다."- 시골 지역에서 가축분을 농작물에 직접 뿌리는지."직접은 못 뿌리게 하는 게 원칙이다."- 카드뮴 검출은 기준이 존재하는지."토양에서 직접 검사를 한다."- 곡물에 있어서는 지원금이 있고 경제작물에 있어서는 지원금이 없거나 적다고 했는데 수입품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적용 되는지."중앙정부차원에서는 동일하게 적용이 가능하나 지방에 있어서 변형이 될 수가 있기에 확실히 말하기 힘들다."◇ 산업에 관하여- 생물유기질 비료에 있어 사용가능한 작물이 제한적이라고 했는데 어떤 것들에 제한이 되는지."미생물 종류마다 작물에 대한 영향력이 조금씩 다르다고 본다. 벼에 사용하는 비료와 다른 작물의 비료가 작물이 다르기에 다르게 사용한다."- 석가장의 비료 생산 공장에서 보았을 때 주원료는 다 똑같은데 아주 극소량의 미생물 원소에 따라 포도용, 사과용 등으로 달라진다고 하던데 그러면 이 부분이 잘 지켜지면서 생산 될 것이라고 보는지."생물 유기질 비료에는 일반용과 전문용이 있다. 일반용은 토양의 미생물 함량을 활성화 시키는 것이고 따라서 작물에 관계없이 사용 가능하다.전문용은 다른 요소들이 포함 되어 있기에 다르게 사용해야 한다. 그러나 지방에 따라 누군가는 일반용을 전문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을 것 같다."- 그러면 이 기준이 법률상으로 작물마다 다 존재하는 것인지."시험 기준과 재배 기준이 다 각기 다르다."- 미생물 균제의 경우 업체에서 연구 및 생산하기에는 어려운 부분이 있을 것인데 정부차원에서 지원을 하는지."대부분 기업들의 경우 균종 개발 및 구분이 가능하나 그러지 못한 기업들은 농업과학원에서 반드시 구매를 해야 한다. 향후 센터를 수립하고 점점 더 규제를 강화할 생각이다."- 유기질 비료 기준에 반드시 미생물이 포함되어야 하는지."생물 유기질 비료만 그렇다."- 그러면 유기질 비료에서 제일 많이 차지하고 있는 물질은."유기 카본수가 가장 중요한 지표이고 대장균 같은 유해균이 없어야 한다. 중금속 유무가 중요한 품질판단 기준이 된다."- 그럼 권장하는 미생물은."균 종류까지는 알지 못해 대답을 못하겠다."- 아까 한국의 업체들이 중국에 와서 유기질 비료 산업에 참여해도 된다고 했는데 그렇다면 가축분 비료를 만들 때 원료를 충분히 공급받을 수 있는지."유기질 비료 설립을 설립할 때 원료 수송 거리가 300~500km를 넘을 경우 경제성이 떨어진다. 그래서 농장을 운영하며 원료 수급을 해도 되고 아니면 생산 시설 주변에 위치한 여러 농장들과 협조 하여도 된다."- 중국 국내에서 축산물이 자급자족이 이루어지는가 아니면 수입이 더 많은지."최근 중국의 육류 가격은 공급 부족으로 인해 상승하고 있다."- 화학비료를 제외하고 유기질 비료 공장이 외국 자본을 통해 운영되는 경우는."많다. 한국도 있다. 산둥 지역에서 한국계 기업이 운영되고 있다. 화학 비료를 포함해서 유기질 비료도 하고 있다. 정확한 기업명은 모르겠다. 통상적으로 중한 합작이 비교적 많다. 단독으로 하게 되면 현지 사정을 잘 모르기에 합작으로 진행 된다."- 생물 유기질 비료는 여러 가지 종류별로 미생물 함유가 달라지고 등급도 나뉘는데 유기 퇴비에 있어서도 이러한 것들이 있는지."딱히 없고 퇴비를 바탕으로 미생물을 함유하면 생물 유기질 비료가 된다."- 퇴비를 기반으로 한 비료도 많이 판매되는지."많이 판매된다."- 음식물 쓰레기를 원료로 사용하는지."염분 함량과 중금속 비중이 있긴 하나 사용하기도 한다. 비료 뿐아니라 사료 등의 용도로 다양하게 사용한다."- 그렇다면 음식물 쓰레기 수거에 있어 비용을 누가 부담."지방마다 조금씩 다르다. 북경과 같은 대도시의 경우 식당도 많고 음식물 쓰레기가 많이 발생하기에 보조금을 주어서라도 수거를 진행하고 중소도시의 경우 보조금 지급은 없고 업체들이 알아서 수거를 하고 사용하게 한다. 보조금 지급시 단순히 수거 비용 뿐 아니라 음식물 쓰레기 처리 설비 등 다양한 방식으로 지원한다."- 음식물 쓰레기를 버리는 쪽에 대해서는 어떻게 되는지."식당 같은 음식물 쓰레기가 많이 발생하는 곳에서는 도시 위생비를 지불해야 한다. 수거하는 업체를 따로 불러서 지불해야한다. 아파트나 개인에게 있어서는 따로 비용이 청구되지 않는다."- 음식물 쓰레기로 퇴비를 만드는 업체가 지역적인 특성 때문에 음식물 쓰레기만을 원료로 받게 되는 경우는 어떠한지."그런 경우는 없다. 원료를 음식물 쓰레기만으로 진행해야 하는 경우는 없다."- 기본적인 유기질 비료의 사용 비율은."유기질 비료는 전체를 의미한다. 생물 유기질 비료 등은 전체에 속하는 한 종류이다. 한 번 말했든 10%정도 된다."- 그 10% 중에 아까 미량 요소를 넣기 전 기본 베이스 상태로 사용되는 비율은."대부분이 기본 베이스이다."- 퇴비사용에 있어서 농민들을 상대로 교육과 홍보는 누가 어떻게."13차 5개년사업이라고 하면 15년~20년인데 이 중 20억 위안의 예산을 들여 농민들 교육에 사용할 예정이다. 농업 기술 위주로 교육이 될 것인데 비료 사용에 관해서도 교육 할 예정이다."- 비료 생산 업체들이 비료를 생산하면 수요처는 농민들이 것인데 어떤 절차를 거쳐 농민들이 사용하게 되는지."우선 농민이라는 개념이 바뀌었다. 예전에는 농민은 각 개인을 의미하는 것이었는데 도시화가 진행되며 농촌의 인구가 줄게 되었다. 이제 농사를 지을 때 개인이 아닌 집단적으로 농사를 짓게 되면서 농민은 집단을 의미하게 되었다. 즉 농민이라는 집단과 거래를 통해 사용하게 된다."- 그 부분을 석가장에 있는 기업에서 들었을 때에는 집단들이 주문을 할 때 입찰을 하는 기관들이 있다고 했는데 맞는지."지방에서 농민집단이 비료를 구매 할 때 자체적으로 지역 근처에 위치한 비료 생산업체 들에 관해 농민집단과 정부가 점수를 매긴다. 즉 일정한 평가를 하고 그 결과를 활용해서 기업가 제품을 선정, 구매한다."- 농가집단이 비료를 주문할 때 주문량을 결정할 때 주문한 양 만큼 다 받을 수 있는지."구매량에 관해 제한은 없다."- 구매시 보조금은."보조하는 방식은 여러 가지가 있다. 금액 지원도 있고 비료 살포시 필요한 기계나 장비 구매를 지원하기도 한다. 또 어느 지방에서는 토지 면적 대비로 지원을 해준다."- 농가들에게 비료가 배송이 되어 사용이 될 때 물건이 실제로 농민들에게 갔는지 확인을 해주는 주체는."구매하고 판매하는 측에서 확인을 한다."- 한국에서는 구매 중간에 농협을 통해 정부 보조금이 집행되는데 중국에서는 어떠한지."정부에서 직접 기업에 돈을 준다."- 정부차원에서 화학 비료 사용을 지양하고 정책 자원에서도 지원을 없애고 있는데 업체들의 반발은."불만이 있어도 기업차원에서는 국가의 정책을 따를 수밖에 없다."
-
2024-05-18기관명: 하북성 농업청발표자명: Yuan Guangzhen 하북성 대외경제기술협력부장河北省石家庄市裕华东路88号하북성 석가장시 유화동로 88호No.88 Yuhua East-road, Shijiazhuang, Hebei, P.R.China 브리핑 ③중국 하북성□ 브리핑 : 유안 궝줸◇ 하북성 농업청의 업무 진행 내용○ 현재 하북성은 중앙 정부와 지방 정부의 지원을 통해 농민들이 유기질 비료를 사용하게 독려하고 있다. 정부에서도 많은 지침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농민들에게 유기질 비료 사용에 관해 홍보하는 역할과 유기질 비료 제품에 대한 품질 감독이다. 실효 검사 등을 진행하고 이를 통해 농민들이 질 좋은 제품을 사용하게 한다.○ 농민들에게 홍보를 할 때 현장으로 나가서 직접 모아서 하거나 농업청으로 불러서 진행하기도 한다. 유기질 비료에 관해서만 하는 것이 아니라 영농에 관한 교육을 진행한다.◇ 중국의 대표적 농업지역, 하북성○ 하북성은 북경직할시와 천진직할시를 둘러싸고 있으며 보아이만과도 인접해 있다. 하북은 황하 강의 북쪽을 뜻한다.북경과 천진을 둘러싸고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경기도와 같은 수도권을 형성하고 있어 지리적 이점을 고려할 때 잠재력이 큰 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성도는 석가장(스자좡)이다. 면적은 약 19만 ㎢이며 인구는 6,800만명, 11개 대도시와 22개 시, 108개 현, 6개 자치현으로 이루어져 있다. 보하이 연해지역을 포함한 100여개 시와 현을 개방하여 120여개 국가와 무역을 교류하고 있다.○ 중국의 대표적 농업 지역으로 2000년 농업 생산량이 전체의 6.1%를 차지한다. 성 전체 면적의 34%가 농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개간 지수도 전국 평균치를 웃돈다.농지 중 밭 면적이 98%를 차지한다. 대규모 수리공사를 통하여 스진(石津)과 장푸(漳滏) 2개 지역의 관개 면적이 2000만㏊가 넘으며, 농업 기계화율도 전국에서 상위에 속한다.○ 생산량의 비중은 농업이 65.6%로 가장 많고, 나머지는 임업 2.1%, 목축업 30.0%, 어업 2.3%이다. 총 생산량은 산둥(山东)과 허난(河南), 장쑤(江苏), 광둥(广东)에 이어 5번째이다.밀·콩·땅콩 생산량이 전국 3위이고 옥수수는 4위, 깨는 5위이다. 중남부 지역은 솜 생산지로 유명하다. 장베이(张北) 일대는 주요 목장 지역으로 쇠고기와 양고기 생산량이 전국 상위에 속한다. 배, 포도, 사과 생산량은 각각 1, 2, 5위이다.◇ 국가농업첨단과학기술산업 시범지역으로 선정된 하북성○ 하북성도 중국 중앙정부와 발맞춰 3농 문제의 해결에 중점을 두고 현대농업을 발전시키겠다는 내용을 보고한 바 있고 농업의 규모화와 표준과, 청정 생산을 추진하고 50개 분유용 젖고 목장, 비육소 양식장 건설목표를 내세웠다.○ 현대농업화의 일환으로 2015년 9월 ‘중국 농업 실리콘밸리’를 모토로 하북성정부, 중국농업대학, 하북성 발전개혁위원회, 농업청, 과학기술청, 농업선도기업들이 모여 하북성의 저저우시(涿州市)을 ‘국가 농업첨단과학기술산업 시범구’로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앞으로 저저우시는 도농복합발전의 시범지로의 입지를 강화하겠다는 입장이다.○ 실제 중국농업과학기술원, 농업부 연구기관, 중국농업대학, 북경대학 농학원 등이 하북성 저저우로 이전하고 ‘헤요우싼싱(惠友三兴)’, ‘루위엔농업(绿原农业)’, ‘바이롱그룹(百荣集团)’등 18개의 농업 관련 기업들의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다.중국농업대학 저저우 과학기술원의 경우 2만1,600무(亩)의 면적을 차지한 중국에서 가장 큰 실험실습기지이기도 하다.◇ 건강한 사육방식 모델을 위한 가축 표준화 사육 프로젝트○ 하북성 농업청과 하북성 재정청은 2015년 가축표준화사육 프로젝트 실시지도의견을 발행 배포하고, 하북성 가축표준화사육 추진에 들어갔다.프로젝트가 건강한 사육방식을 채용한 사육장에 치중하여 생태사육과 표준화 건강사육 등 사육모델에 대해 중점 지원키로 하였다.○ 조건에 부합하는 보조대상은 돼지 연간 출하 5천~9천999두 규모농장에는 매 농장 보조자금 50만 위안, 연간 출하 1만~5만두 규모농장에는 매 농장 보조자금 100만 위안이다.산란계 사육 1만~4만9천수 규모농장은 매 농장 보조자금 25만 위안, 사육 5만~10만수 규모농장은 매 농장 보조자금 50만 위안이다.또한 육계 연간 출하 5만~9만9천999수 규모농장은 매 농장 보조자금 25만 위안, 연간출하 10만~100만수 규모농장은 매 농장 보조자금 50만원이 지원된다.◇ 화학비료 사용량 제로성장 캠페인○ 중앙 정부의 정책과 맞물려 하북성에서도 화학비료 사용량 제로성장 캠페인을 운영하고 있다. 이는 농업의 방식을 전화하고 구조를 조정하기 위한 필요에 근거하여 추진된 내용이다.○ 2018년까지 우선적으로 화학비료 사용량 제로성장 실현을 제시하고 조직적 지도를 강화해 책임자들을 통하여 조치들이 행해질 수 있게 한다. 정책적 지원을 확실히 하고 과학 기술과 같은 지원 역량을 확대한다.무엇보다 생산 주체로서 농민들이 주요하기에 홍보 및 교육을 강화하여 농민들 스스로가 캠페인에 동참하고 과학적 시비를 하고자 하는 분위기를 만들고 농민과 기업의 협력을 강화한다.□ 질의응답- 정부에서 유기질비료 지원을 한다고 했는데 지원은 세부적으로 구입을 할 때, 생산 회사 지원, 유통의 지원, 기술에 있어 지원 등으로 나뉠 수 있을 것 같은데 하북성 차원에서는 어떤 부분에서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는지."농민들이 구입 할 때 정부차원의 지원 이루어진다. 부숙재 구입에 있어 지원을 해준다. 2015년에 유기비료 쓰는 농민들에 있어 중앙정부차원에서 총 2천 6백만 위안을 지원 해 주었다."- 한국에서는 유기질 비료 회사에 정부에서 시설에 관해 지원을 해준다. 중국은."자금에 대한 지원이 아니라 부가세 등의 세금 면제이다."- 하북성 자체에서 기술 개발 등에 관한 지원을 하는지."우리 기관에서는 농민들에게 홍보를 주로 하는 일을 해서 기술 개발에 관한 지원은 잘 알지 못한다."
-
기관명: 하북성생물과학기술유한회사(河北懂灵生物科技有限公司)발표자명: 왕 경리(王经理)河北省石家庄市正定县有机肥料工业园区하북성 정딩현 서가 유기비료 공업단지www.donglingshengwu.com견학 ②중국 석가장□ 브리핑◇ 유기질비료 산업단지에 위치한 생산기업 공장○ 하북동령생물과학기술유한회사는 2014년에 설립하였다. 본사는 하북성 석가장시 장안구 동해국제(长安区东海国际)에 위치한다.공장은 하북성 석가장시 정정(正定) 유기질 비료 산업단지와 고성유기산업구(藁城有机工业区)에서 자리를 잡고 있다. 산시시안(陕西西安)과 해남(海南)에도 지사를 운영하고 있다.○ 동령생물(懂灵生物)회사는 교통에 편리한 위치를 기반삼아 매우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현재 총 면적은 600묘(1묘=약 666㎡) 갖추고 있다.20명의 판매사원과 30명의 공장 직원이 작업하고 있는 현대화된 유기농업 산업회사이다. 자본금은 800만원(1CNY=약175 KRW)을 소유한다.▲ (좌)비료 제작시 첨가되는 미량원소 종류 (우)각 작물마다 다른 포장지[출처=브레인파크]○ 회사는 과학연구, 생산, 농화(农化), 판매 등을 하나로 된 현대화, 고품질 기술 개발기업이다. 주로 복합 미생물균 비료, 생물유기질 비료, 발효 닭 분뇨, 마른 닭 분뇨, 닭 분뇨 유기질 비료(토양 개선형, 토양 비옥도 강화형), 아버멕틴(Avermectin) 유기질 비료, 야채, 과일(포도, 키위 등), 과일나무, 찻잎, 녹화(綠化)전용 비료와 신형특수생물비료를 생산·판매하고 있다.◇ 온실 야채 전용 비료는 농업부 추천제품에 꼽히기도○ 회사는 하북성 유기질 비료 협회 등록기업이다. 본 회사가 생산하는 온실 야채 전용 비료는 농업부 “십일오(十一五)”에서 추천한 중요 비료 종류 중 하나이다.현재 상품은 북경, 천진, 하남, 산서, 산동, 흑룡강, 사천, 광동, 해남 등 지역으로 판매하고 있고, 31.1%의 정제(精制)유기질 비료는 유럽, 아프리카, 아시아 등 국제시장으로 수출하고 있다.○회사 창립한지 2년간, 2014년 신형 유기균 비료 과학연구단위로 선정되었고, 전국 60개 “업계 내 가장 높은 성장력을 가지고 있는 자주(自主)브랜드”중의 하나라고 한다. 현재 회사는 품질 높은 상품과 친절한 서비스, 태도로 국내와 국제 시장으로 잘 나가고 있다.□ 질의응답- N, P, K가 8%이상이라고 적혀있는데 순수하게 가축분 만을 가지고 수치가 저렇게 나오는 것인가? 아니면 다른 것들을 첨부하는지."가축분만 가지고는 8%에 도달 할 수 없기에 첨가를 한다."- 포장지에 ‘유기농 비료(organic fertilizer)’라고 적혀있는데 가축분 이외의 다른 성분이 들어가도 유기농이라는 용어를 사용할 수 있는가? 한국에서는 일정 수치가 넘으면 유기농 이라는 용어를 쓸 수 없다"사용하는데 있어 한국과 같은 제한이 없다."- 여기 비료 포장지를 보니 사과 그림이 있는 것으로 보아 사과 재배에 적합하다는 비료를 뜻하는 것 같은데 적합하게 하는 요소는."사과그림이 있는 비료는 사과 재배에 밖에 사용을 못한다. 미량 원소의 차이를 통해 사과 재배에만 가능하게 한다. 첨가제에 따라 재배 가능 작물이 달라진다. 비료를 만들 때 미량 원소를 첨가한다."- 비료는 분말인가 고형인지."과립형태이다."- 만든 이 비료는 퇴비인가 아니면 복합 유기 비료인지."복합 미생물 비료이다."- 비료를 만들 때 가축분은 어느 정도 들어가는지."우리 회사에서는 계분을 많이 사용하고 60% 정도이다. 나머지는 대두박이나 기타 물질들이다."- 미량 원소는 어느 정도 들어가는지."극히 일부분만 들어간다."- 그렇다면 나머지 기본 베이스는 같은 것인지."그렇다 기본 베이스는 같고 미량원소의 차이가 있다."- 미량원소를 첨가하지 않고 기본 베이스로만 판매되는 제품이 있는지."있다."- 미량원소 첨가 제품과 첨가하지 않은 제품은 가격차이는."한 10위엔(180원) 정도 차이가 난다."- 미량원소를 첨가한 제품과 첨가하지 않은 제품은 가격차이가 나는지."한 10위엔(180원) 정도 미량원소를 첨가한 제품이 비싸다."
-
○ 기관명: 희성비업과학기술유한회사(希星肥業科技有限公司)○ 안내: 吴经理 河北省石家庄市正定县空港新区Tel: +86 (0)311 8517 1910 견학 ①중국 석가장□ 브리핑◇ 유기질비료 산업을 이끄는 유기질비료 대기업○ 희성비업(希星肥業)은 중국 화북(華北)지역에 유기질비료기업이다. 하북성 석가장시 천년고성(千年古城) 정정(正定)현에 위치한다. 석가장 국제공항과 가깝고 유기질 비료, 생물균(生物菌)비료, 닭 분뇨 연구과 생산 등을 하는 전문회사이다.○ 회사 면적은 176묘(1묘=약 666㎡)이고 표준화 생산 작업장 8,200㎡, 사무실과 시험실 1,700㎡, 현재 직원은 총 156명이 있다. 매년 유기질 비료 50만 톤을 생산하고 연간 생산액은 3.65억 위안이다.○ 회사는 1996년에 창건하였고 중국농업과학원, 중국토양비료연구소, 하부농업대학 등 대학교 및 과학연구기구와 합작하고 있다. 적극적으로 과학연구원, 대학교의 연구와 기술을 교류하면서 유기질비료 과학기술 산업의 발전을 이끌고 있다.◇ 완전 천연 가축과 가금 분뇨로 유기질 비료 생산○ 이 회사에서 생산하는 비료가 주로 유기질 비료, 생물유기균 비료, 과일나무 전용유기질 비료, 수산전용비료, 닭 분뇨, 발효 닭 분뇨 등이 있다. 회사 생산하는 유기질 비료는 완전 천연 가축과 가금 분뇨를 이용하여 만드는 것이다.○ 따라서 유기질 비료를 생산하는 동시에 농업생태보호도 할 수 있다. 회사가 생산하는 유기질 비료는 중국 각 지역으로 판매하고 있고 야채, 과일나무, 녹화(綠化), 수산(水産) 등이 영역에서 광범하게 사용된다.감자, 사과, 귤 등 시험기지도 가지고 있다. 회사가 생산하는 유기질 비료를 농작물에게 시비(施肥)여부에 따라 농작물의 특징 비교를 통하여 품질 더 좋은 유기질 비료를 생산하고 있다.▲ 완성된 제품들은 인력과 장비를 통해 운송 차량으로 이동[출처=브레인파크]◇ 희성 기업 제품의 특징○ 희성비업은 3대 특색 서비스를 하고 있다. 하나는 토양의 특징에 따라 비료를 주는 것이다. 기술자들은 생산기지의 토양을 샘플로 추출하여 분석한다. 토양 성분을 맞추고 비료를 생산한다.둘째, 고객의 수요에 따라 생산하고 판매한다. 셋째, 친절한 품질보장 서비스를 제공한다. 희성비업 상품은 품질 보장 기한이 2년이고 고객에게 전문 기술 지도도 해 준다.○ 현재 희성비업은 우월한 생산 환경, 선진 과학 기술과 장비를 갖추고 있고 세계적인 교류와 합작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어 발전가능성이 큰 기업이다.○ 좋은 비료는 원료를 통해 만들어 지는 만큼 희성 비업은 질 좋은 우분, 계분, 양분을 확보하고 대두박 등을 첨가하여 퇴비를 생산한다.□ 질의응답 : 참가자- 희성 기업은 국가 차원에서 시작한 기업인가 아니면 민영으로 시작했는지."시작부터 민영 기업이었다."- 비료의 원료인 계분을 가져올 때 돈을 지급하는지."돈 주고 계분을 산다. 참고로 계분이 제일 비싸다. 이 때 젖은 똥과 마른 똥의 가격은 다르다. 정부에서 보조금을 지원 받는데 다 받는 것이 아니라 지정해 준 지역에서 가축분을 가져올 때 지원 받는다."- 한국에서는 지역에 따라 가축분이 많이 있는 곳에서는 퇴비 업체가 돈을 주지 않고 가져오는데 중국도 그러한지."석가장 주변에서는 가축분을 많이 구할 수 없어 돈을 지급하나 북방으로 갈수록 공짜로 가축분을 가져오는 것으로 알고 있다."- 가축분을 가져올 때 가축을 키우는 농가에서 조류 독감 같은 질병이 발생한다면 어떻게 대처하는가? 한국에서는 국가 차원에서 다른 곳으로 반출이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가축들의 질병은 희성기업과는 크게 상관이 없다고 본다. 부숙 과정에서 관련 질병을 다 제거할 수 있다."- 가축분에 들어가는 톱밥이나 쌀겨와 같은 부자재를 사용하는지."희성기업은 톱밥을 사용하지 않는다. 부자재의 경우 생산시설 근처에서 재배되는 농산물의 폐기물을 사용해야 하는데, 석가장에서는 쌀겨를 구할 수 없다. 따라서 가장 많은 대두박을 15-20%사용한다."- 대두박을 사용하는 이유는."단가가 비싸서 석가장에 위치한 다른 공장에서는 잘 쓰려고 하지 않는다. 그러나 희성에서는 대두박이 함유하고 있는 영양분이 좋아서 사용한다."- 대두박은 국내산인지."100% 국내산 대두박이다."- 비료를 만드는 데 있어 원료별 비율은."가축분의 질에 따라 5%정도 씩 편차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가축분 70%, 대두박 20%, 미량원소 10%정도로 만들어진다."- 가축분이 아닌 다른 원료로 퇴비를 만들 수도 있는지."가축분의 질에 따라 5%정도 씩 편차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가축분 70%, 대두박 20%, 미량원소 10%정도로 만들어진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