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Argos"으로 검색하여,
6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1-06-09지난 4월 29일부터 5월 1일까지 부산 벡스코에서는 '드론쇼 코리아((Drone Show Korea 2021)' 전시회가 개최됐다. 옥스드론은 전시회 현장에 기자들을 파견해 참여한 기업들을 취재했다. 국내 드론 산업의 발전과 기술력을 소개하는 것이 글로벌 드론 종합지를 지향하는 목표와 부합하기 때문이다. (주)넥스앤텍, (주)ASOA, 순돌이드론, 성우엔지니어링, (주)만물공작소, 디브레인, (주)씨너렉스, (주)시스테크, (주)코코드론, (주)스카이뷰 등 10개 업체를 소개했다. 다음으로 UMAC Air, (주)무지개연구소, 지오소나(주), 두산모빌리티이노베이션, 이노뎁(주), 유콘시스템(주), (주)이스턴스카이, (주)드론월드, BSTARCOM, (주)올포랜드, 해양드론기술, (주)케이씨에스, (주)엠지아이티, (주)유시스, 엔젤스윙, (주)케이프로시스템, (주)공간정보, (주)헬셀, (주)하이텍알씨디코리아, (주)다온아이앤씨에 이어 소개하려는 기업은 (주)아르고스다인(이하, 아르고스다인)이다. 아르고스다인은 지난 2018년 창업한 무인이동체 모빌리티 플랫폼 전문 기업이다. 드론용 자동충전 스테이션 기반의 드론 자동 운영 시스템을 개발 및 서비스하고 있다.주요 제품에는 이동형 드론용 자동충전 스테이션, 고정형 드론용 자동충전 스테이션, 드론용 GCS(Ground Control System), 드론용 Companion Board(FC, Flight Controler), 관제 임무용 드론, 장기 임무 수행용 드론 등이 있다.이동형 드론용 자동충전 스테이션은 트럭 등 차량 적재 상태에서 운용이 가능하다. 자동 충전, 정밀 착륙, GCS를 통한 원격 제어 및 상태 정보도 확인할 수 있다.♦ 드론 스테이션(출처 : 홈페이지)고정형의 경우 드론 격납식 돔(Dome) 구조의 상부 개폐식으로 외부 환경에 배치 가능한 방수방진 등급으로 자동 충전 및 정밀 착륙할 수 있다.드론 촬영 영상 실시간 모니터링인 GCS는 다수의 드론 및 스테이션 원격 제어 및 관제를 할 수 있다. 주야간 보안 감시가 가능한 관제 임무용 드론 Ghost는 반복적 순찰 임무에 최적화 되어 있으며 자동충전 스테이션과 연동된다.장기 임무 수행용 드론 Trooper는 최대 약 60분의 호버링(Hovering)이 가능해 장시간 순찰 임무에 최적화된 관제용 드론이다.♦ 장기 임무 수행용 드론 Trooper(출처 : 홈페이지)드론 자동운영 플랫폼 Rondo Mobility System은 자동 충전 스테이션 기반 드론 자동운영 및 관제 서비스로 정기 순찰, 무인자동충전, 정밀 자동착륙 등이 특징이다.♦ Rondo 운영 프로세스(출처 : 홈페이지)아르고스다인은 10년 이상의 IT 경력 개발자, 드론 전문가들이 합심해 모빌리티 플랫폼을 드론 및 무인이동체 산업 전 분야로 확대해 나가는 것을 목표로 정했다.
-
2021-05-18지난 4월 29일부터 5월 1일까지 부산 벡스코에서는 '드론쇼 코리아((Drone Show Korea 2021)' 전시회가 개최됐다. 옥스드론은 전시회 현장에 기자들을 파견해 참여한 기업들을 취재했다. 국내 드론 산업의 발전과 기술력을 소개하는 것이 글로벌 드론 종합지를 지향하는 목표와 부합하기 때문이다. (주)넥스앤텍, (주)ASOA, 순돌이드론, 성우엔지니어링, (주)만물공작소에 이어 여섯번째로 소개하려는 기업은 디브레인이다.디브레인은 지난 2013년 4월 설립해 무인기 체계의 다목적 운용을 목표로 최신 자동비행 및 지상통제시스템을 연구 및 개발해 기체 설계와 제작에 적용하려고 노력하고 있다.사업 분야는 항공전자, 지상통제, 비행제어, 비행시험 등이다. 비행체 설계, 항전시스템, 탑재 시스템, 임무통제 시스템의 원천기술과 요소기술, 응용기술을 보유하고 있다.주요 제품에는 항전시스템, 지상통제시스템, 회전익형 무인항공기, 고정익형 무인항공기, 복합형 무인항공기 등으로 망라돼 있다.♦ 무인헬기 SDM-110(출처 : 팜플렛)우선 항전시스템은 회전익항공기에 주로 사용되는 중형항전시스템, 고정익, 회전익, 복합형 항공기에 사용되는 소형항전시스템이 있다. 최적화된 고성능 비행제어시스템을 구현한다.회전익형 무인항공기에는 무인헬기 SDM-110, 무인헬기 스완, 무인헬기 REMO-H 등이 있다. 무인헬기 SDM-110은 민군협력기술개발사업으로 성우엔지니어링과 공동으로 개발하고 있다.♦ 수직이착륙 무인기 ARGOS(출처 : 팜플렛)재해지역 긴급 구호품 및 보급품 수송, 산불 감시 및 진화, 해안지역 재난 감시 및 관측 활동, 실시간 영상 정보 지원 등의 임무를 수행한다.무인헬기 스완 역시 성우엔지니어링과 공동으로 개발하고 있으며 오염방재, 물자수송, 환경감시, 산림감시, 정찰 및 감시, 탑재비행시험(CFT), 재난감시 및 모니터링, 해안선/후방 정찰감시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한다.무인헬기 REMO-H는 농업용 무인방제 헬기로 1일 30ha를 파종할 수 있다. 노동력 및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으며 성우엔지니어링과 공동으로 개발했다.♦ 무인헬기 MPUH(출처 : 팜플렛)복합형 무인항공기인 하이브리드형 무인항공기는 정찰 및 감시, 지도제작, 산불 감시, 환경 감시, 연안 경비, 지진 감시, 교통량 파악 등의 목적으로 성우엔지니어링과 협업했다.디브레인은 무인항공기 시스템의 연구 개발을 통해 고객의 다양한 요구에 대해 신속·정확하게 대응하고 최상의 품질을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참고로 디브레인의 파트너사는 성우엔지니어링, 한화, LIG넥스원, 풍산, KAI, ADD, 민군협력진흥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KIOST, 국립수산과학원, 대전테크노파크 등이다.
-
2021-05-14지난 4월 29일부터 5월 1일까지 부산 벡스코에서는 '드론쇼 코리아((Drone Show Korea 2021)' 전시회가 개최됐다. 옥스드론은 전시회 현장에 기자들을 파견해 참여한 기업들을 취재했다. 국내 드론 산업의 발전과 기술력을 소개하는 것이 글로벌 드론 종합지를 지향하는 목표와 부합하기 때문이다. 첫 번째 (주)넥스앤텍, 두번째 (주)ASOA, 세번째 순돌이드론에 이어 네번째로 소개하려는 기업은 성우엔지니어링이다.성우엔지니어링은 우리나라의 항공산업 발전에 기여하기 위한 목적으로 1993년 5월 설립된 연구개발, 생산 전문 기업이다. 항공기 및 무인항공기 개발의 선행연구에 해당하는 축소시제 항공기(Proto Type, Iron Bird)의 제작 및 시험비행, 정비 및 운용지원용역, 군사용·산업용 무인항공기 연구개발 및 제작이 전문이다.또한 농업용 무인방제 헬리콥터, 무인회적익 로터블레이드 제품 생산, 복합소재 활용 풍력블레이드 등을 개발하고 있다.♦ 무인헬리콥터 MPUH(출처 : 홈페이지)성우엔지니어링이 보유한 기술은 무인항공기 연구개발, 제작, 운용 분야에서 무인항공기 개념 및 상세 설계 기술, 시제 및 무인항공기 치공구 설계 기술, 무인항공기 비행시험·운용기술, 풍동모델 설계 기술 등이다.복합소재 무인항공기 기체 및 부분품 분야는 복합소재 풍동모델 제작기술, 복합소재 무인항공기 관련 기술, 수직이착륙드론(VTOL)의 로터시스템 및 로터블레이드 제작 기술 등 다양한 기술들을 보유하고 있다.주요 제품은 무인헬리콥터 MPUH, SDM-110, 리모에이치(REMO-H), 스완(SWAN)을 비롯해 무인항공기 ARGOS, EAV-2H 전기 동력 무인기 및 전기 추진 무인기, WBS 과제용 비행체 등 다양한 모델을 보유하고 있다.♦ 무인항공기 아르고스(ARGOS)(출처 : 홈페이지)아르고스(ARGOS)는 적조 및 해양 오염 감시, 정찰, 농산물 및 해산물 작황관리에 활용되고 있다. 신개념 하이브리드 무인기로 멀티콥터와 고정익 무인기의 장점을 갖추고 있다.다목적 무인 헬리콥터 MPUH는 감시, 정찰, 화물 수송을 목적으로 탑재 중량은 최대 60kg으로 다양한 임무장비를 탑재할 수 있다. 최대 이륙중량 200kg으로 완전 자율 비행, 이중화 FLCC, 데이터 링크, 자동 복귀 기능이 탑재돼 있다.다목적 소형 무인헬리콥터 스완(SWAN)은 농업용 항공방제, 감시 및 정찰 체계, 다목적 CFT(탑재 비행시험)을 목적으로 개발됐다. 최대 이륙중량은 40kg, 최대 비행시간 40분으로 탑재중량은 약재탑재중량 12리터, 살포장치 4kg 등 총 16kg이다.♦ 무인헬리콥터 스와(SWAN)(출처 : 홈페이지)성우엔지니어링은 무인항공기 연구개발, 제작, 생산, 유지보수, 정비, 운영 및 교육훈련, 비행시험 전문 기업으로 국내뿐만 아니라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는 것을 목표로 기술 경쟁력 확보, 집중 기술 육성 등 연구개발에 매진하고 있다.
-
2020-04-13중국 블록체인 기반 물류업체인 카고스마트(CargoSmart)에 따르면 화물 배송시간을 단축하고 손쉽게 하는 블록체인 앱을 테스트했다.이 테스트에는 상하이 국제 항만 그룹(SIPG), 테슬라(Tesla) 및 중국 화물선 운영자인코스코(COSCO)가 참여했다. 블록체인을 사용해 테슬라를 포함한 당사자 간에 배송 데이터 및 문서를 공유했다.공유 데이터 소스에 대한 액세스는 전체 프로세스를 간소화하고 안전한 플랫폼에서 화물 수거 절차를 가속화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화물운송 프로세스뿐만 아니라 당사자에게 문서화를 위한 단일 소스를 제시했다.이를 통해 다운 스트림 공급망 계획에서도 상당한 효율성 향상을 달성했다. 카고스마트는 다른 아시아 항구에서 블록체인 앱을 시험할 계획이다.또한 분산원장시스템을 운영하고 관리할 운송업체 소유의 컨소시엄을 만들 방침이다. 이와 같이 블록체인 기술이 더욱 더 많은 나라에서 활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China-SmartCargo-Blockchain▲ 카고스마트(CargoSmart)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2018-10-02영국 시장경쟁감시기구인 경쟁시장청(CMA)에 따르면 세인베리(Sainsbury's)와 아스다(Asda)의 점포가 463개 지역에서 중첩된 것으로 드러났다.영업지역이 중첩된 지역의 점포를 효율성 차원에서 줄일 경우에 가격이 올라가거나 서비스의 품질이 떨어질 가능성이 높다. 세인베리와 아스다는 올해 초 통합하기로 합의했다.이러한 우려에 대해 양사는 점포를 줄이지 않을 것이며, 개별 브랜드를 유지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통랍은 2019년 3월경에 완료될 예정이다.세인베리와 아스다는 영국 슈퍼마켓 체인점 2위와 3위를 기록하고 있는 업체이다. 양사의 통합 매출액은 £510억파운드, 점포는 2800개에 달한다. 세인베리가 2016년 인수한 아르고스(Argos) 브랜드를 포함할 경우이다.▲아르고스(Argos) 점포(출처 : 세인베리 홈페이지)
-
2018-08-23영국 유통기업 세인즈버리(Sainsbury's)에 따르면 아스다(Asda)와 합병으로 300개 점포를 폐쇄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들 지역에서 중복으로 출점하고 있기 때문이다.점포를 없애는 지역 중 절반 정도에서는 고객들이 빅 4인 테스코(Tesco), 모리슨(Morrisons) 등으로 이동할 것으로 예상된다.다른 절반의 지역에는 할인 슈퍼마켓인 알디(Aldi), 리들(Lidl) 등이 영업을 하고 있다. 이들 슈퍼마켓도 빈자리를 차지하기 위해 공격적으로 영업할 것으로 전망된다.업계 2위와 3위의 합병으로 1위 테스코(Tesco)의 지위를 넘볼 것으로 예상된다. 양사의 매출액은 £510억파운드에 달한다.세인베리(Sainsbury’s), 아스다(Asda), 해비태트(Habitat), 아르고스(Argos), 조오지스토아(George stores) 등의 브랜드를 운영하고 있다.참고로 2018년 4월 양사의 합병을 발표할 당시에 합병으로 인한 비용절감 효과는 5억파운드에 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로 인해 대부분의 생필품 가격이 평균 10% 정도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슈퍼마켓이나 할인점도 온라인 유통의 활성화로 인해 오프라인 점포의 폐쇄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정부는 업계의 M&A 열풍이 공정한 경쟁을 없애고 독과점으로 이어질 것을 우려하고 있는 중이다.▲세인즈버리(Sainsbury's) 본사(출처 : 위키미디어)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