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August"으로 검색하여,
6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4-05-02□ 꼴마르와 흑림의 그린투어리즘 체험 꼴마르/애니스트럽/흑림농가민박(Colmar/Annie Strub/Landgast㏊us Gruner Baum)현장체험프랑스, 독일꼴마르, 오베르네, 지몬스발트 ◇ 프랑스 남부 시골마을의 지역마케팅 성공사례○ 꼴마르는 프랑스 북동부 알자스 지방에 있는 인구 6만여 명의 소도시이다. 라인(Rhein) 강을 경계로 독일과 프랑스의 국경에 위치하고 있어 두 나라를 오가며 귀속된 역사를 가지고 있다.지금은 프랑스 영토이지만 1871년부터 1919년까지 38년간 그리고 2차 세계대전 중에는 독일의 영토였다. 그래서 이 지역의 주민들은 독일어와 프랑스어를 모두 구사한다.○ 꼴마르와 스트라스르를 비롯한 알자스 지방은 와인과 더불어 유명인사를 활용한 스토리텔링, 그리고 지역마케팅으로 많은 관광객을 불러 모으고 있다.이렇게 작은 시골도시가 어떻게 세계적으로 유명한 관광지로 각광받게 되었는지 비결을 알기 위해 연수단이 방문했다.◇ 지역 유명인사를 관광 마케팅으로 활용○ 꼴마르는 뉴욕의 상징인 자유의 여신상을 만든 조각가인 프레데릭 오귀스트 바르톨디(Frédéric-Auguste Bartholdi)의 고향이다.1834년 출생한 바르톨디는 회화를 전공하고 22세가 되던 해인 1855년 이집트를 방문하여 스핑크스를 보면서 대형 건축물에 크게 매료되었다. 이후 1880년 ‘벨포르의 사자’ 조각을 통해 ‘프랑스 국민작가’ 칭호를 받게 되었다.▶ 프레데릭 오귀스트 바르톨디(Frédéric-Auguste Bartholdi, 1934~1907)• 1834년 출생 회화전공• 1855년 이집트 스핑크스 여행에서 대형 건축물에 매료• 1870년 보불전쟁 참가• 1880년 ‘벨포르의 사자’ 조각. 프랑스 국민작가로 지칭됨• 1907년 사망○ 세계적인 명성을 얻은 것은 1885년 미국 독립 100주년을 맞이하여 프랑스가 선물한 ‘자유의 여신상’을 통해서이다. 이 조각상은 1875년 만들기 시작하여 1884년 완성되었고 배를 통해 1885년 미국에 이송되어 1886년 현재의 위치에 세워졌다. 이 조각상은 1984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는 명예도 거머쥐었다.○ ‘자유의 여신상’은 바르톨디의 어머니를 모델로 만든 작품이다. 어머니를 모델로 조각을 하다가 어머니가 사망하자 어머니와 닮은 여인을 모델로 구했다.작품을 마친 후 그녀와 결혼한 일화도 유명하다. 바르톨디는 자신의 어머니와 부인을 가장 크게 조각한 사람으로 남은 셈이다.○ 1907년 바르톨디 사망 후 가족들은 꼴마르에 있던 그의 생가를 시에 기증했다. 그의 생가는 박물관이 되었고 꼴마르가 유명 관광지가 되는데 기여했다.바르톨디 박물관 내에는 다양한 ‘자유의 여신상’ 습작을 비롯하여 바르톨디의 여러 작품들이 전시되어 있다. 꼴마르 시는 박물관과 함께 시내 곳곳에 그의 다양한 작품을 전시하여 관광상품화하는데 성공했다.◇ 독특한 마을 만들기로 관광객 유치○ 꼴마르에는 주변의 아기자기한 건물을 가로질러 시내를 흐르는 작은 강인 로슈강을 따라 뱃길이 있다. ‘쁘띠 베니스(Petite Venice)’라고 부르는 작은 운하인데, 매우 아름다운 경치를 가지고 있어 관광객에게 인기가 많다.○ 이 운하는 중세 시대에 와인을 운반하던 수로였는데, 지금은 관광객이 탈 수 있는 작은 보트가 다니고 있다. 운하 주변의 전통가옥들은 하나같이 창문과 테라스에 꽃으로 장식하여 아름다운 풍경을 연출한다.이 곳은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애니메이션 ‘하울의 움직이는 성’의 배경으로도 많은 관광객을 끌어 모은 바 있다.○ 예전에는 꼴마르 대성당과 바르톨디 박물관이 있는 구도심 중심으로 관광객이 집중됐는데, 주민 참여에 의한 마을 만들기를 통해 쁘디 베니스 지역까지 관광지를 확장하는데 성공했다.◇ 지역 특산물을 활용한 알자스 와인가도의 와이너리 체험○ 연수단은 알자스 와인가도(La Route des Vins)에 자리 잡은 소박한 시골 와이너리인 애니스트럽(Annie Strub)을 방문하여 와인재배 농가의 체험형 농촌관광을 경험하는 시간을 가졌다.○ 알자스 와인가도는 독일과의 국경지역인 프랑스 알자스 지방의 보쥬산맥 동쪽 경사면 170㎞ 구간을 말한다. 이 지역은 강우량이 적고 일조량이 많아 포도재배 및 와인생산에 적합하다.또한 굽이굽이 이어진 시골길이어서 계절별로 익어가는 포도가 어우러지는 와인재배지의 아름다운 풍경을 바라볼 수 있다.○ 애니스트럽이 자리 잡은 오베르네는 스트라스부르에서 뮐루즈로 내려가는 와인가도에서 처음 만나는 작은 마을이다. 이 곳의 사장님은 어머니인 ‘애니(Annie)’ 씨로부터 대를 이어받아 와이너리를 운영하고 있다.알자스 지방에는 이 곳과 같이 포도의 생산부터 와인 제조, 판매, 유통, 체험을 겸하는 농촌관광이 무척 활성화되어 있다. 연수단은 이 곳의 지하 와인저장고와 셀러를 시찰하고 오랜 시간을 거쳐 오크통에 숙성하고 있는 4가지의 와인을 체험할 수 있었다.◇ 흑림의 임업과 농촌생태관광의 공존○ 흑림(Black forest)은 독일 남서부 지역 바덴-뷔르템베르그 주에 분포되어 있는 산림지대를 말한다. 흑림은 스위스 접경 지역에서부터 독일 슈투트가르트에 이르는 총 75만㏊의 거대한 인공숲이다. 길이는 남북으로 60㎞, 동서로 20㎞ 정도된다.○ 흑림이라는 이름은 빽빽이 들어선 아름드리나무 때문에 하늘이 보이지 않는다고 해서 붙여진 것이다. 이 지역의 수종은 아름드리나무, 가문비나무, 전나무가 대부분이다. 그래서 이 나무를 이용한 뻐꾸기시계를 특산품으로 만드는데, 시계추는 가문비나무의 열매 형상을 하고 있다.○ 이 곳은 아름다운 숲을 바탕으로 농업, 입업, 목축업, 관광업 등이 복합적이면서도 유기적으로 발달해 있기 때문에 근대 임업의 메카로 꼽힌다.또한 유럽에서도 가장 좋은 휴양지로 각광받고 있으며, 여름에는 산행, 겨울에는 동계스포츠를 즐기는 사람들로 성시를 이룬다.○ 흑림 내에는 농가를 활용한 민박이 활성화되어 있어, 산림휴양을 원하는 사람들에게 일 년 내내 인기가 있다. 방학이나 크리스마스 등 연휴가 있는 시기에는 1년 전부터 예약을 해야 할 정도이다. 보통은 일주일에서 한 달 이상 장기체류를 한다. 일주일 미만의 이용객에게는 오히려 단기체류할증세금을 걷고 있다.○ 민박농가에서는 이용객에게 지역 대중교통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코누스 게스트 카드(KONUS Guest Card)’를 지급해준다.이 카드를 이용하면 쯔바이퇼러란트(Zweitaelerland)를 비롯한 전체 흑림의 버스와 철도, 관광시설이 모두 무료이고, 전기자전거 대여 시에는 곳곳에 있는 충전소에서 배터리를 무상 교체할 수도 있다.○ 민박농가는 주기적으로 정부의 평가를 통해 등급을 받는다. 평가기준에는 어린이 놀이시설 마련과 가족적 분위기 조성 등이 포함된다.숙박형태는 호텔형, 민박형, 펜션형 등 다양하다. 연수단은 이 세 가지 형태의 농가숙박시설에 분산하여 머물며, 서로 다른 체험을 나누는 시간을 가졌다.◇ 흑림의 농가박물관○ 흑림의 농가박물관은 오랫동안 쓰지 않고 방치된 물레방앗간을 그대로 보존하여 박물관으로 만들고, 독일의 전통적인 농가의 모습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관광상품으로 활용한 사례이다.○ 연수단은 민박에서 지급해준 코누스카드를 가지고 농가박물관에 입장할 수 있었다. 이 박물관에는 200년 전의 물레방아가 여전히 작동하고 있고, 농가의 생활도구도 그대로 보존되어 있다.특히 점심 식탁에 내 놓은 전통방식으로 만든 빵과 돼지고기, 치즈, 사과와인 등은 그 자체로도 훌륭한 문화상품이 될 정도였다.○ 이 날 연수단이 제공받은 돼지고기 요리는 ‘하몬(Jamón)’이라는 전통음식으로, 돼지 뒷다리를 소금에 절여 건조하는 방식으로 숙성시킨 햄(㏊m)의 일종이다. 박물관의 주인은 장기간 소금에 절여 건조해 만드는 특별한 음식이라며 자부심을 드러냈다.
-
2021-03-18남아프리카공화국 국영전력공사인 에스콤(Eskom)에 따르면 2021년 8월 이후부터 전력 분배 상황이 더욱 나빠질 것으로 전망된다. 2021년 연초부터 국민들은 19일 동안 전력 할당을 견뎌왔다. 에스콤은 2021년 8월부터 11월 사이에 더욱 심각한 전력 수급 제약이 발생할 것을 경고했다.에스콤은 전력망 용량의 20%를 차단할 준비를 하고 있다. 또한 긴급한 유지보수로 인한 12%의 추가 전력 절감과 시기가 맞물려 있다.에스콤의 빠듯한 예산도 전력 상황을 원활히 수습하는데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2021년 연말까지는 발전소 성능을 허용 가능한 최대 용량으로 되돌리기 위해 노력할 방침이다.▲에스콤(Eskom) 홈페이지
-
나이지리아 통계청(NBS)에 따르면 2020년 8월 물가상승률은 13.22%로 전월 12.82% 대비 0.40%포인트나 상승했다. 이로써 2020년 8월 물가상승률 13.22%는 2018년 3월 13.24% 이후인 29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8월 물가상승률 확대 요인은 항공, 병원 서비스, 보건의료 서비스, 제약 제품, 유지보수 및 개인 운송 장비에 의한 여객 운송가격의 기록적인 상승때문이다.국내에서의 코로나-19 확산을 억제하기 위해 시행되는 정책들로 인해 항공 운송, 의료 서비스 등의 상품 가격이 영향을 받았다.고정 수입의 감소, 경제 활동의 위축, 투자 수익률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이 더 많은 돈을 지출해야만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통계청(NBS) 홈페이지
-
2019-02-08오스트레일리아 광산기업인 CU-리버 마이닝(CU-River Mining)에 따르면 $A 2억5000만달러를 투자해 새로운 항구를 건설할 계획이다.새로운 항구의 위치는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SA)주 도시인 포트오거스타(Port Augusta)로 결정됐다. CU-리버마이닝의 새로운 항구 프로젝트로 50년만에 처음이다. 새로운 항구는 에너지기업인 플린더스파워(Flinders Power)로부터 인수한 예전의 발전소 부지다. 철광석, 곡물, 기타 상품들을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항구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항구 건설기간 동안 건설업에 150개 이상, 향후 항구를 운영하는 정규직 일자리 100개가 각각 창출될 것으로 전망된다.▲CU-리버마이닝(CU-River Mining) 홈페이지
-
필리핀 자동차제조업체 포드(Ford Phils)에 따르면 2017년 8월 자동차 판매량은 3166대로 전년 동월 대비 12%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레인저가 1038대 판매돼 전년 동월 대비 65% 늘어났다. 8월까지 연간 레인저 판매량은 6550대로 전년 동기 대비 24% 증가했다.중형 SUV인 에버레스트는 1027대가 판매돼 전년 동월 대비 18% 늘어났으며 연간 판매량은 7797대를 기록했다. 소형 SUV인 에코스포츠는 921대가 판매돼 8% 늘어났다.필리핀 국내 자동차 시장은 경제활성화에 따라 급성장하고 있어 글로벌 자동차제조업체들의 참여가 확대되고 있다. 일본계 자동차의 성장세가 두드러진다.▲자동차제조업체 포드(Ford Phils) 로고
-
뉴질랜드 자동차산업협회(MIA)에 따르면 2017년 8월 신차판매 등록건수는 1만363건으로 전년 동월 1만2677건 대비 3% 증가했다.상업용차량 등록건수는 18%나 증가해 4456건을 기록했다. 반면 승용차 및 SUV차량 등록건수는 3.2% 감소해 8607건으로 집계됐다.8월 국내 자동차시장점유율은 1위 도요타(Toyota) 19%, 2위 포드(Ford) 10%, 3위 홀덴(Holden) 8% 순이다. 홀덴은 미국 GM이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제조하는 자동차의 브랜드이다.2017년 국내 신차시장의 성장은 기대이상으로 판단된다. 신차가격의 치열한 경쟁, 저금리, 뉴질랜드달러($NZ)의 강세 등으로 당분간 신차판매는 늘어날 것으로 전망한다.▲자동차산업협회(MIA) 로고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