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3
" Brands"으로 검색하여,
22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4-06-15랑돈광원 & 바쿰 플라스트(Rang Dong Light Source & Vacuum Flask Jsc) 87-89 Ha Dinh Street, Nguyen Trai Ward, Thanh Xuan District, Hàng ĐàoHoàn Kiếm, Hà NộiTel : +84 4 3858 2334 기업방문베트남하노이 □ 상담기업◇ Rang Dong Light Source & Vacuum Flask Jsc○ 87-89 Ha Dinh Street, Nguyen Trai Ward, T○ hanh Xuan District, Hàng Đào□ 연수내용◇ 2015년 베트남 탑 브랜드로 선정된 기업○ 랑돈광원 & 바쿰 플라스트에서는 △시장개척단 및 대중소기업 농어업재단 구매조건부 신제품개발사업 소개 △랑돈광원 & 바쿰 플라스트 소개 △시장개척단의 기술 소개 △질의응답 △공장 및 R&D 센터 견학 순서로 진행했다.○ 베트남 국가 전략에 맞는 제품을 생산해 내고 있는 랑돈광원 & 바쿰 플라스트는 전기를 절약하고 환경친화적인 각종 전등을 생산하는 기술에 있어서 일인자이다.○ 주요 상품으로는 LED 램프, 컴팩트 형광등, 진공병, 보온병 등이며, 베트남 내수 시장뿐만 아니라, 전 세계를 대상으로 수출하고 있다. 또한, 2015년 TOP Brands로 선정된 바 있으며, 2013~2015년에 베트남 50대 상장기업에 랭크되었다.○ 50년 이상의 역사를 자랑하는 랑돈광원 & 바쿰 플라스트는 현재 조명 장비 생산 분야에 있어서 베트남에서 제일가는 기업이다.랑돈광원 & 바쿰 플라스트는 2011년부터 2020년까지 계획된 녹색 성장 프로그램을 통해 베트남 국가 전략의 큰 틀 안에서 전기 절약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과학 기술에 관한 투자 전략을 일찍부터 갖추었다.○ 이 녹색 성장 프로그램은 세계의 선진 기술을 적용하여 현대적인 생산라인 시스템을 설립하고, 유럽의 EFQM모형에 따른 시스템 기반 품질 관리 검사 규정을 이행한다. 또한, 연구개발 센터를 설립하여 과학자, 대학, 연구원들과의 협력하고 있다.◇ 기술상담 결과○ 랑돈광원 & 바쿰 플라스트 방문에서는 참가자 개별기업 소개가 이뤄졌으며 지웰코리아의 제품에 많은 관심을 보였다. 광동에서 생산하는 제품과 협업을 통해 새로운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협의했다. 다른 기업의 제품에 대해서도 추후 논의를 지속하기로 했다.□ 현장견학◇ 절전·친환경 기술 발전 앞장○ 랑돈광원 & 바쿰 플라스트는 국제 기준에 맞는 각종 절전용 전등을 생산해 왔고, 수년 동안 소비자들에게 인정을 받아 베트남의 고품질 상품으로 선정되어 왔다. 구체적인 상품으로는 LED 전등, 컴팩트(compact) 전등, T8 형광등 등이 있다.○ 원료를 최대로 절약하는 방식으로 랑돈광원 & 바쿰 플라스트는 크기는 작지만 높은 효율과 긴 수명을 자랑하는 상품들을 시장에 내놓았고, 상품 단가 또한 상당 부분 낮추었다.○ 특히, 랑돈광원 & 바쿰 플라스트의 전등에는 납, 수은 등이 사용되지 않고 있으며, 자외선은 차단하면서도 보다 효율적으로 빛을 비춰 사용자의 건강에도 좋은 환경친화적인 제품이다.○ 일반적인 600×600 18Wx3 형광등 제품과 비교해 보았을 때, 랑돈광원 & 바쿰 플라스트의 600×600 LED 패널 등은 전기를 35% 이상 절약할 수 있으며, 빛을 비추는 효율성 또한 2배 이상 높고, 수명은 3배 정도 길다.○ 또한 랑돈광원 & 바쿰 플라스트 컴팩트 전등은 상품 수명이 10,000시간으로 매우 길며, 일반적인 전등에 비해 전력을 80%까지 절약할 수 있다.랑돈광원 & 바쿰 플라스트의 계산에 따르면 지난 2010년부터 2012년까지 랑돈광원 & 바쿰 플라스트가 제조한 '베트남 품질 우수 별' 스티커가 붙여진 상품들로 인해 전국적으로 55억 kWh 이상 절약하는데 기여했다고 한다.◇ 랑돈광원 & 바쿰 플라스트의 9개 생산라인○ 랑돈광원 & 바쿰 플라스트의 제품 생산라인은 △LED 생산라인(연 8백만 pcs 생산) △CFL 생산라인(연 5천만 pcs 생산) △FL 생산라인(연 2천5백만 pcs 생산) △조명장비 생산라인(연 3백만 pcs 생산) △책상램프 생산라인(연 1백만 pcs 생산) △진공 플라스크‧유리 보충 물 생산라인(연 1,850만 pcs 생산) △LED 조립라인 △SMD 라인 △전자 생산라인(THD) 등 9개의 생산라인을 갖추고 있다.□ 제품소개◇ 납작기○ 식재료를 한 끼 분량으로 소분하여 보관할 수 있는 냉장고 정리 용기를 생산하고 있다. 기회가 된다면 관련 납품 가능 업체 소개 받고 싶다.◇ 계측기○ 수질 및 대기 오염 계측기 생산 및 연구를 하고 있다. 계측기시장은 앞으로 베트남 정부가 관심을 많이 갖게 될 환경과 연관하여 아직은 방문기업과 거리가 먼 미래이나 일찍 투자할 시 좋은 성과 기대 가능할 것으로 판단한다. 가능하다면 베트남 공산당 관계자들을 소개받고 싶다.◇ 공기청정기○ 자사 제품은 홍콩시장에서 증명되었고 공기청정기 시장의 20%를 점유하고 있다. 소형 공기청정기에 필요한 필터를 소형화시켜 개발하고 90% 이상을 수출한다.○ 필터에 정전기를 지속시키는 것이 핵심으로 전력소비와 소음이 적고 무엇보다 청정기의 핵심인 먼지 냄새 입자를 필터를 통해 잘 걸러내는 것이 특징이다. 완제품 수출을 희망한다.◇ 시트·서스펜션·댐퍼○ 건설기계, 농기계, 상용차 및 방산장비의 각종 시트 및 시트 부속인 서스펜션, 댐퍼 등을 제작하고 있다. 자동차 부품 일부를 OEM, ODM 공정 통해 생산하고 있는데, 협력 가능한 기업 및 공장을 추천해주기 바란다.
-
▲ 미국 LA통합교육구 가상아카데미(LAUSD Virtual Academy) 로고. □ 연수내용□ 방문 개요◇ 운영 총괄 책임자의 환영사와 참석자 소개○ LA통합교육구 내 미팅룸에서 진행된 가상아카데미 연수는 가상아카데미 소개, 가상아카데미에 속해있는 6가지 개별 교육프로그램의 책임자 및 관계자들의 설명과 질의응답 순으로 진행됐다.학교 운영 총괄 책임자인 마이클 로메로(Michael Romero) 박사의 환영사로 시작된 연수는 오후 1시 30분부터 시작하여 오후 3시 30분까지 진행됐다.○ 로메로 박사는 2팀이 가상아카데미를 방문했을 때도 발표를 맡았었다. 그는 “이전 한국의 다른 팀이 방문했을 때 굉장한 열의를 느꼈다. 오늘은 연수단의 질문에 더 구체적이고 정확하게 답변하기 위해 더 많은 관계자들이 참석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날 연수를 위해 참석한 분들을 소개했다. 2팀이 방문했을 때 참석한 중등교육 관리자 라타샤 벅(Latasha Buck), 아카데믹 컨설팅 담당자 헤수스 앙굴로(Jesus Angulo), 학부모교육 코치 라우라 바뉴엘로스(Laura Banuelos), 특별교육 관리자 라이언 모레즈(Ryan Morse), 행정 코디네이터 엘리바베스 케인(Elizabeth Kane), 클라우디아 라미레즈(Claudia Ramirez)를 먼저 소개했다.이어 이날 새로 연수에 참여한 아카데믹 컨설팅 담당자 헤수스 앙굴로(Jesus Angulo), 교사 평가 담당자 코니 브랜스테터(Connie Brandstetter)도 차례로 소개했다.○ 가장 먼저 로메로 박사는 가상아카데미의 비전과 미션을 소개했다. 그는 “가상아카데미는 LA통합교육구 지역에 개인화된 온라인 학습 서비스를 제공해, 수업을 받는 모든 학생이 경쟁력 있는 인재로 평가될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학교”라고 강조했다.로메로 박사의 발표내용은 2팀의 LA교육구 가상아카데미 연수내용과 거의 동일하다. 이 가상아카데미는 2개 팀이 방문 연수를 진행했다.□ 아카데미 소개◇ 전통적인 현장 수업을 탈피한 온라인 정규 교육 제공○ LA교육구 가상아카데미(LAUSD Virtual Academy, 이하 가상아카데미)는 지역사회에 개인이 독립적으로 온라인을 통해 중·고등학교 수준의 교육을 제공해 다양한 상황에 처한 사람들에게 공부할 기회를 제공하는 통합 시스템이다.가상아카데미는 COVID-19 펜데믹으로 LA교육구가 전면 원격 학습을 도입할 필요성을 느끼면서 중요성이 높아졌다.○ 가상아카데미는 모든 학생이 21세기 성공적인 학습자와 리더, 모든 산업 분야에서 글로벌로 경쟁할 수 있는 역량을 가진 준비된 인재로 성장하도록 학습자에게 개별화된 학습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주 정부의 교육재정 지원금은 교사 채용, 온라인 프로세스 제공과 유지관리, 학생을 대상으로 지급하는 컴퓨터, 태블릿 등에 사용한다.온라인 수업을 재미있고 흥미롭게 만드는 데 필요한 컴퓨터 콘텐츠 제작 기술 등에 대해 교사 연수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데 이용해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 코로나19 시기 등록생 수 300%까지 증가○ 가상아카데미는 코로나 이전에는 등록생 수가 1,600명 수준의 작은 규모였으나, 코로나 시기였던 2021년에는 1,000여 개의 학교, 1만8,000명 이상의 학생과 800여 명의 교사가 일하는 규모로 성장했다.LA통합교육구의 방침이었던 코로나 백신 접종을 거부하는 교사와 학부모, 학생들이 오프라인 학교 출석도 거부하며 온라인에서 제공하는 교육기관을 찾으며 급격히 규모가 확장된 것이다.그러다가 코로나 대유행 종식과 함께 오프라인 학교 출석률이 다시 높아지면서 현재 등록생은 6000여 명 내외로 축소됐다고 한다.○ 가상아카데미는 LA통합교육구의 커리큘럼 목표와 캘리포니아주 표준에 맞는 졸업 요건 충족을 통해 졸업 증서를 수여할 수 있는 곳이니만큼 기준이나 의무사항이 명확하다.○ 이에 대해 로메로 박사는 “교육을 제공하는 것은 학생과 교사와 학부모·보호자 간의 계약에 기반하고, 일반적인 교육과정이 아니기 때문에 가족들과 학생이 지켜야 할 의무사항에 대해 명시하고 이에 대해 동의하는 가족과 학생만 입학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교육프로그램◇ 영재교육‧고급과정‧직업기술‧영어학습 제공○ LA통합교육구 가상아카데미는 공립학교이므로 납세자의 세금인 공적 자금으로 운영되고 학생들에게 수업료를 부과하지 않기 때문에 재정적 배경에 관계 없이 다양한 학생들의 접근이 가능하다.또한 WASC의 인증 기관으로 가상아카데미에서 취득한 학점을 다른 학교로 이전할 수도 있고 모든 과정을 요건에 맞추어 수료하는 경우 공인 인증된 졸업장도 받을 수 있다.○ 가상아카데미는 영재교육(GATE), 고급과정(AP), 직업기술교육(CTE), 영어학습(EL)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 학생들에게 학업과 개인적 성장을 위한 교육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학생들은 가상아카데미에 온라인 수업과 전통적인 출석 수업을 결합해 수강할 수 있고, 각자의 상황과 필요에 따라 맞춤형으로 개별화한 교과를 선택할 수 있다.○ 이외에도 학습 과정에서 경험 많은 강사진에게 피드백과 지원을 받을 수 있으며, 추가지원이 필요하거나 학업에 뒤떨어진 학생들의 요구를 충족하기 위한 특수교육과 학점회복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다.▲ 2022-2023 LAUSD 가상아카데미 제공 교육과정.□ 6개 교과 운영○ 최근 엔데믹 이후에도 오프라인 학교로 돌아가지 않고 온라인학교에 남은 학생을 위한 교육에 초점을 맞춰 교과를 재구성했다.○ 재구성한 6개 교과는 △스팀(STEAM) △국제학과 언어(International Studies & World Languages) △예술공연(Arts & Entertainment) △스팀 리더십과 공공서비스(STEAM Leadership & Public Service) △스팀 경영과 기업가정신(STEAM Business & Entrepreneurship) △컴퓨터과학(Computer Science) 등으로 이 교육과정은 교육부로부터 인증을 받았다.○ 로메로 박사는 “이를 위해 교육의 당사자인 선생과 학생, 가족, 커뮤니티에 매년 설문을 시행하여 교육프로그램을 설계하고 매달 교육과정이 제대로 된 방향성을 가지고 진행되는지 확인하는 과정도 거친다”고 말했다. 2022년 설문 결과를 시각화한 자료 화면을 가지고 설명을 이어갔다.▲ LA통합교육구 교육프로그램 설문 조사 결과 그래픽.◇ 2주 간격으로 과제물 완수하면 출석 인정○ 가상아카데미에 등록한 학생은 실시간 영상 회의 플랫폼을 이용한 수업에 1주일에 1시간 이상 필수적으로 출석해야 한다.영상 수업은 교사와 학생의 관계뿐만 아니라 학생 간의 관계 형성에 도움이 되고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을 가능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교사와 학생 간 커뮤니케이션은 공개 채팅방이 아닌 1:1 채팅을 통해 진행하고 있다.○ 실시간 수업도 해야 하지만 온라인교육의 특성상 학생들은 정해진 콘텐츠를 자유롭게 학습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오프라인 수업과 같이 출석을 확인하지는 않는다. 2주 간격으로 주어진 과제물을 완수하면 출석으로 인정하고 있다.◇ 온라인교육 교사는 기술적 역량도 중요○ 온라인 학습의 성공은 교사의 역량에 좌우된다. 가상아카데미의 수업은 실시간 영상 회의 플랫폼을 통한 비대면 수업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전문 과목에 대한 지식이나 교수법뿐만 아니라, 효율적이며 상호작용이 가능한 흥미로운 수업이 될 수 있도록 진행하는 기술적인 역량도 매우 중요하다.○ 가상아카데미는 줌(ZOOM) 수업을 통해 선생님과 학생이 동시에 접속하여 상호작용을 하는 방식을 선호한다. 학생의 실시간 참여 촉진을 위해 참여 학생에게 포인트를 주고 학점에 도움이 되는 방법을 활용하고 있다.○ 교사는 수업 중 부여한 과제물을 통해 학생의 학업성취도를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학생에게 즉시 피드백을 주면서 수업의 목적을 성취하도록 하고 있다.▲ LA통합교육구 가상아카데미의 교사용 수업관리 화면.○ 오프라인 학교의 1일 학교 수업 시수는 6시간인데, 가상아카데미로 표준교육을 준수해야 하므로 온라인 수업은 오전 9시부터 12시까지 3시간, 그 이후는 과제물 자습시간 3시간을 통해 시수를 충족하고 있다.○ 1교시는 ‘수업 40분 후 자습 15분’으로 이루어지며 자습 시간에 학생은 선생님께 질문을 할 수 있고 전체를 대상으로 설명하거나 질문 학생과 별도의 화상회의 방을 만들어 피드백을 주기도 한다.□ 학점회복 지원◇ 학습지연 대상자와 장애인을 위한 서비스 제공○ 가상아카데미는 학생들의 동기 부여를 위해서 학습적인 지원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정서적인 필요를 파악하고 문제를 해결해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따라서 학습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생에게는 상담서비스, 사회 정서적 학습프로그램 등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여 부진 학생들이 문제를 해결하고 학습에 집중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재학생의 연령대는 4세부터 22세로 다양한데, 보통 18세 이전에 고등학교 과정이 종료되지만 학습능력 저하의 문제가 있거나 신체적 결함으로 학습 속도가 느린 경우처럼 다양한 문제로 졸업이 늦춰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학점회복 프로그램을 추진하는 것이다.○ 재학생 중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이민자가 전체의 16%, 신체적 결함을 가진 경우가 19%, 학습환경이 좋지 않은 아프리카계 미국인이 14%로 절반 정도를 차지하는데 이들을 위한 보완학습을 체계적으로 진행하고 있다고 한다.○ 학점회복 과정은 교과 과정에 뒤처져 졸업을 위한 학점 보충이 필요한 학생들에게 제공되는 프로그램으로 학생들이 개선이 필요한 특정 영역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맞춤 학습계획이다.학점회복 과정 수강생들은 일정과 학습 속도를 유연하게 조정하며 튜터링을 통해 진도와 일정에 맞춰 학습을 진행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매주 교사와 학부모, 학생이 온라인 미팅을 하고 있다.○ 장애인 학생을 위한 지원과 서비스로는 텍스트 음성 변환 소프트웨어와 스크린 리더, 언어치료 및 작업치료 서비스 등이 있다. 장애인 학생들은 보조 기술을 활용하거나 특수교육을 받은 전문가들에게 지원을 받고 있다.□ 질의응답- 기존 오프라인학교를 다니던 학생들도 동시에 가상아카데미를 활용해 중복으로 학점을 이수할 수 있는지."공립교육시스템은 하나로 관리되며, 예산 또한 하나로 묶여 있어서 다른 일반학교와 가상아카데미의 프로그램을 동시에 진행할 수는 없다.결과적으로 일반학교에 등록한 학생은 학교에 전학, 자진 퇴학 등 학적이 사라지지 않는 한 가상아카데미에는 등록할 수 없다. 반대로 가상아카데미에 등록된 학생은 일반학교에 등록할 수 없다.다만 하나 예외가 있다면 일반학교 학생 중에 AP 코스를 이수하고 있는 학생의 경우에는 학기가 종료되면 가상아카데미에 등록해 정규 교육과정을 이어서 이수할 수 있다."- 학부모들이 온라인교육에 구체적으로 어떤 방식으로 참여하고 있는지."학부모는 최초 입학을 할 때 동의한 대로 학업 중에는 학습내용을 모니터링해야 할 의무를 지고 있다. 만약 교사나 학부모, 학생 중 한쪽이라도 교육을 진행하면서 특별한 일이 있거나 의문이 들었을 때는 언제든 상담을 요청할 수 있다. 또 매주 월요일마다 부모와 교사가 학생의 상황과 성과, 태도 등을 주제로 상담을 진행하고 교육내용을 공유한다."- 학생의 수업 태도나 결과가 좋지 않을 경우는 어떻게 바로잡는지."선생님과 학부모 그리고 학생 간에 연결되어 있는 비공개 대화를 통해 상황을 전달한다. 부모가 경제적 이유로 모니터링에 완벽히 참여하지 못하는 경우 선생님들이 매주 학부모와 만나서 학생들의 상황과 배경을 공유해 원인을 찾고 다시 학습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처음에 서명한 마스터 계약에서 학부모가 가상아카데미의 학습 방식을 확실히 이해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다른 다양한 대응방식을 학부모와 함께 논의해 대처한다."
-
▲ 남아프리카공화국 소매업체인 픽앤페이(Pick n Pay) 매장 전경 [출처=홈페이지]남아프리카공화국 소매업체인 픽앤페이(Pick n Pay)에 따르면 식품 안전 문제로 땅콩버터 브랜드 3개를 전부 리콜 조치했다. 곰팡이 독균의 일종인 아플라톡신이 검출되었기 때문이다.리콜 대상인 PnP 땅콩버터 브랜드는 △No Name Smooth Peanut Butter △Eden Smooth Peanut Butter △Eden Crunch Peanut Butter 3개로 조사됐다.한편 소비재 및 제분회사인 RCL푸드(RCL Foods Ltd)에서 제조된 PnP 땅콩버터 브랜드 제품은 리콜 대상이 아니다. RCL푸드는 자사와 타이거 브랜드(Tiger Brands)의 땅콩 버터 제품 안전 테스트를 다시 진행했다.주요 규제기관인 전국소비자위원회(NCC)는 픽앤페이를 포함해 버터 제조업체인 House of Natural Butters Ltd에서 제조된 땅콩버터 제품을 리콜하라고 공지했다.리콜 브랜드 중 전국에 유통된 브랜드는 픽앤페이, 에덴 올 내추럴(Eden All Natural), Dischem’s Lifestyle 브랜드 등으로 조사됐다. 한편 Wazoogles Superfoods 브랜드는 웨스턴케이프주에서 주로 유통됐다.
-
2022-04-07남아프리카공화국 식품제조사인 타이거 브랜드(Tiger Brands)에 따르면 사모펀드인 Secha Capital와 식물성 식품제조사인 '허비보어 어스푸드(Herbivore Earthfoods)'에 공동으로 투자했다. 최근 몇 년 동안 식물성 단백질, 식물성 기반의 대체식 및 대체육 등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밀레니얼 세대 및 젊은 성인 소비자들이 식물성 기반의 식품 수요를 주도하고 있다.허비보어 어스푸드는 우유 단백질이 없는 체다 슬라이스, 완두콩 단백질 버거 패티와 같은 식물성 대체육 및 비건 제품 등을 주로 제조한다. 타이거 브랜드는 새롭게 부상하는 소비자 트렌드를 활용해 건강 및 영양을 중심으로 하는 제품, 식물성 기반의 제품 등으로 투자를 확대했다. 기존 사업 포트폴리오의 결점을 보완하기 위한 목적이다. 2023년 아프리카 대륙 식물성 단백질 시장의 연간 성장률은 6.5%로 US$ 5억6000만달러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타이거 브랜드(Tiger Brands) 홈페이지
-
2022-01-21미국 NFT 마켓플레이스 메타플렉스(Metaplex)에 따르면 자금 조달 라운드에서 $US 4600만달러를 투자받았다. 이번 투자는 Multicoin Capital과 Jump Crypto 등이 주도했다.또한 Animoca Brands, Solana Ventures, Alameda Research, 농구계의 전설 마이클 조단(Michael Jordan), Allen Iverson 등이 투자에 참여했다.투자받은 자금은 사업 운영을 확장하고 커뮤니티 제작자를 지원하는 보조금 등으로 사용될 예정이다. 메타플렉스는 사용자가 자신만의 솔라나(Solana) 기반 NFT(Non-Fungible Token) 마켓플레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메타플렉스는 2021년 6월 프로토콜 출시 이후 8만5000개 이상의 프로젝트와 570만개의 NFT를 생성했다. 분산형 거래, 소셜, 게임 경험을 제공한다. 솔라나의 데이터에 따르면 솔라나 NFT 시장 규모가 이더리움 시장 대비 작지만 최근 시가총액은 10억달러를 초과했다. 메타플렉스와 함께 성장하고 있다.▲ 메타플렉스(Metaplex) 홈페이지
-
2022-01-17인도 다양한 브랜드 신발 소매체인업인 메트로 브랜드(Metro Brands)에 따르면 2021 회계연도 4분기 총 순수익은 10억850만루피로 집계됐다.2020 회계연도 동기간 순수익 6억5220만루피와 대비해 54.63% 증가했다. 운영 전체 매출은 48억3770만루피로 2020 회계연도 동기간 30억4210만루피 대비 59.02% 상승했다. 중국발 코로나 팬데믹의 영향으로 전자상거래와 옴니채널 사업 성장률이 지속적으로 유지된 것으로 조사됐다. 현재 국내 140개 도시에 상점 629곳을 운영하고 있다. 최근 글로벌 신발 브랜드인 핏플랍(FitFlop)과 전략적 파트너쉽을 맺었다. 핏플랍은 글로벌 60개국 이상에 판매되고 있으며 메트로 브랜드는 지난 4년간 국내 판매기업이었다. ▲메트로 브랜드(Metro Brands) 로고
-
미국 블록체인 게임협회(Blockchain Gaming Alliance, BGA)에 따르면 2021년 3분기 블록체인 게임이 전체 NFT 거래량 중 22%를 차지한 것으로 집계됐다. 거래 금액은 $US 23억2000만달러에 달한다.가상 세계 분산 앱의 시가총액은 46억달러로 사상최고치를 기록했다. 가상 토지 판매액은 4260만달러에 달했다. 1일 고유 활성 지갑은 6566% 증가했다.홍콩 기반 게임 소프트웨어 기업 Animoca Brands은 5월 8800만달러, 7월 1억3800만달러, 10월 6500만달러를 조달했다. 회사 가치는 22억달러로 늘어났다.포켓몬에서 영감을 받은 NFT 격투 게임 Axie Infinity는 40억달러 규모의 사상 최대 NFT를 판매했다. 게임산업에서 NFT 거래는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블록체인 게임협회(Blockchain Gaming Alliance, BGA) 홈페이지
-
2021-11-25미국 블록체인 기반 게임 개발사 블록케이드 게임(Blockade Games)에 따르면 투자 자금 조달 라운드에서 $US 500만달러를 모금했다. 투자 이후 기업가치는 2300만달러로 평가됐다.투자 라운드는 최근 메타버스 펀딩 라운드와 유사하게 진행됐다. 홍콩의 애니모카 브랜드(Animoca Brands)가 펀딩을 주도했다. 펀딩 참여 기업 및 개인으로는 벤처캐피탈 및 사모펀드 6th Man Ventures의 일원인 Mike Dudas, 개인 투자회사 Shiny Pony를 통한 Meltem Demirors, JPMorgan에서 블록체인 개발을 감독하고 있는 Christine Moy 등이다.블록케이드 게임은 플래그십 프랜차이즈 Neon District와 같은 게임뿐만 아니라 오픈 소스 개발자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다.▲ 블록케이드 게임(Blockade Games) 홈페이지
-
오스트레일리아 P2E 기업인 아보카도 길드(Avocado Guild)에 따르면 시리즈 A 펀딩 라운드에서 $US 1800만달러를 모금했다. 애니모카 브랜즈(Animoca Brands)가 펀딩을 주관했다. 투자 라운드에 QCP Soteria Node도 주관사로 참여했다. Three Arrows Capital, Solana Ventures, Polygon Studios, Hashed, Binance Smart Chain 등의 10억달러 성장 펀드, GoldenTree Asset Management 경영진 등이 투자에 동참했다.참고로 플레이투언(Play-to-earn, P2E)은 게임을 하면서 돈을 버는 것을 말한다. 오스트레일리아에 기반을 두고 있는 아보카도 길드는 블록체인 게이밍 길드이다.아보카도 길드는 현재 약 7000명의 회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대부분 필리핀인과 인도네시아인으로 구성돼 있다. 또한 플레이어가 여러 가상 세계에 참여할 수 있어 '메타버스(Metaverse)의 메타버스' 라고 주장한다.▲ 아보카도 길드(Avocado Guild) 홈페이지
-
미국 블록체인 게임 플랫폼 포르테(Forte)에 따르면 $US 7억2500만달러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다. 게임기업이 호환 및 상호 운영가능한 블록체인 게임을 제작할 수 있는 솔루션 개발에 투자할 계획이다.이번 투자는 Sea Capital과 Kora Management 주관으로 Animoca Brands, Big Bets (Huuuge Games), Overwolf, Playstudios, Warner Music Group, zVentures (Razer), and blockchain partners Cosmos, Polygon Studios, Solana Ventures, Griffin Gaming Partners, Andreessen Horowitz (a16z), Tiger Global 등이 참여했다.포르테는 게임 자체를 개발하는 것 대신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새로운 종류의 게임 경제를 만들어 내고 있다. 블록체인 게임에서 플레이어의 토큰을 저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암호화폐 지갑과 같은 것을 개발한다.포르테는 2021년 5월 가장 큰 게임 중심 벤처캐피탈 펀드 중 하나인 Griffin Gaming Partners의 주관으로 약 1억8500만달러를 모금했다.▲ 포르테(Forte) 홈페이지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