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3
" FCV"으로 검색하여,
29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일본 수소 스테이션 네트워크 유한책임(日本水素ステーションネットワーク合同会社, Japan H₂ Mobility, LLC. JHyM) 東京都港区芝公園2-6-15 黒龍芝公園ビル7F Tel : +81 3 5214 6711E-Mail : darlenehomonko@jhym.orgwww.jhym.co.jp 일본도쿄기관유형 : 협회□ 조사 내용◇ 수소 관련 핵심 기술과 정보가 모인 네트워크○ 일본 수소 스테이션 네트워크 유한책임(Japan H₂ Mobility, LLC, 이하 JHyM)은 11개 기업, 연구소, 금융사 등의 수소 관련 핵심기업들이 참여한 수소 스테이션 네트워크임.○ 수소 스테이션 정비를 위한 수소 스테이션 사업자, 자동차 회사와 금융 투자자 등이 연계되는 네트워크 구축을 세계 최초 시도함.○ 2018년부터 2021년까지의 회계연도에 정부 보조금 및 금융지원 등을 통해 일본 대도시 지역에 80곳의 수소충전소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며 2020년대 후반에 이르러 국가지원 없이도 관련 사업이 안정된 이익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게 목표임.○ JHyM는 FCV 보급 초기 수소 스테이션 사업의 과제를 감안하여 인프라 사업자, 자동차, 금융 투자 등이 각각의 역할을 표기 11개사를 중심으로 한 올 재팬의 협력을 통해 전략적 수소 스테이션의 정비, 및 수소 스테이션의 효율적인 운영에 임한다.FCV 사용자의 편리성 향상을 도모하고, FCV 대수의 증가, 수소 스테이션 사업의 자립화 더욱 수소 스테이션의 정비는 ‘FCV 및 수소 스테이션의 선순환의 창출’을 목표로 함.○ JHyM의 출범은 일본 국가전략의 일환으로 세계 최초로 금융 투자자 등의 자금을 활용, 수소충전소 사업자의 초기 투자비용을 절감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음.○ 국가 보조금 정책, 지자체의 보급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하며 독자적으로 '수소 스테이션 정비 계획‘을 책정하고 일본 전국에서 많은 고객이 FCV를 사용할 환경을 정비하고 있음.◇ 수소 스테이션 상용화를 위한 다양한 마케팅 전략○ FCV 사용자가 편안하게 수소 스테이션을 이용할 수 있도록 영업일 및 시간 등 지역과 연계하여 효율적으로 운영함. 기술의 표준화 및 규정 검토, 관련 기관과 연계하여 하며 수소 스테이션의 비용 절감을 도모하고, 자립화를 목표로 함.○ 4대 도시를 중심으로 보급이 시작되고 있는 수소 스테이션 네트워크를 전국적으로 확대하고 꾸준한 수소 스테이션의 정비 목표 달성을 위해 본 회원뿐만 아니라 널리 JHyM에 신규 참가를 모집함.▲ 이와키시의 발전소 시무식[출처=브레인파크]○ 2019년 3월에는 후쿠시마 현 이와키시에 설치한 연료전지 자동차의 수소 스테이션의 영업을 시작하였으며 지속적, 점진적으로 수소 스테이션의 운영 지점 수를 늘릴 것을 표명함.○ 일본 정부는 2025년까지 320개소, 2030년까지 900개소까지 늘릴 목표를 내걸고 있으며 이에 발맞춰 JHyM은 지속적으로 지역 자체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수스 스테이션 설치 방안을 연구개발 중임.
-
수소공급·이용 기술연구조합(水素供給·利用技術研究組合, HySUT) 東京都港区赤坂2-10-5 赤坂日ノ樹ビル5FTel : +81 03 3560 2802E-Mail : hysut@hysut.or.jphysut.or.jp/archive/index.html □ 조사 내용◇ 하나의 목적으로 뭉친 에너지 기술 개발 기업들○ 수소공급·이용 기술연구조합(HySUT)은 수소 공급 인프라 구축과 비즈니스 환경의 정비를 목적으로 2009년 7월에 설립된 법인으로, 수소 공급에 의한 저탄소 사회를 실현하고자 하는 에너지 관련 기업 13사에 의해 활동을 시작했음. 현재는 자동차 회사 등도 가세해 23개 단체를 조합원으로 활동하고 있음.○ 2009년부터 2010년 사이에 경제산업성의 보조 사업인, ‘수소 이용 사회 시스템 구축 실증’ 사업을 위탁했으며 수도권에서 ‘수소 하이웨이 프로젝트’와 후쿠오카현 키타큐슈시에서 ‘수소 타운 프로젝트’ 실증 사업을 실시함.○ 현재는 2020년 이후 FCV와 수소 공급 인프라의 본격 보급을 위해 일련의 기기 및 시스템 비용 절감, FCV의 보급 확대 및 국제 경쟁력 확보에 이바지하기 위해 NEDO의 위탁 사업인 '수소 이용 기술 연구개발 사업 '에 최선을 다하고 있음.○ 연료전지 자동차 및 수소 공급 인프라의 국내 규제 적정화 국제 기준 조화·국제 표준화, 연료전지 자동차 및 수소 스테이션용 저가 장비 시스템, 수소 스테이션 안전 기반 정비에 관한 연구개발 등을 진행함.◇ 조합에 참여한 기업들의 넓은 분야의 활동과 공동 연구를 통한 시너지 극대화○ 조합에 참여하는 업체들의 결합 조직이며, 시험 연구를 공동으로 수행하고 그 성과를 조합원들이 누림으로써 조합원의 공동 이익을 추구하는 성격을 가지고 있음.▲ HySUT가 주관한 수소차 모터쇼[출처=브레인파크]○수소 스테이션 연료전지 자동차의 보급을 위한 수소 스테이션의 운영비용 절감을 목표로 압축기 및 수소 제조 장치 등 구성 기기의 실용성 내구성 향상을 위한 평가를 실시함.○ 수소자동차 인프라 구축을 위하여 HySUT은 모터쇼에 참가하여 수소자동차의 기술과 주행을 선보이고 수소 스테이션 및 FCV에 대한 인식도 제고를 위한 노력을 기함.○ 도로 파이프 라인에 공동 주택과 업무용 시설 등에 설치하는 연료전지 등 수소를 효율적으로 공급하는 실증을 실시하고, 경년에 의한 파이프 라인의 내구성을 평가함.○ 수소의 용도를 확대하기 위해 정비된 소형 이동 연료전지 자전거 연료전지 리프터에 사용되는 수소 용기의 충전 장치의 운전 실증을 실시하고 수소 충전 방법 등의 과제 추출함.○ 독립행정법인 신에너지·산업 기술 종합 개발기구 공모 사업으로 2015년 연료전지 자동차(FCV)의 일반 사용자 보급 시작을 위해 실사용에 가까운 조건에서 FCV·수소 공급 인프라 관련 기술 실증을 실시함과 동시에 △사용자 편의성 △사업 성립성 △사회 수용성 등을 검증하고 보급 시작을 향한 과제를 해결하려 함.
-
▲ 일본 닛산자동차(日産自動車)의 본사 이미지 [출처=위키피디아]일본 닛산자동차(日産自動車)에 따르면 혼다(ホンダ)와 전기자동차(EV) 사업에서 협업을 위한 협상을 진행 중이다. EV를 생산하는데 필요한 핵심 부품을 공동으로 사용 및 조달하기 위한 목적이다.그동한 닛산자동차는 미츠비시자동차와 EV 분야에서 협업하고 있었다. 닛산자동차와 미츠비스는 프랑스 르노자동차가 설립한 EV 제조업체인 '암페어'에 출자했다.혼다는 2040년까지 모든 신차를 EV나 연료전지차(FCV)로 한다고 공표했다. 소니와 공동으로 출자해 EV 제조업체인 '소니·혼다모빌리티'를 설립했다.미국의 제너럴모터스(GM)과 협력을 강화하며 EV 시장을 진입하기 위해 노력 중인 혼다는 국내에서는 다른 자동차 제조업체와 협업하지 않고 독자 노선을 고집했다.도요타자동차를 비소한 일본계 자동차 제조업체는 하이브리드차(HV) 시장을 주도하며 좋은 실적을 달성했다. 하지만 현재 글로벌 EV 시장은 미국의 테슬라, 중국의 비야디(BYD)가 선전 중이다.
-
▲ 도요타자동차(トヨタ自動車) 빌딩 [출처=홈페이지]일본 도요타자동차(トヨタ自動車)의 유럽법인인 도요타모터유럽(トヨタ・モーター・ヨーロッパ)에 따르면 2026년까지 유럽시장에 연간 25만대의 전기자동차(EV)를 판매할 계획이다.판매 목표는 전체 판매하려는 차량의 20%에 해당된다. 상용차와 승용차를 모두 포함하며 6개 차종의 EV를 유럽 시장에 투입할 방침이다.2023년 11월29일 벨기에 수도 브뤼셀에서 열린 설명회세서 신형 EV 프로토타입을 공개했다. 2024년 도시형 스포츠형 다목적차(SUV), 2025년 쿠페풍의 디자인을 SUV에 조합한 크로스오버차를 소개한다.도요타자동차는 순수 EV 외에도 연료전치차(FCV) 등을 포함하면 2026년까지 유럽 시장에 15개 차종을 판매한다는 목표를 수립했다.2050년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하려는 유럽연합(EU)는 전기차 보급을 확대하고 있다. 도요타자동차가 판매하는 전기차와 연료전지차는 모두 이산화탄소(CO2)를 배출하지 않는다.
-
국제 환경보호단체인 그린피스(Greenpeace)에 따르면 2022년 글로벌 자동차 제조기업 탈탄소 노력 순위에서 토요타자동차(Toyota Motor Corp)는 꼴찌로 선정됐다. 2021년과 동일하게 10위를 기록했다. 해당 보고서는 글로벌 자동차 판매량 순위 상위 10개 기업을 대상으로 탈탄소 노력을 조사했다. 내연기관의 단계적 폐지와 공급체인망의 탈탄소화, 자원 축소, 효율성을 평가했다. 그린피스는 토요타자동차의 판매에서 제로 배출 차량은 1% 미만이며 공급 체인망의 탈탄소화 진척도 느리다고 지적했다. 이전 프리우스(Prius) 하이브리드와 같은 모델이 환경운동가들에게 긍정적인 평가를 받은 것과 대비된다. 토요타는 2030년까지 연간 판매 목표량을 전기자동차는 35만대, 베터리식 전기자동차(BEV)와 연료전지자동차(FCV) 200만대로 높였다. 일본 자동차제조업체 중 △닛산자동차(Nissan Motor CO) 8위 △혼다자동차(Honda Motor Co) 9위 △도요타자동차, 10위가 나란히 하위권을 차지했다. 닛산자동차와 혼다자동차는 2021년과 비교해 순위가 3단계 하락했다.참고로 1위는 제네럴모터스(General Motors Co)로 100점 만점에 38.5점을 받았음에도 상위권을 유지했다. 자동차제조사들의 탈탄소 노력이 여전히 부족한 것으로 판단된다.▲토요타자동차(Toyota Motor Corp)의 RAV4 이미지(출처 : 홈페이지)
-
일본 글로벌 자동차제조업체인 혼다(ホンダ)에 따르면 2021년 연말 이내에 수소를 연료로 하는 연료전지자동차(FCV)의 생산을 중단할 계획이다.판매량이 저조한 수소연료 자동차를 단종해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목적이다. 절감한 예산은 전기자동차(EV)에 집중적으로 투자할 방침이다.필요하다면 미국의 GM가 협력해 연료전지자동차(FCV)의 개발 및 생산을 지속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참고로 혼다는 2040년까지 전 세계에서 판매되는 모든 신차를 배출가스가 없는 차량으로 대체할 계획이다. ▲혼다(ホンダ) 로고
-
2021-05-27일본 자동차제조기업인 혼다자동차(ホンダ)에 따르면 2021년 5월 25일부터 신차 이용이 가능해지는 정액제 서비스를 시작했다. 젊은층을 중심으로 자동차를 구매하지 않고 이용하는 경우가 확산되며 비슷한 서비스 도입도 늘어나고 있다. 해당사의 월정액 요금은 정비비와 세금 등이 포함되며 희망할 경우 보험도 적용된다. 주차 장비와 연료비 등은 본인 부담이다. 계약 기간은 3년, 5년, 7년의 3종류로 연장도 가능하다. 전기자동차(EV)와 연료전지차(FCV)를 제외한 17종에서 선택할 수 있다. ▲혼다자동차(ホンダ) 이미지(출처 : 홈페이지)
-
2020-10-19중국 상하이시(上海市)에 따르면 2020년 9월 제5회 국제 수소 연료 전지 자동차 회의(FCVC 2020)를 개최했다. 개최 장소는 자딩(嘉定)지구에 위치한 상하이(上海) 자동차전시센터이다.중국자동차공학회(中国汽车工程学会)와 국제수소연료전지협회(国际氢能燃料电池协会)가 공동으로 후원했다. 수소 및 연료 전지 분야의 정책 입안자, 기술 개발자, 연료전지 자동차 제조업체 및 글로벌 투자자들이 한자리에 모였다.600 명 이상의 참가자와 127개의 연료전지 관련 기업이 최신 기술과 제품을 공개했다. 2020년 6월 개장한 자딩(嘉定) 수소 에너지항(氢能港)에 대한 산업계획이 공개됐다.상하이시는 수소 연료전지 차량의 연구 개발, 시연 응용 및 산업화를 촉진하고 비즈니스 환경을 최적화할 계획이다.참고로, 상하이시는 수소 에너지 및 연료전지 산업의 발전을 촉진한 중국 최초의 도시이다. 2017년 국내 최초의 연료전지 산업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China-Jading-energy▲ 상하이시(上海市)의 수소에너지 항구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중국 공업정보화부(工信部)에 따르면 2025년까지 신차 판매에서 신 에너지 자동차의 판매 비율을 기존 20%에서 약 25%까지 끌어 올릴 계획이다.2025년 기준 신차 예상 판매 대수는 약 3000만대로 이중 약 750만대가 신 에너지 자동차가 될 것으로 추정된다. '2021~2035년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 발전 계획' 초안에서 밝혔다.2019년 상반기 중 최종 결정될 예정이며 지난 2018년 4% 비율에서 25%비율로 21%P 확대됐다. 미국과 무역분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전기자동차 제조업체의 수혜가 전망된다.정부는 2035년 전기자동차(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PHV), 연료전지 자동차(FCV) 등 신 에너지 자동차의 핵심 기술을 바탕으로 글로벌 자동차시장을 선도할 계획이다.▲ MIIT▲ 공업정보화부(工信部) 로고
-
일본 상용차제조기업 히노자동차(日野自動車)에 따르면 2050년까지 디젤엔진으로 구동하는 상용차 판매를 중단하기로 결정했다.2018년 현재 전기자동차 비율이 5%정도로 낮은 편이나 2050년까지 디젤엔진용 상용차 0%, 전기차량 판매율 100%를 목표로 정했다.2020년경 소형전기 트럭 및 소형전기 버스를 투입할 예정이다. 2030년까지는 모든 차종에 연료전지자동차(FCV), 플러그인하이브리드자동차(PHV) 등 전기자동차를 시장에 투입할 수 있는 체제로 전환할 방침이다.히노자동차는 탄소배출 규제 등 전기자동차의 글로벌 도입 증가 추세에 맞춰 생산체제를 정비해 나갈 예정이다. 전기 트럭 및 하이브리드 자동차(HV) 등 기존 엔진차량의 라인업을 증가시켜 목표를 달성한다는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Hino Logo▲ 히노자동차(日野自動車) 로고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