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entertainment"으로 검색하여,
16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포어싱크(Forethink Oy) Otakaari 5 A02150 Espoowww.forethink.net 방문연수핀란드에스푸 □ 연수내용◇ 한국인이 설립한 핀란드 첫 스타트업◯ 포어싱크가 입주해 있는 알토스타트업센터(Aalto Startup Center)의 A-그리드 센터에 방문한 연수단은 포어싱크의 배동훈 대표와 알토스타트업센터의 나탈리 가우데(Natalie Gaudet) 코디네이터를 만나 브리핑을 들었다.◯ 포어싱크는 한국인 배동훈(UX개발 및 총괄), 박솔잎(국제 비즈니스), 마티 메리(인공지능)를 담당하는 공동 창업가 등 3인으로 구성된 초기 스타트업이다. 한국인이 핀란드에서 스타트업을 설립한 첫 사례다.◇ e커머스용 AI 솔루션 제공◯ 포어싱크는 e커머스용 AI 솔루션을 제공한다. 사용자경험(UX), 머신러닝(ML), 국제교류 전문가가 모여 모바일 앱 고객 행동 패턴을 분석해 자동으로 상품 목록을 최적화·개인화하는 인공지능 모바일 카달로그 플랫폼인 ‘저스트 브라우즈’ 서비스를 개발했다.◯ 모바일로 쇼핑하는 고객은 작은 화면에서 무수히 많은 제품을 관찰한다. 때문에 피로도가 높기 마련이다. 포어싱크는 사용자경험(UX)과 인공지능의 쌍방향 혁신을 통해 모바일 쇼핑 고객의 피로도는 낮추면서 이머커스에게는 전략적인 상품 판매를 가능케 하는 전략을 목표로 세웠다.◯ 저스트 브라우즈를 기반으로 생성된 모바일 앱은 고객이 쇼핑을 하는 동안 제품 목록을 브라우징 하면, 이 행동을 분석해 자동으로 쇼핑몰의 기존 상품 목록을 최적 개인화로 설정한다.◯ 포어싱크 AI 솔루션의 장점은 이커머스 기업의 기존 플랫폼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사이트 리뉴얼 없이 기존에 사용하던 온라인 스토어를 유지하면서 저스트브라우즈 기반의 모바일 카달로그만 추가 서비스하면 된다.◯ 저스트 브라우즈는 여기서 한 발짝 더 나아가 고객의 구매 내역 또는 소셜미디어 기록 없이 행동 데이터만을 분석해 상품 목록을 최적화한다.내부에 인공지능 기술진을 채용하지 못하더라도 어느 기업이든 외부 솔루션을 통해 간편하게 고객 행동 분석과 개인 맞춤 카달로그 기능을 갖출 수 있다.◯ 포어싱크는 지난해 핀란드 스타트업 진흥 기관인 비즈니스 핀란드에서 5만유로 펀딩을 유치해 이를 기반으로 올해 초 한국과 핀란드에 파일럿 서비스를 출시했다. 포어싱크는 오는 2019년 3분기에 상용화 모델을 출시할 예정이다.◇ UX디자인, 국제비즈니스, AI 전문가가 모여 창업◯ 배 대표는 6년 전 핀란드 대표 기업인 노키아에 취업하면서 핀란드에 왔다. 홍익대학교에서 그림을 그렸지만, 지금은 UX와 인공지능을 아우르는 풀스텍 개발자로 활동하고 있다.◯ LG전자, 모토로라, 필립스 디자인 센터에서 UX 디자이너 겸 개발자로 일했다. 그 과정에서 레이저폰, 모토로라의 글로벌 사용자경험 디자인 전략 수립을 진행한 경험이 있다.지난 2011년부터 핀란드 노키아 본사의 시니어 UX 디자이너 겸 개발자로 근무했고 이 때 저스트 브라우즈 시스템의 초기 모습을 구상했다.◯ 노키아의 모바일 사업 몰락 후 배 대표는 한국으로 돌아오는 대신 핀란드 창업 지원프로그램을 이수하고, 자신의 열정이 담긴 저스트 브라우즈 시스템을 상용화하겠다는 일념으로 창업자로 거듭났다.◇ 스타트업 취업 비자(Startup Permit) 취득◯ 포어싱크 박솔잎 비즈니스 리드는 한국인 중 처음으로 핀란드 스타트업 취업 비자(Startup Permit)을 취득해 화제가 된 바 있다. 이는 지난해 핀란드 정부가 처음으로 실행한 제도로 핀란드의 글로벌 인재 유치 정책 중 하나이다.◯ 박솔잎 리드는 미국 카네기멜론대학교에서 엔터테인먼트 테크놀로지 센터(Entertainment Technology Center) 석사를 마치고 넥슨 아메리카와 넥슨 컴퓨터 박물관에서 근무했으며, 이 과정에서 넥슨 김정주 회장의 조언을 얻어 한국 스타트업계를 경험했다.◯ 이후 핀란드 알토대학교에 석사로 다시 진학해 현지 스타트업 생태계와 인연을 맺었다. 이런 국제 비즈니스 및 프로젝트 매니징 전문가로서의 경력과 포어싱크 창업 및 인공지능 추천 기술 사용화 가능성을 인정받아 박 리드는 한국인 중 최초로 핀란드 스타트업 취업 비자를 얻었다.◯ 포어싱크 인공지능 기술 개발을 이끄는 마티 메리는 알토대학교 컴퓨터 공학 석사를 졸업한 머신러닝 연구 및 개발 전문가다.핀란드의 유명 에너지 회사를 거쳐 알토대학교 컴퓨터공학 연구소의 머신러닝 리서치 엔지니어(Machine Learning Research Engineer)로 오랫동안 일해 왔다. 포어싱크에서 자신의 머신러닝 노하우를 응용하여 최적화된 이커머스 시스템을 만들어나가는데 열정을 다하고 있다.◇ 한국과 비슷한 기업 구조를 지닌 핀란드◯ 핀란드는 수도권 인구가 약 150만 명, 총 인구 550만 명으로 인수수로는 남한의 10분의 1에 불과한 나라이다. 핀란드는 2000년도 초반까지는 한국과 유사한 기업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전통 있는 대기업 그룹 중심으로 경제가 발전되고 있었고 임업과 조선업이 발달한 산업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이후 주력산업인 조선산업의 위기가 찾아왔다. 핀란드 서쪽 끝에 있는 투르크(Turku)는 조선업이 발달한 도시였다. 1732년부터 첫 조선소인 크리히톤 불칸(Crichton-Vulcan)을 시작으로 300년 이상 조선업이 지역경제의 중심이었다.하지만 조선업의 침체로 2007년에 STX가 투르크 조선소를 인수했지만 2008년 이후 세계 경기침제로 어려움이 지속되었고, 이 조선소는 2014년 독일 마이어 베르프트(Meyer Werft)에 다시 매각됐다.◯ 노키아의 위기도 투르크조선소와 비슷한 시기인 2010-2014년 찾아왔다. 스마트폰 이전 핸드폰 시장의 세계1위 기업이었던 노키아는 2010년 스마트폰이 모바일시장의 중심으로 떠오르면서 세계 1위의 자리를 삼성전자와 애플에 내어주었다.◯ 그 이후 ‘윈도우폰OS'를 채택한 스마트폰을 출시했지만 반응이 좋지 못했고, 결국 노키아는 2013년 초 휴대폰사업부의 매각을 결정했다.투르크 조선소와 노키아는 비슷한 시기에 위기를 맞이했고 핀란드 정부는 노키아보다 투르크 조선소에 국가구제금융을 지원했다. 결정적으로 그 해에 노키아 휴대폰사업부가 해체된 것은 국가구제금융이 거절됐다는 이유도 있다.◯ 산업적으로 보면 경공업, 소프트웨어, 게임산업이 발달한 것도 한국과 유사하다. 대표적인 게임산업체로는 슈퍼셀(Supercell), 로비오(Rovio) 등이 있다.최근에는 한국투자신탁에서 투자한 게임회사가 엑싯(EXIT)을 해서 큰 이득을 보았다. 한국에서 핀란드 회사에 투자하여 성공한 사례이다.◇ 고위험 고수익사업에 관심이 많은 비즈니스 핀란드◯ 비즈니스 핀란드는 위험성이 낮은 기업에 투자하지 않는다. 고위험 고수익에 가장 관심이 있다. 그렇지만 사회적 영향력이 있는 기업은 수익이 많지 않아도 투자를 해준다.◯ 그 예로 시청 앞에 알라스씨풀(Allas Se"Pool)이라는 야외 풀장을 들 수 있다. 헬싱키 중심에 놀 곳이 필요하다는 아이디어로 수영장을 만들었다.실험적으로 헬싱키항에 바지선을 만들어서 수영장을 설치해 보았는데 결과는 좋았고 지금은 핀란드의 관광 명소가 됐다. 이 펀딩은 비즈니스 핀란드, 헬싱키시, 다양한 민간단체로부터 자금지원을 받아 진행됐다.◯ 핀란드와 우리나라와 비교해 보면 우리나라는 하향식(Top-down), 핀란드는 상향식(Buttom-up) 의사결정 구조를 가지고 있다. 상위 기관에서 어떻게 하면 하위 기관의 요구에 맞춰 같이 이끌어 줄 것이냐 하는 것이 핀란드의 구조이다.◯ 한국과 가장 큰 차이는 사회적 신뢰(Social Trust)라 할 수 있다. 한국은 저신뢰를 기반으로 투명도를 강조한 시스템을 만든다. 한국은 버스도 오를 때 내릴 때 카드를 찍고 IT 기계 천국이다. 그러나 버스에 유모차나 휠체어는 타기 어렵다.반면 핀란드는 모든 대중교통에 유모차, 휠체어 등이 다 들어갈 수 있게 만들었다. 승하차 시 카드를 찍지 않는다. 기본적인 것을 더욱 중요시하고 믿음을 기초로 하는 점이 다른 부분이다.◯ 핀란드는 일하기 좋은 나라, 아기 키우기 좋은 나라이다. 아이들을 직장에 데려올 수도 있고 상황에 따라서는 재택근무도 가능하다. 일률적인 출퇴근 문화가 사라지고 있는데 이러한 문화의 기반은 ‘사회적 신뢰’라고 보고 있다.◇ 작은 내수시장 극복 위해 국제화된 창업 생태계◯ 핀란드 법인 설립 방법이나 과정은 한국과 별 차이가 없다. 하지만 법인 설립 시 최소 자본금이 2,500유로였는데 지난달부터 최소 자본금 규정이 없어졌다. 이는 상징적인 조치이다.국적, 나이, 출신을 가리지 않고 일관적인 지원과 규제를 한다. 한국인이 스타트업을 설립하는 경우, 이 기업이 핀란드 기업이라 보기 때문에 차별이 없다.◯ 창업 생태계를 보면 20명 정도 스타트업이 모여서 발표할 때 외국인이 한 명이라도 있으면 바로 발표 언어를 영어로 바꿔준다. 기본적으로 한 모임당 평균 10개 국가의 다양한 백그라운드를 가지고 있다.◯ 한국인, 중국인, 베트남인 등 다양한 국적을 가지고 있고 이들이 함께하는 스타트업은 엄청난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영어가 사용되고 헬싱키가 국제화가 많이 되어 있다는 것도 장점이다. 전반적으로 수평적인 문화이며 서로 예우 해주는 문화를 가지고 있다.◯ 핀란드 창업시장이 이처럼 국제화된 것은 핀란드 내수시장이 작기 때문이다. 핀란드 기업은 ‘본투비 글로벌(Born to be Global)' 이다.모든 사업계획서에는 반드시 글로벌 시장 진출 계획이 들어있어야 한다. 5만 유로 이상 지원받을 때 사업계획서에 해외시장, 해외 수요 조사가 꼭 들어가야 한다.(브리핑 담당자 배동훈 대표의 의견)◇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도전할 수 있는 환경 조성◯ 현재 핀란드는 정부·학계·기업 간 유기적인 협력뿐 아니라 대기업과 스타트업 혹은 스타트업끼리도 거리낌 없이 데이터와 노하우를 공유하는 등 경쟁보다는 상생을 추구한다.대기업에서 풀기 어려운 난제를 공개하면 젊은 개발자와 연구자가 소속된 스타트업이 이를 함께 풀어내고자 노력한다. 자연스레 투자를 유치하거나 합병을 결정하는 사례도 많다.◯ 핀란드는 정부나 대기업이 주도하는 하향식이 아니라 기업가 정신으로 무장한 젊은이들이 상향식으로 주도하는 창업 생태계를 갖추고 있다.정부 역할은 강력한 복지제도와 적극적인 창업 지원을 통해 젊은이들이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도전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런 핀란드의 창업 생태계를 구성하는 주체는 대표적으로 정부, 민간, 대학이 있다. 스타트업 에코시스템은 스타트업의 가장 중심에서 어떻게 키우고 육성하는지 전반에 걸친 시스템적인 환경을 말한다.◯ 정부 주체는 연수단이 방문했던 비즈니스 핀란드와 팀 핀란드가 있고 민간단체는 대표적으로 피반(Finnish Business Angels Network-FIBAN)이 있다.◯ 특히 핀란드에서는 청년 주도의 스타트업 단체가 창업 생태계에서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대표적인 기관으로 Aaltoes, HANKEN ES, Helsinki Think Company, TEMPERE.ES, OULUES 등이 있다.◇ 주로 초기 스타트업을 지원하는 비즈니스 핀란드◯ 초기 스타트업들은 혼자서 스스로 투자를 유치하기가 힘들기 때문에 관이 주도할 수밖에 없고 연수단이 방문했던 비즈니스 핀란드가 그 역할을 한다.◯ 연구자들은 좋은 아이디어가 있는데 비즈니스에 대해 하나도 모를 때 이곳에 와서 상담을 하고 비즈니스 멘토들과 함께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고 사업계획서를 여러 투자자들에게 가지고 간다.핀란드에서는 스타트업을 하려면 제일 먼저 가는 곳이 비즈니스 핀란드이다. 아이디어가 괜찮다고 판단되면 5만 유로부터 시작되는 펀드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된다.◯ 2000년대 초반 노키아 휴대전화사업부의 폐업으로 많은 인력들이 정리 해고됐다. 이때 퇴직자가 빠르게 직종전환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도 비즈니스 핀란드에서 제공했다.원래 하던 직무와 다른 업무를 하기 전 전환과정이 필요한데 여기에 필요한 교육, 월급 등을 지원하는 과정이 있다. 이 프로그램 덕분에 배동훈 대표는 알토대 고급경영자 과정을 졸업했다.◇ 경쟁보다 절대평가를 통해 이루어지는 창업지원◯ 핀베라(FINNVERA)는 국가 대출기관이다. 핀란드에서는 창업기업끼리 경쟁을 하여 지원받는 구조가 아니라 각 기업이 지원 기준을 달성하면 지원을 해준다. 고객유치, 매출 등을 기준으로 절대평가를 한다.◯ 최저임금에 대해 실험했는데 이곳에서는 사람들의 만족도와 행복도가 높아졌는가에 초점을 맞춘다. 교육이 좋다는 이야기가 있는데 한국과 달리 경쟁이 자연스럽게 생기고 학생들의 행복에 관점을 두고 생각한다.◯ 연수단이 방문한 A그리드센터에는 시립창업지원공간도 마련되어 있다. 이 곳에서는 기술 창업, 레스토랑 창업 등 전반적 창업지원을 해준다.◯ 직접적인 창업지원 외에도 창업을 하려는 실직자를 돕는 정책도 있다. 실직자들이 창업을 하려면 실직연금을 포기해야 해서 창업을 안 하는 상황이 발생했었다.이를 해결하기 위해 실직자들이 창업할 경우 상담하고 상담을 통해 창업을 하게 되면 추천서를 써주는데 노동청에서 승인해주면 복지부에서 매달 750유로 정도 6개월에서 1년까지 지원해준다.◇ 투자자와 스타트업을 매칭하고 지원하는 피반◯ 피반(FIBAN)은 2010년 핀란드 기업인들이 만든 투자 클럽으로 스타트업과 투자자의 매칭 활동을 통해 초기 스타트업을 도와준다.민간 투자자들은 스타트업 피칭을 보며 마음에 드는 스타트업을 신중히 판단해 투자하는데, 피칭을 듣는 것만으로 전체적인 스타트업의 트랜드를 알 수 있다.◯ 일반 비즈니스를 모두 지원하고 있으며 작게는 빵집, 식당들을 상담해주고 계획도 잡아주고 5만 유로까지 대출해준다. 실패했을 경우 7000유로 정도를 갚아야 한다.◯ 또는 빵집을 하다가 퇴직하는 사람들이 있을 경우 가게를 닫으려는 사람과 가게를 오픈하려는 사람을 연결하고 서류 작업 등을 도와준다. 이 빵집을 프랜차이즈로 만들고 싶으면 비즈니스 핀란드로 가야한다.◇ 다학제 연구 위해 3개 대학이 통합한 알토대학교◯ ‘알토대학교(Aalto University)'는 도시디자인을 설계한 알바르 알토의 이름을 따라 2010년 설립된 학교이다. 1990년대에 핀란드는 비즈니스와 사회경제적 문제 해결, 그리고 산업기술 분야 연구에 있어 다학제간 연구의 중요성을 인식했다.◯ 이에 헬싱키공과대학(Helsinki University of Technology)과 헬싱키예술디자인대학(University of Art and Design Helsinki), 헬싱키경영대학(Helsinki School of Economics)을 통합해 설립한 곳이 바로 알토대학교이다.◯ 3개 대학이 통합해 2010년 설립된 알토대학교는 캠퍼스가 3군데 있는데 메인 캠퍼스가 오타니에미에 있다. 나눠져 있는 캠퍼스는 곧 한 곳으로 통합할 계획이다.◯ 알토대학은 약 2만 명의 재학생, 5000여 명의 교직원, 370명의 교수로 구성되어 있다. 운영예산은 교육부, TEKES, 핀란드 학술원, EU 등의 공적 지원뿐 아니라 기업 등에서도 다양한 지원을 통해 조달하고 있다.◯ 2010년 통합한 알토대학은 지속적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는데, 알토대학교 통합 이전에 졸업한 3개 대학의 졸업생까지 포함하면 동문 숫자만도 8만여 명에 이른다. 이들 동문은 전 세계 지식허브와 과학계, 산업계에 종사하면서 탄탄하고 유기적인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다.◇ 혁신적 콘텐츠를 기획하고 실험하는 ‘다학제적 팩토리’▲ 21세기형 협업 공간, 다학제적 팩토리[출처=브레인파크]◇ 협업공간 구축을 위한 알토대학의 다학제적 팩토리◯ 알토대학은 2007년부터 종합적인 연구를 위해 디자인, 미디어, 서비스, 건강 분야의 다학제적 팩토리를 만들어 놓고, 각기 다른 팩토리들이 연계하여 융합적인 교육과 연구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팩토리는 핀란드를 비롯한 세계 최고의 기업들과 함께 21세기형 학습센터이자 협업공간을 구축하는데 목적이 있다.알토대학의 전문가들은 이 팩토리에서 제품과 아이디어를 개발하고 디자인과 미디어, 서비스와 건강을 개선하기 위한 공동 연구를 하고 있다. 4개의 다학제적 팩토리는 융합연구를 통해 새로운 지식이 생산되는 현장이다.◯ 팩토리는 대학마다 운영하는 연구실로서 R&D&I를 담당한다. 각 팩토리의 담당교수는 타 대학교수로 지정해 대학별로 독자적인 연구와 함께 타 대학 전공분야의 아이디어까지 공유하는 장으로 만들어 나가고 있다.◯ 특히 과학과 예술을 기술과 디자인에 접목시켜 아카데미와 산업을 병합하는 것을 최종 목적으로 하고, 독창성과 더불어 혁신적인 콘텐츠를 포함하는 글로벌 연구실로 육성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알토대학교 학생들은 이 공간에서 각 분야 및 단체와 긴밀히 협력하여 새로운 연구와 교육방법을 개발해내곤 한다.◯ 현재 디자인 팩토리는 핀란드(Aalto University), 중국(Aalto Tongji Design Factory), 호주(Swinburne Design Factory), 스위스(CERN Ideasquare), 칠레(DUOC Design Factory), 한국(연세대학교, KAIST) 등 23개 국가에서 운영되고 있다.※ 출처 : https://dfgn.org◯ 가장 대표적인 디자인 팩토리는 디자인 중심의 창업지원센터라고 보면 된다. 창업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이 진행되고 있다.학제간 융합이 중심이 되는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기술경영, 디자인, 마케팅 전공 학생들로 구성된 팀이 각각 창업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또 다양한 분야의 멘토들이 각 팀의 창업 준비를 도와주고 있다.◇ 기업가정신 알토센터를 중심으로 창업 지원◯ 알토대학은 학문적 연구 성과를 창업으로 연결시키는 우수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대학으로도 알려져 있다. 이론적 가치창출을 실제 창업으로 연결시키기 위해 알토대학은 핀란드의 많은 유명 기업들과 협력관계를 맺고 학생들이 연구 및 기술개발을 바탕으로 스타트업을 할 수 있도록 지원, 기업가정신을 활성화하는 데도 역점을 두고 있다.◯ 학교 내에 기술사업화를 목적으로 하는 기관을 두고 창업을 지원하고 있다. 먼저 '기업가정신 알토센터(Aalto Center for Entrepreneurship)'는 매년 10~15개 정도의 스핀오프기업의 창업을 지원하고 있다.◯ '버티컬(Vertical)'은 독립적인 인큐베이터 및 엑셀러레이터로 헬스케어 분야에 집중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알토 스타트업센터(Aalto Start-up Center)'는 창업보육센터로 헬싱키 전역의 일반인과 학생 모두에게 개방되어 있다.◯ 알토 스타트업센터는 ‘하이브리드 엑셀러레이터’라 불린다. 엑셀러레이터, 인큐베이터 역할을 모두 하기 때문이다. 창업기업에게 사무실을 1년 계약으로 대여해주고 코칭서비스와 멘토서비스를 제공한다. 1년 뒤 평가를 통해 1년 더 머무를 수 있을지 결정되며 2년 이상은 머무를 수 없다.현재는 40개의 팀이 입주해 있고 3명의 풀타임으로 일하는 비즈니스 어드바이져가 있다. 연수단이 방문한 포어싱크도 이런 시스템을 거쳐 A-그리드센터에 입주했다. 이 기관들과 함께 알토대학은 아카데믹 대학이라 학문적인 연구 결과를 만들어내고 대학에서 비즈니스화하는 것을 돕고 있다.◯ 알토 이노베이션 서비스와 긴밀하게 연락하고 있으며 각 대학의 1명씩 비즈니스 스파이라는 역할을 두어 이들이 여러 분야의 연구 결과에서 사업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찾는다.좋은 결과를 내고 상업성이 있다고 생각하면 그 결과를 낸 사람들을 도와서 스타트업 설립을 도와준다. 특히 연구자 창업에 어려움이 따르므로 좋은 결과를 사업화하는데 도움을 준다.▲ 알토대학교의 기업가정신 육성 시스템[출처=브레인파크]◯ '알토벤처프로그램(Aalto Ventures Program, AVP)'도 창업 관련 프로그램이다. 알토대학교 재학생이나 타 대학의 인턴십 학생, 예비창업기업과 기존기업 누구나 창업에 대한 열정과 능력, 네트워크를 기르고자 한다면 참여할 수 있다.참여 학생은 관련 분야의 경험이 많은 교수로부터 실험과 다학제간 팀 활동, 통찰력 등을 배운다. AVP는 2020년까지 기업가정신 교육 분야에서 유럽의 리더가 되는데 목표를 두고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재학생을 위한 창업보육 프로그램, 스타트업 사우나◯ 처음 스타트업과 관련된 성과를 주도한 곳은 알토 기업가정신협회(Alto Entrepreneurship Society)이다. 이들이 '스타트업 사우나'를 조직했고 전 세계 투자자와 기업을 핀란드로 초청하기 위해 조직된 행사가 '슬러쉬'다.◯ 핀란드의 고유문화인 '사우나'와 영어 'Start up'을 결합한 '스타트업 사우나(Startup Sauna)'는 창업 지원프로그램의 이름이자 교육 현장의 명칭이다.◯ '스타트업 사우나'는 알토대학교 재학생을 위한 창업보육 시스템으로 원래 공장 실험 실습소였는데 오픈 스타트업 공간으로 변형되어 엑셀러레이터이자 인턴십 프로그램을 동시에 제공한다. 프로젝트별로 정부와 대학, 기업 전문가의 멘토링과 일대일 교육이 이뤄지고 있다.◯ 이곳에서 연간 100~150개 기업이 창업하고 최근 3년 동안 학생을 위한 창업프로그램이 많아져 참여하는 학생도 늘어나고 관심이 고조되면서 벤처캐피탈의 참여도 높아진 상태라고 한다.ICI라는 인공위성 스타트업이 스타트업 사우나에서 프로토타입으로 위성을 만들어 띄워 성공했다. 현재는 샌프란시스코에서 소형 인공위성을 만드는 기업으로 성장했다.◯ 슬러쉬는 알토 기업가정신협회가 헬싱키의 젊은 사업가와 학생들을 연결했던 행사로 2008년부터 기획하고 주최한 스타트업 행사이다. 2011년부터 글로벌행사로 발전, 2012년부터는 핀란드 정부도 관심을 가지고 지원하기 시작했다.2016년 1만5000명의 참가자와 2000개의 스타트업이 참가했다. 유럽 전역을 대상으로 한 스타트업 이벤트지만 유럽 벤처캐피탈뿐만 아니라 미국 등에서도 많은 캐피탈이 참여하여 투자가 진행되고 있다.◇ 학생이 기획하고 주최하는 스타트업 행사◯ 슬러쉬는 칙칙한 눈이 깔리는 핀란드의 11월에도 멋진 스타트업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겠다는 의지의 표현에서 지은 이름이다.▲ 알토대학교의 기업가정신 프로그램[출처=브레인파크]◯ 핀란드 창업 생태계에서는 창업자인 학생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알토ES(Aalto Enterprise society-Aaltoes)는 학생들이 창업지원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니즈를 가지고 만든 창업 동아리 학생회이다.◯ 다른 지역에도 알토ES와 비슷한 청년들이 만든 창업지원기관들이 많이 있다. 헬싱키대학은 헬스와 의료분야를 전문으로 하고, 알토대는 미술대, 경영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밖에 Helsinki think company가 있고 스웨덴어 경영대학인 Hanken ES가 있고, 울루에는 OULU ES, 템페레에는 TAMPERE ES가 있다.◯ 기술이라는 것이 기술자들의 머릿속에 있기 때문에 기술자 문화와 네트워크가 중요하다. 그래서 강력한 개발자 모임도 있는데 핵심적인 인물이 리눅스 창업자인 리누스 토발즈이다.□ 질의응답◇ [알토스타트업센터]- 학교에서 기술이전을 받아서 창업을 하는지, 연구자를 창업가로 변신시키는데 지원하는 것인지."연구 결과를 내면 각 분야에서 나오는 연구결과를 보고 판단하는 사람이 창업에 도움을 주고 연구자를 창업자로 만들어준다.- 비즈니스 스파이는."알토 이노베이션 서비스 어드바이저가 정식이름이고 알토에 6개 단과대학이 있는데 총 6명이 있다.- 스타트업센터가 대학마다 있는지 알토대학만 있는지.?"알토대가 6개의 작은 단과대학이 모여서 만들어진 것으로 원래 대학마다 있었는데 하나로 통합됐다. 다른 대학에도 스타트업 센터가 있다.- 창업인큐베이터 기간을 2년으로 정한 이유는."2년이 가장 짧은 기간에 비즈니스 가능성을 볼 수 기간이다. 핀란드에 있는 다른 스타트업 센터도 비슷해 보인다.- 알토대학교 졸업생들의 창업・취업 비율은."핀란드는 인구가 적은 나라이기 때문에 규제를 많이 하지 않는다. 알토대 학생이 아니더라도 창업아이디어가 있으면 도움을 받을 수 있다.졸업생들이 어느 곳에 직장을 구했는지는 알 수 없고 현재 40개 팀이 있는데 전문가들은 이 스타트업 센터를 거쳐간 학생이 5년 동안 어떤 상태에 있는지, 성공을 했는지, 성공을 했다면 얼마나 많은 고용자를 창출했는지 등을 모니터링하고 있다.- 우리나라 같은 경우는 대학에서 정부예산을 지원받고 대학생들의 취업률을 높이기 위해 산학협력교수를 하고 창업・기술이전도 시키는데 알토대도 비슷한 취지인지."센터는 학과, 교직과는 연관이 없다. 교수들과 직접적으로 관계는 없고 기술이 있는데 사업화하기 위해 첫 번째로 하는 것이 센터에 와서 자문을 구하는 것이다.- 스타트업 센터를 운영하는데 비용은."알토대학이 알토스타트업 센터를 운영하고 이곳에서 일하고 있는 스탭과 풀타임 멘토들은 알토대학에서 월급을 받는다. 건물도 알토에 있다.알토대에서 스타트업센터를 지원하는 것은 이익을 보려고 하는 것이 아니라 장려하기 위한 것이다. 이곳에서 청구하는 것은 사무실 크기에 따라 임대료 비용으로 150에서 400유로정도 청구한다.- 선 창업자가 창업 지원 발전기금으로 다른 창업자를 지원해주는지."없다. 예를 들어 앵그리버드로 성공한 로비오 회사는 로비오에서 일하던 사람이 창업하는 경우도 있고 다른 회사에 투자하는 경우로 사회에 기여한다.◇ [ㅇㅇㅇ 대표]- 포어싱크의 고객은."고객은 투르크라는 도시에서 살고 있는데 핀란드 물건을 한국에 파는 일을 하고 있으며 저희가 쇼핑몰 앱을 제공하고 파트너로 일하고 있다. 이 모바일 앱에 포어싱크의 기술을 적용했다.- 비즈니스 핀란드가 만들어진 이후에 FDI가 44% 증가했고 비결이 슬러쉬라고 하는데 슬러쉬만의 특징이 있는지."슬러쉬는 알토ES 출신들로 구성되어 있다. 300명 정도의 학생 자원봉사단이 있다. 300명이 일을 하면서 스타트업 행사의 열기를 흡수하고 있다. 반면에 노키아는 10년 동안 계속 정리해고를 했다.이러면서 스타트업이 많이 육성됐다. 스타트업 투자 규모가 커졌다. 창업이 활성화되었고 사람들이 모이고 장이 만들어졌다. 이 장을 학생들이 주도했다. 학생들이 에너지를 흡수하고 아이디어를 만들어 자연스럽게 단계적으로 확대됐다.또 한편 슬러쉬 참가 기업 중 반 정도가 외국에서 오기 때문에 핀에어와 호텔 활성화를 위해 초기부터 비즈니스 핀란드에서 투자를 해주었다.- 핀란드 대학생들은 창업에 도전하는 경우가 많은 것 같다. 한국은 별로 없는데 데미지가 크고 회복하기 힘들기 때문인 것 같다. 핀란드와 한국이 왜 차이가 있는지."학생들이 빚이 없다. 대학을 갈 때 등록금 걱정이 없고 집이 가난하면 등록금 외에 용돈도 받을 수 있고 아파트도 제공 해준다. 돈 걱정이 없기 때문에 창업을 생각할 여유가 있다. 한국 학생들은 창업을 할 수 있는 여건이 부족하다.- 엑시트 중 한국은 상장을 많이 하는데 핀란드는 상장하기 어려울 것 같은데."비즈니스 핀란드는 매년 연말에 개인 소득세 20위 공개를 한다. 20위 중에 창업자와 핵심멤버가 7명이 있다. 초반에 비즈니스엔젤을 과하게 받거나 자본잠식을 하지 않고 국가펀드를 받았기 때문에 자기자본비율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초반에 비즈니스엔젤을 받았다면 지분을 많이 가지지 못하고 경영권 유지도 안됐을 수도 있다. 해외 투자자들이 와서 봤을 때 지분이 높고 투명하게 운영됐다는 것이 보인다.또한 사회적 신용도도 영향을 준다. 가장 핵심적인 것은 사회적 신뢰도가 차이가 나고 시스템도 그렇게 조직되어 있기 때문에 차이가 난다고 볼 수 있다.- 창업을 할 때 알토대에서도 지원받고 비즈니스 핀란드에서도 지원받았는지."비즈니스 핀란드에서 5만 유로를 지원받았고, 알토대에서는 멘토십, 슬러쉬 티켓, 슬러쉬 참가 등 다양한 혜택을 받고 있다. 한 달에 180유로 정도 회비가 전혀 아깝지 않을 정도로 많은 혜택을 받고 있다. 투자를 직접적으로 받고 있지 않다.- 신청할 때 서류를 사업신청서처럼 쓸 텐데 몇 번 만에 가능했는지."절대 평가를 진행하지만 평가기준이 높다. 우리는 노키아 퇴직자 지원프로그램으로 스타트업 멘토십에서 비즈니스 플랜의 기초를 검토받았기 때문에 여기서 심사를 통과하는데 거의 문제가 없었다. 심사하는데 부족한 부분은 피드백을 받는다.- 스타트업 에코시스템 구성 요소에 대학, 비즈니스 핀란드 등이 있는데 그들의 핵심 요소는? 공동창업자 찾기가 어렵다고 했는데 네트워킹이나 공동의 개념이 협력해서 하는 것을 강조하는 것 같은데."공동 프로젝트를 하는 것이 많다. 울루대학, VTT기술연구센터, 스톡만 백화점, 유람선 회사 등 컨소시엄을 만들어서 프로젝트를 제안하고 비즈니스 핀란드가 심사하고 돈을 주는 공동 프로젝트를 많이 한다.VTT기술연구센터가 프로젝트 매니저, 프로그램 매니저 역할을 하게 된다. 공동창업자는 커뮤니티 과정에서 계속 사람을 만나서 구해야 한다. 시스템적으로 멘토십, 이사를 제공하는 커뮤니티가 따로 있다.한국에는 있는데 핀란드에는 없는 것 중 하나가 특정 연령대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이 없다. 그러므로 저희 스타트업의 경우에도 다양한 나이대가 창업을 힘을 합쳐서 한다."- 국내에서는 대기업들이 스타트업이나 소기업의 아이디어를 탈취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북유럽은 스타트업을 육성하는 사회 전반적인 분위기가 있는데 이곳만의 특유의 문화가 어떤 것들이 있는지."사회적 신뢰도가 높기 때문에 대기업과 경쟁해도 빼앗기지 않겠다는 가정 하에 들어가는 것이다. 대기업에서 아이디어를 빼앗거나 비슷한 제품을 만들거나 할 수도 있지만 서로 믿고 가는 것이다.알토대학같이 쏟아 붓고 있는 노력이 사회 전체에 기여될 수 있다는 믿음이 있기 때문에 가는 것이고 굳이 투자자본수익률(ROI)을 따지지 않는 것이다.- 현재 스타트업센터에 입주해 있고 2년 뒤면 계약기간이 만료되는데."그 전에 성공해서 나갈 것이다. A그리드에 입주할 수도 있다. 이 센터는 1인 기업부터 10인 기업까지 자유롭게 공간을 활용할 수 있다.- 졸업하면 스케일업을 할 수 있는지."이곳은 2년 안에 살아남는 것이 일단 목표이고 결과가 별로면 그만두는 것이고 더 성장하면 발전을 해야 할 것이다. 위워크(Wework)같은 시스템도 많다.‘마리아 제로1’이라는 공간이 있는데 이곳은 스타트업 단지로 15,000m2 크기로 병원을 개조해서 창업지원기관으로 운영하고 있다- 스타트업이라고 부르는 기준은."5년까지는 스타트업으로 부르고 5년 이상은 중소기업이라고 부른다. 여러 가지 지원프로그램의 지원가능여부는 그것으로 따진다. 1인도 법인을 만들 수 있는데 그 기업에는 혜택이 별로 없다. 공동 창업자가 있어야 한다. 회사의 시스템을 갖추었다는 것을 보여주어야 한다.1인 창업자는 지원프로그램에서 제외된다. 1인 이상의 풀타임 창업자가 있어야 한다. 비즈니스 핀란드의 지원을 받으려면 최소 3만 유로를 자기자본으로 가지고 있어야 한다. 그래야 5만 유로를 지원받을 수 있다. 그러나 3만 유로에 대한 증빙은 따로 요청하지 않는다. 사회적 비용을 많이 안들이고 빠르게 전환을 하도록 넘어간다.- 핀란드인은 건물을 새로 짓는 것보다 리모델링한 건물을 더 선호하는 것 같던데."예를 들어 병원을 개조해서 창업지원기관으로 운영하고 있다고 했는데 세면대를 일부러 남겨 공간의 역사성을 강조하고 있다. 새로운 건물을 만드는 것 보다 그 안에서 새로운 재창조를 하는 것을 선호한다."□ 참가자 일일보고◇ ㅇㅇ도 신성장산업과 ㅇㅇㅇ 주무관◯ 사회적 신뢰를 기반으로 한 기업지원 시스템이 있어 ‘슬러쉬’가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기업을 지원할 때, 엄격한 기준을 적용하고 자원이 기준에 미치지 못하면 지속적인 컨설팅을 통해 계획의 완성도를 높여가고 있다.◯ 성과중심이기는 하지만, 성과를 우리나라만큼 중요시하지는 않는 분위기이다. 오히려 지원하기 전 사전 검토를 철저히 해서 지원 후 성과를 사회적 성과로 인정하는 시스템인 것 같다. 또한 신뢰를 기반으로 한 스타트업 장려를 통해 경제발전에 공헌하는 것을 유도한다.◇ ㅇㅇㅇㅇ평가단 평가팀 ㅇㅇㅇ 선임연구원◯ 포어싱크가 한국인 최초로 핀란드에서 스타트업을 설립한 사례가 될 수 있었던 핵심 이유들은 핀란드의 간단한 법인 설립, 국적·나이·출신을 가리지 않는 지원, 수평적인 조직 문화 등이 중요한 요인이라고 판단된다. 이는 한국뿐만 아니라 다른 어떤 나라와도 다른 것 같다.◇ ㅇㅇ테크노파크 기업지원단 ㅇㅇㅇ 대리◯ 한국인이 최초로 핀란드에서 창업한 기업이라는 것이 놀라웠다. 그 나라의 문화를 이해하며 파트너(여러 나라) 간의 믿음으로 운영한다는 것이 한국인으로서 배울 점이었다. 자금을 지원받기 위한 목적 혹은 글로벌 시장을 진출할 목적으로 신뢰하는 환경 구조가 상이함을 느꼈다.◇ ㅇㅇ테크노파크 정책기획단 ㅇㅇㅇ 전임◯ 알토스타트업센터는 우리나라 대학 창업지원센터, 보육센터 등과 비슷한 점이 많다. 해직 후 전환 교육 제공을 통해 새로운 직업을 찾도록 도와주는 시스템이 인상적이다.글로벌 지원사업을 진행할 때 핀란드의 창업생태계에 대한 벤치마킹이 반드시 필요할 것 같다. 핀란드에서 창업을 하더라도 핀란드 시장만이 아니라 글로벌 시장에 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할 수 있을 것이다.◇ ㅇㅇㅇㅇ평가단 평가팀 ㅇㅇㅇ 책임◯ 알토대학의 스타트업 지원프로그램을 통한 창업 초기 지원과 지속적인 성장 지원 컨설팅 및 교육은 스타트업 기업에게 도약할 수 있는 시스템을 체계적으로 제공하고 있다.우리나라의 창업보육센터와 비슷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으며 연구자 자신이 창업을 직접 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조건이 확보되어 있다.◇ ㅇㅇㅇ시 미래산업정책과 ㅇㅇㅇ 사무관◯ 우리나라 기업 활동의 영역을 굳이 국내로 한정시키지 말고 해외 기업에 개방적인 핀란드를 교두보로 삼아보라는 포어싱크 대표의 말이 인상적이었다.코트라가 현재 미·중 등 주요국에 진출해 있으나 면밀한 조사를 통해 좋은 조건을 제시하는 나라를 연결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 생각된다.◇ ㅇㅇ테크노파크 정책기획단 ㅇㅇㅇ 연구원◯ 전문가 지원이 다양한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기술·경영·자금 등 세분화된 전문가 컨설팅 시스템으로 소통 강화에 도움을 주고 있다.하지만 한국은 창업자가 자신의 기술에 대한 자부심이 커서 다양한 분야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지 않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기업이 실질적으로 도움이 된다고 느낄 수 있도록 각 분야 전문가들 매칭 시스템이 필요하다.◇ ㅇㅇㅇㅇ평가단 평가팀 ㅇㅇㅇ 책임◯ 기업이 창업해서 성장할 수 있도록 단계별 지원 전략이 잘 수립되어 있는 핀란드를 교두보로 한 우리 창업기업의 해외 진출을 고민해 볼 필요가 있다.◇ ㅇㅇ테크노파크 정책기획단 ㅇㅇㅇ 선임◯ 알토대 스타트업 기업이 ‘슬러쉬’의 스타트업 기업들에게 미치는 영향이 크다. 핀란드는 2000년대 초반까지 대기업, 조선업, 임업 등에서 한국과 유사한 구조였으나 지금은 다르다. 사회적 신뢰가 가장 큰 차별성으로 지역 내 지원이 필요한 기업들 중 신뢰를 바탕으로 한 고위험 고수익 지원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관의 주도로 에코 생태계를 구축 중이며, 사회적 이익을 창출할 수 있는 아이디어에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자금 지원을 할 때는 경쟁 개념이 아니라 절대 평가를 통한 자격 조건을 통과하면 비즈니스 핀란드 및 비즈니스 엔젤(인간 투자)을 통해 지원한다.◯ 신뢰를 바탕으로 한 자격 평가는 명확한 차이가 발생하고, 민간 투자의 규모도 크기 때문에 스타트업이 지원을 받는 경우가 많다. 우리나라의 지역 사업에 적용 가능한 부분은 자격 평가의 기준 설정을 통해 지원 기업 선정 결과를 구체화하는 것이다.◇ ㅇㅇ테크노파크 정책기획단 ㅇㅇㅇ 연구원◯ 대학의 학생들이 중심이 되어 슬러쉬를 기획하고 운영했다는 부분이 인상적이다. 학생들을 믿어주고 지원해주는 정책은 국내에도 시사하는 부분이 있다.스타트업 기업들이 처음부터 내수시장 진출을 목표로 시작하지 않고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한다는 점이 놀랍다. 펀딩을 받기 위해 글로벌 진출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는 점도 인상적이다.◇ ㅇㅇ테크노파크 정책기획단 ㅇㅇㅇ 주임◯ 대학이 단순히 학문적인 연구에만 치중하는 부분을 타 학부와의 융합을 통해 혁신을 이끌어가고 있다. 이처럼 산학협력을 보다 활성화하기 위해서 대학을 통한 혁신시스템 구축이 중요하다.◇ ㅇㅇㅇㅇ평가단 운영팀 ㅇㅇㅇ 팀장◯ IT 중심의 클러스터로 장기적 지속성이 부족해 보인다. 다만 산학협력을 통한 비즈니스 모델은 참고할 만하다.◇ ㅇㅇ시 첨단소재산업과 ㅇㅇㅇ 주무관◯ 슬러쉬라는 창업파티를 통해 젊은이들의 창업을 축제화시키고, 고위험 고수익이라는 목표 아래 사회적 신뢰를 전제로 지원하는 기업 문화에 놀라움을 느꼈다. 규제 혁신의 필요성에는 공감한다. 하지만 한국과는 인구와 면적 측면에서 큰 차이점이 있어서 단순 적용은 힘들어 보인다.
-
▲ 미국 LA통합교육구 가상아카데미(LAUSD Virtual Academy) 로고. □ 연수내용□ 방문 개요○ LA통합교육구 내 미팅룸에서 진행된 가상아카데미 연수는 LA통합교육구의 전환프로그램 총괄 책임자인 마이클 로메로(Michael Romero) 박사의 환영사로 시작됐다.연수는 로메로 박사의 가상아카데미와 참석자 소개, 6개 분야별 가상아카데미의 교육프로그램의 책임자들의 설명과 질의응답 순으로 오전 9시부터 11시까지 진행됐다.○ 로메로 박사는 “LA통합교육구의 온라인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책임자로서 한국 온라인교육의 최전선에 있는 방송중고 관계자들과 함께하는 오늘 연수가 무척 기대된다”며 연수단을 크게 환영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연수단을 위해 브리핑 현장에 참석한 총 13명의 학교 관계자를 소개했다. 그는 먼저 △가상아카데미의 중등교육 관리자 라타샤 벅(Latasha Buck) △특수 교육 관리자 라이언 모스(Ryan Morse) △학부모교육 코치 라우라 바뉴엘로스(Laura Banuelos) △운영관리자 헤수스 앙굴로(Jesus Angulo) △행정 코디네이터 엘리바베스 케인(Elizabeth Kane) △클라우디아 라미레즈(Claudia Ramirez) △마리 사(Marie Sa)를 소개했다.○ 이어 6개 분야 가상아카데미의 교장인 △베로니카 브라운(Veronica Brown, 예술 과 엔터테인먼트) △마르코 톨즈(Marco Tolj, 비즈니스와 기업가정신) △캐티 홍(Katie Hong, 컴퓨터과학) △토야 테이트 로즈(Toya Tat-Rose, 국제학과 세계언어 분야) △테레사 이즈퀘르도(Teresa Izquierdo, STEAM 리더십과 공공서비스) △마리아 오르제타(Maria Ozaeta, STEAM)도 소개했다.□ 아카데미 소개◇ LA교육구 지역민 대상 온라인 자율학습프로그램○ LA통합교육구 가상아카데미(LAUSD Virtual Academy, 이하 가상아카데미)는 LA통합교육구 지역 거주민을 대상으로 하는 온라인 자율 학습 교육프로그램이다. 중·고등학교 학습프로그램을 온라인으로 제공하여 다양한 상황에 있는 사람들에게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LA통합교육구에서 전면적인 원격학습을 도입할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가상아카데미의 중요성이 높아졌다고 한다.○ 아카데미는 대학 진학 및 취업을 위해 △예술 및 엔터테인먼트 △국제학 및 세계 언어 △ 리더십 및 공공서비스 △컴퓨터 과학 △STEAM 실습 △STEAM 비즈니스와 기업가정신 등 6개 분야 가상아카데미를 2022~2023년도부터 운영하고 있다.○ 가상아카데미에 교부되는 주 정부의 교육재정 지원금은 △교사 채용 △온라인 프로세스 제공과 유지관리 △학생을 대상으로 지급하는 컴퓨터, 태블릿 제공 등에 사용한다.○ 또한 이 지원금은 온라인 수업을 재미있고 흥미롭게 만드는 데 필요한 컴퓨터 콘텐츠 제작 기술을 배우기 위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데도 이용하고 있다.◇ 캘리포니아주 표준 졸업과정 제공○ 아카데미는 학생이 LA통합교육구의 교육 목표와 캘리포니아주 표준에 맞는 졸업 요건을 충족하면 졸업장을 받을 수 있는 졸업과정 교육프로그램이기 때문에 충족해야 할 동기가 명확해 지원자가 날로 늘어나고 있다.○ 이에 대해 로메로 박사는 “교육을 제공하는 것은 학생과 교사 및 학부모·보호자 간의 계약에 기반하고 있다”며 “일반적인 교육과정이 아니기 때문에 가족들과 학생이 지켜야 할 의무사항에 대해 명시하고 이에 대해 동의하는 가족과 학생만 입학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LA통합교육구 가상아카데미는 공립학교이므로 납세자의 세금인 공적 자금으로 운영되고 학생들에게 수업료가 부과되지 않기 때문에 학생의 재정적 상황에 관계 없이 다양한 학생들의 접근이 가능하다.또한, WASC의 인증 기관으로 가상아카데미에서 취득한 학점을 다른 학교로 이전할 수도 있고 모든 과정을 요건에 맞추어 수료하는 경우 공인 인증된 졸업장 취득이 가능하다.◇ 팬데믹 시기에 학생수 10배 이상 증가▲ 2021~2022년 펜데믹 이후 등록 학생 추이.○ 로메로 박사는 가상아카데미의 비전과 미션을 소개하며 “가상아카데미는 수업을 받는 모든 학생이 경쟁력 있는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라며 가상아카데미의 현황을 소개했다.○ 로메로 박사가 제시한 자료에 따르면, 가상아카데미는 코로나 이전에는 등록생 수가 1,600명 수준의 작은 규모였으나, 코로나 시기였던 2021년 1,000여 개의 학교, 1만8,000명 이상의 학생과 800여 명에 이르는 교사를 포함하는 거대한 규모로 성장했다.○ LA통합교육구의 방침이었던 코로나 백신 접종을 거부하는 교사와 학부모, 학생들이 오프라인 학교 출석도 거부하며 자발적으로 온라인에서 제공하는 대안교육프로그램을 찾으며 급격히 규모가 확장된 것이다.하지만 코로나 펜데믹의 종식과 함께 오프라인 학교 출석률이 다시 높아지면서 현재 등록생은 디사 6000여 명 내외로 줄어들었다고 한다.□ 교육과정◇ 매년 교사‧학생‧학부모 설문 통해 교과 설계○ 이 학교는 엔데믹 이후에도 오프라인 학교로 돌아가지 않고 온라인학교에 남은 학생을 위한 교육에 초점을 맞춰 교과를 재구성했다.▲ LA통합교육구 교육프로그램 설문 조사 결과.○ 6개 교과는 △스팀(STEAM) △국제학과 언어(International Studies & World Languages) △예술공연(Arts & Entertainment) △스팀 리더십과 공공서비스(STEAM Leadership & Public Service) △스팀 경영과 기업가정신(STEAM Business & Entrepreneurship) △컴퓨터과학(Computer Science)로 교육부 인증을 받았다.○ STEAM은 과학(Science), 기술(Technology), 공학(Engineering), 예술(Art), 수학(Mathematics)의 약자로 사용되는 개념으로 다양한 학문 분야를 통합하여 학생들에게 창의적인 문제해결, 협력, 창업 정신, 혁신 등을 발전시키는 교육 접근법이다.○ 로메로 박사는 “이를 위해 교육의 당사자인 선생과 학생, 가족, 커뮤니티에 매년 설문을 시행하여 교육프로그램을 설계하고 매달 교육과정이 제대로 된 방향성을 가지고 진행되는지 확인하는 과정도 거친다”고 말하고, 2022년 설문 결과를 시각화한 자료 화면을 가지고 설명을 이어갔다.◇ 영재교육‧고급과정‧직업기술‧영어학습 제공○ 가상아카데미는 영재교육(GATE), 고급과정(AP), 직업기술교육(CTE), 영어학습(EL)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학생들에게 학업과 개인적 성장을 위한 교육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학생들은 가상아카데미에 풀타임으로 등록하거나 온라인 수업과 전통적인 출석 수업을 결합해 수강할 수 있고, 각자의 상황과 필요에 따라 맞춤형으로 개별화한 교육과정을 선택할 수 있다.○ 이외에도 학습 과정에서 경험 많은 강사진에게 피드백과 지원을 받을 수 있으며 추가지원이 필요하거나 학업에 뒤떨어진 학생들의 요구를 충족하기 위한 특수교육과 학점회복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다.▲ 2022-2023 LAUSD 가상아카데미 제공 교육 과정.◇ 2주 간격으로 과제물 완수하면 출석 인정○ 가상아카데미에 등록한 학생은 실시간 영상 회의 플랫폼을 이용한 수업에 1주일에 1시간 이상 필수적으로 출석해야 한다.영상 수업은 교사와 학생의 관계뿐만 아니라 학생 간의 관계 형성에 도움이 되고,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을 가능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교사와 학생 간 커뮤니케이션은 공개 채팅방이 아닌 1:1채팅을 통해 진행하고 있다.○ 실시간 수업도 해야 하지만 온라인교육의 특성상 학생들은 정해진 콘텐츠를 자유롭게 학습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오프라인 수업과 같이 출석을 확인하지는 않고, 2주 간격으로 주어진 과제물을 완수하면 출석으로 인정하고 있다.◇ 온라인교육 교사는 기술적 역량도 중요○ 온라인 학습의 성공은 교사의 역량에 좌우된다. 실시간 영상 회의 플랫폼을 통한 비대면 수업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전문 과목에 대한 지식이나 교수법뿐만 아니라 효과적이고 효율적이며 상호작용이 가능한 흥미로운 수업이 될 수 있도록 진행하는 기술적인 역량도 매우 중요하다.○ 가상아카데미는 줌(ZOOM) 수업을 통해 선생님과 학생이 동시에 접속하여 상호작용을 하는 방식을 선호한다. 학생의 실시간 참여 촉진을 위해 참여 학생에게 포인트를 주고 학점에 도움이 되는 방법을 활용하고 있다.▲ LA통합교육구 가상아카데미의 교사용 수업 관리 화면.○ 교사는 수업 중 부여한 과제물을 통해 학생의 학업 성취정도를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학생에게 즉시 피드백을 주어 수업의 목적을 성취하도록 한다.○ 오프라인 학교의 1일 학교 수업 시수는 6시간인데, 가상아카데미로 표준교육을 준수해야 하므로 온라인 수업은 오전 9시부터 12시까지 3시간, 그 이후는 과제물 자습시간 3시간을 통해 시수를 충족하고 있다.○ 1교시는 ‘수업 40분 후 자습 15분’으로 이루어지며 자습시간에 학생은 선생님께 질문을 할 수 있고 전체를 대상으로 설명하거나 질문 학생과 별도의 화상회의 방을 만들어 피드백을 주기도 한다.□ 학점회복 프로그램◇ 학습지연 대상자와 장애인을 위한 서비스 제공○ 가상아카데미는 학생들의 동기 부여를 위해서 학습적인 지원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정서적인 필요를 파악하고 문제를 해결해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따라서 학습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생에게는 상담서비스, 사회 정서적 학습프로그램 등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여 부진 학생들이 문제를 해결하고 학습에 집중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재학생의 연령대는 4세부터 22세로 다양한데 보통 18세 이전에 고등학교 과정이 종료되지만 학습능력 저하의 문제가 있거나 신체적 결함으로 학습 속도가 느린 경우처럼 다양한 문제로 졸업이 늦춰지는 경우가 있어 학점회복 프로그램을 집중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재학생 중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이민자가 전체의 16%, 신체적 결함을 가진 경우가 19%, 학습환경이 좋지 않은 아프리카계 미국인이 14%로 절반 정도를 차지하는데 이들을 위한 보완학습을 체계적으로 진행하고 있다고 한다.○ 학점회복 과정은 교과 과정에 뒤처져 졸업을 위한 학점 보충이 필요한 학생들에게 제공되는 프로그램으로 학생들이 개선이 필요한 특정 영역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맞춤 학습계획이다.학점회복 과정 수강생들은 일정과 학습 속도를 유연하게 조정하며 튜터링을 통해 진도와 일정에 맞춰 학습을 진행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매주 교사와 학부모, 학생이 온라인 미팅을 하고 있다.○ 장애인 학생을 위한 지원과 서비스로는 텍스트 음성 변환 소프트웨어와 스크린 리더, 언어치료 및 작업치료 서비스 등이 있다. 장애인 학생들은 보조 기술을 활용하거나 특수교육을 받은 전문가들에게 지원을 받고 있다.□ 질의응답- 온라인학교의 특성상 학생들의 동아리 활동을 지원하는 것이 쉽지 않을 것 같다. 동아리 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수요가 있을 텐데 이러한 동아리 활동에 대한 운영 또는 지원 방법은."화상회의 플랫폼과 토론 게시판, 학생 전용 온라인 플랫폼과 같은 가상 플랫폼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동아리 활동에는 독서, 토론, 코딩, 봉사활동 같은 것이 있다.또 일부 선생님들은 자원봉사 차원에서 직접 오프라인 동아리를 만들어 이벤트나 장기자랑을 조직하고 있다. 특히 온라인에서는 스포츠 활동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오프라인에서 지역 스포츠 클럽이나 커뮤니티 센터와 협력해 학생들의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학생들은 수업료 없이 교육받고 있다고 했는데 자금은 어떤 방법으로 조달하고 있으며 지원되는 자금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가상아카데미는 LA통합교육구(LAUSD) 소속 교육기관으로, LAUSD에 속한 다른 학교와 똑같이 자금지원을 받는다. 운영 자금은 주로 연방 자금과 캘리포니아주에서 지원되고 있다.자금은 출처에 따라 교육 이니셔티브, 특수 교육 서비스, 전문성 개발이나 또다른 필요한 특정 영역을 지원하는데 활용되기도 하다. 학생 등록, 출석이나 특정 학생의 필요와 같은 요건에 따라 주에서 추가로 자금을 할당받기도 한다."- 가상아카데미는 선생님과 학생의 비율이 어느 정도 되는지 궁금하고 학생들의 학습 진도와 성취도를 어떻게 평가하고 관리하고 있는지."교사와 학생 비율은 1 :30 정도로 교사 한 명이 약 30명의 학생을 관리하고 있다. 다른 온라인 아카데미에 비해 교사가 관리해야 하는 학생 수가 적은 편이기 때문에 학생별로 맞춤화된 지원과 관리를 해주기에 유리하다.특히 초등프로그램에서는 선생님 한 명이 배정되면 커리큘럼이 끝날 때까지 선생님이 바뀌지 않고 유지된다. 이는 선생님과 학생이 신뢰관계를 쌓고 커뮤니케이션을 잘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학생들의 진도와 성취도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인 커뮤니케이션과 모니터링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 담당 교사는 온라인을 통한 가상 튜터링과 학업상담, 학습 지원을 통해 학생들과 소통하고 있다.학부모도 자녀의 학습지원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요청하고 있다. 필요하면 학생이나 학부모와 오프라인으로 미팅을 해서 협의를 한다거나 온라인 채팅을 통해 상담도 하고 있다."- 학습에 부진한 학생들을 위해 특별히 지원 하고 있는 것이 있다면."학생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기 위해서는 학습적인 지원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정서적인 필요를 파악하고 문제를 해결해주는 것이 필요하다.따라서 학습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생에게는 상담서비스, 사회 정서적 학습프로그램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해서 학생들이 문제를 해결하고 학습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
▲ 미국 LA통합교육구 가상아카데미(LAUSD Virtual Academy) 로고. □ 연수내용□ 방문 개요◇ 운영 총괄 책임자의 환영사와 참석자 소개○ LA통합교육구 내 미팅룸에서 진행된 가상아카데미 연수는 가상아카데미 소개, 가상아카데미에 속해있는 6가지 개별 교육프로그램의 책임자 및 관계자들의 설명과 질의응답 순으로 진행됐다.학교 운영 총괄 책임자인 마이클 로메로(Michael Romero) 박사의 환영사로 시작된 연수는 오후 1시 30분부터 시작하여 오후 3시 30분까지 진행됐다.○ 로메로 박사는 2팀이 가상아카데미를 방문했을 때도 발표를 맡았었다. 그는 “이전 한국의 다른 팀이 방문했을 때 굉장한 열의를 느꼈다. 오늘은 연수단의 질문에 더 구체적이고 정확하게 답변하기 위해 더 많은 관계자들이 참석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날 연수를 위해 참석한 분들을 소개했다. 2팀이 방문했을 때 참석한 중등교육 관리자 라타샤 벅(Latasha Buck), 아카데믹 컨설팅 담당자 헤수스 앙굴로(Jesus Angulo), 학부모교육 코치 라우라 바뉴엘로스(Laura Banuelos), 특별교육 관리자 라이언 모레즈(Ryan Morse), 행정 코디네이터 엘리바베스 케인(Elizabeth Kane), 클라우디아 라미레즈(Claudia Ramirez)를 먼저 소개했다.이어 이날 새로 연수에 참여한 아카데믹 컨설팅 담당자 헤수스 앙굴로(Jesus Angulo), 교사 평가 담당자 코니 브랜스테터(Connie Brandstetter)도 차례로 소개했다.○ 가장 먼저 로메로 박사는 가상아카데미의 비전과 미션을 소개했다. 그는 “가상아카데미는 LA통합교육구 지역에 개인화된 온라인 학습 서비스를 제공해, 수업을 받는 모든 학생이 경쟁력 있는 인재로 평가될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학교”라고 강조했다.로메로 박사의 발표내용은 2팀의 LA교육구 가상아카데미 연수내용과 거의 동일하다. 이 가상아카데미는 2개 팀이 방문 연수를 진행했다.□ 아카데미 소개◇ 전통적인 현장 수업을 탈피한 온라인 정규 교육 제공○ LA교육구 가상아카데미(LAUSD Virtual Academy, 이하 가상아카데미)는 지역사회에 개인이 독립적으로 온라인을 통해 중·고등학교 수준의 교육을 제공해 다양한 상황에 처한 사람들에게 공부할 기회를 제공하는 통합 시스템이다.가상아카데미는 COVID-19 펜데믹으로 LA교육구가 전면 원격 학습을 도입할 필요성을 느끼면서 중요성이 높아졌다.○ 가상아카데미는 모든 학생이 21세기 성공적인 학습자와 리더, 모든 산업 분야에서 글로벌로 경쟁할 수 있는 역량을 가진 준비된 인재로 성장하도록 학습자에게 개별화된 학습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주 정부의 교육재정 지원금은 교사 채용, 온라인 프로세스 제공과 유지관리, 학생을 대상으로 지급하는 컴퓨터, 태블릿 등에 사용한다.온라인 수업을 재미있고 흥미롭게 만드는 데 필요한 컴퓨터 콘텐츠 제작 기술 등에 대해 교사 연수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데 이용해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 코로나19 시기 등록생 수 300%까지 증가○ 가상아카데미는 코로나 이전에는 등록생 수가 1,600명 수준의 작은 규모였으나, 코로나 시기였던 2021년에는 1,000여 개의 학교, 1만8,000명 이상의 학생과 800여 명의 교사가 일하는 규모로 성장했다.LA통합교육구의 방침이었던 코로나 백신 접종을 거부하는 교사와 학부모, 학생들이 오프라인 학교 출석도 거부하며 온라인에서 제공하는 교육기관을 찾으며 급격히 규모가 확장된 것이다.그러다가 코로나 대유행 종식과 함께 오프라인 학교 출석률이 다시 높아지면서 현재 등록생은 6000여 명 내외로 축소됐다고 한다.○ 가상아카데미는 LA통합교육구의 커리큘럼 목표와 캘리포니아주 표준에 맞는 졸업 요건 충족을 통해 졸업 증서를 수여할 수 있는 곳이니만큼 기준이나 의무사항이 명확하다.○ 이에 대해 로메로 박사는 “교육을 제공하는 것은 학생과 교사와 학부모·보호자 간의 계약에 기반하고, 일반적인 교육과정이 아니기 때문에 가족들과 학생이 지켜야 할 의무사항에 대해 명시하고 이에 대해 동의하는 가족과 학생만 입학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교육프로그램◇ 영재교육‧고급과정‧직업기술‧영어학습 제공○ LA통합교육구 가상아카데미는 공립학교이므로 납세자의 세금인 공적 자금으로 운영되고 학생들에게 수업료를 부과하지 않기 때문에 재정적 배경에 관계 없이 다양한 학생들의 접근이 가능하다.또한 WASC의 인증 기관으로 가상아카데미에서 취득한 학점을 다른 학교로 이전할 수도 있고 모든 과정을 요건에 맞추어 수료하는 경우 공인 인증된 졸업장도 받을 수 있다.○ 가상아카데미는 영재교육(GATE), 고급과정(AP), 직업기술교육(CTE), 영어학습(EL)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 학생들에게 학업과 개인적 성장을 위한 교육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학생들은 가상아카데미에 온라인 수업과 전통적인 출석 수업을 결합해 수강할 수 있고, 각자의 상황과 필요에 따라 맞춤형으로 개별화한 교과를 선택할 수 있다.○ 이외에도 학습 과정에서 경험 많은 강사진에게 피드백과 지원을 받을 수 있으며, 추가지원이 필요하거나 학업에 뒤떨어진 학생들의 요구를 충족하기 위한 특수교육과 학점회복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다.▲ 2022-2023 LAUSD 가상아카데미 제공 교육과정.□ 6개 교과 운영○ 최근 엔데믹 이후에도 오프라인 학교로 돌아가지 않고 온라인학교에 남은 학생을 위한 교육에 초점을 맞춰 교과를 재구성했다.○ 재구성한 6개 교과는 △스팀(STEAM) △국제학과 언어(International Studies & World Languages) △예술공연(Arts & Entertainment) △스팀 리더십과 공공서비스(STEAM Leadership & Public Service) △스팀 경영과 기업가정신(STEAM Business & Entrepreneurship) △컴퓨터과학(Computer Science) 등으로 이 교육과정은 교육부로부터 인증을 받았다.○ 로메로 박사는 “이를 위해 교육의 당사자인 선생과 학생, 가족, 커뮤니티에 매년 설문을 시행하여 교육프로그램을 설계하고 매달 교육과정이 제대로 된 방향성을 가지고 진행되는지 확인하는 과정도 거친다”고 말했다. 2022년 설문 결과를 시각화한 자료 화면을 가지고 설명을 이어갔다.▲ LA통합교육구 교육프로그램 설문 조사 결과 그래픽.◇ 2주 간격으로 과제물 완수하면 출석 인정○ 가상아카데미에 등록한 학생은 실시간 영상 회의 플랫폼을 이용한 수업에 1주일에 1시간 이상 필수적으로 출석해야 한다.영상 수업은 교사와 학생의 관계뿐만 아니라 학생 간의 관계 형성에 도움이 되고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을 가능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교사와 학생 간 커뮤니케이션은 공개 채팅방이 아닌 1:1 채팅을 통해 진행하고 있다.○ 실시간 수업도 해야 하지만 온라인교육의 특성상 학생들은 정해진 콘텐츠를 자유롭게 학습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오프라인 수업과 같이 출석을 확인하지는 않는다. 2주 간격으로 주어진 과제물을 완수하면 출석으로 인정하고 있다.◇ 온라인교육 교사는 기술적 역량도 중요○ 온라인 학습의 성공은 교사의 역량에 좌우된다. 가상아카데미의 수업은 실시간 영상 회의 플랫폼을 통한 비대면 수업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전문 과목에 대한 지식이나 교수법뿐만 아니라, 효율적이며 상호작용이 가능한 흥미로운 수업이 될 수 있도록 진행하는 기술적인 역량도 매우 중요하다.○ 가상아카데미는 줌(ZOOM) 수업을 통해 선생님과 학생이 동시에 접속하여 상호작용을 하는 방식을 선호한다. 학생의 실시간 참여 촉진을 위해 참여 학생에게 포인트를 주고 학점에 도움이 되는 방법을 활용하고 있다.○ 교사는 수업 중 부여한 과제물을 통해 학생의 학업성취도를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학생에게 즉시 피드백을 주면서 수업의 목적을 성취하도록 하고 있다.▲ LA통합교육구 가상아카데미의 교사용 수업관리 화면.○ 오프라인 학교의 1일 학교 수업 시수는 6시간인데, 가상아카데미로 표준교육을 준수해야 하므로 온라인 수업은 오전 9시부터 12시까지 3시간, 그 이후는 과제물 자습시간 3시간을 통해 시수를 충족하고 있다.○ 1교시는 ‘수업 40분 후 자습 15분’으로 이루어지며 자습 시간에 학생은 선생님께 질문을 할 수 있고 전체를 대상으로 설명하거나 질문 학생과 별도의 화상회의 방을 만들어 피드백을 주기도 한다.□ 학점회복 지원◇ 학습지연 대상자와 장애인을 위한 서비스 제공○ 가상아카데미는 학생들의 동기 부여를 위해서 학습적인 지원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정서적인 필요를 파악하고 문제를 해결해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따라서 학습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생에게는 상담서비스, 사회 정서적 학습프로그램 등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여 부진 학생들이 문제를 해결하고 학습에 집중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재학생의 연령대는 4세부터 22세로 다양한데, 보통 18세 이전에 고등학교 과정이 종료되지만 학습능력 저하의 문제가 있거나 신체적 결함으로 학습 속도가 느린 경우처럼 다양한 문제로 졸업이 늦춰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학점회복 프로그램을 추진하는 것이다.○ 재학생 중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이민자가 전체의 16%, 신체적 결함을 가진 경우가 19%, 학습환경이 좋지 않은 아프리카계 미국인이 14%로 절반 정도를 차지하는데 이들을 위한 보완학습을 체계적으로 진행하고 있다고 한다.○ 학점회복 과정은 교과 과정에 뒤처져 졸업을 위한 학점 보충이 필요한 학생들에게 제공되는 프로그램으로 학생들이 개선이 필요한 특정 영역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맞춤 학습계획이다.학점회복 과정 수강생들은 일정과 학습 속도를 유연하게 조정하며 튜터링을 통해 진도와 일정에 맞춰 학습을 진행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매주 교사와 학부모, 학생이 온라인 미팅을 하고 있다.○ 장애인 학생을 위한 지원과 서비스로는 텍스트 음성 변환 소프트웨어와 스크린 리더, 언어치료 및 작업치료 서비스 등이 있다. 장애인 학생들은 보조 기술을 활용하거나 특수교육을 받은 전문가들에게 지원을 받고 있다.□ 질의응답- 기존 오프라인학교를 다니던 학생들도 동시에 가상아카데미를 활용해 중복으로 학점을 이수할 수 있는지."공립교육시스템은 하나로 관리되며, 예산 또한 하나로 묶여 있어서 다른 일반학교와 가상아카데미의 프로그램을 동시에 진행할 수는 없다.결과적으로 일반학교에 등록한 학생은 학교에 전학, 자진 퇴학 등 학적이 사라지지 않는 한 가상아카데미에는 등록할 수 없다. 반대로 가상아카데미에 등록된 학생은 일반학교에 등록할 수 없다.다만 하나 예외가 있다면 일반학교 학생 중에 AP 코스를 이수하고 있는 학생의 경우에는 학기가 종료되면 가상아카데미에 등록해 정규 교육과정을 이어서 이수할 수 있다."- 학부모들이 온라인교육에 구체적으로 어떤 방식으로 참여하고 있는지."학부모는 최초 입학을 할 때 동의한 대로 학업 중에는 학습내용을 모니터링해야 할 의무를 지고 있다. 만약 교사나 학부모, 학생 중 한쪽이라도 교육을 진행하면서 특별한 일이 있거나 의문이 들었을 때는 언제든 상담을 요청할 수 있다. 또 매주 월요일마다 부모와 교사가 학생의 상황과 성과, 태도 등을 주제로 상담을 진행하고 교육내용을 공유한다."- 학생의 수업 태도나 결과가 좋지 않을 경우는 어떻게 바로잡는지."선생님과 학부모 그리고 학생 간에 연결되어 있는 비공개 대화를 통해 상황을 전달한다. 부모가 경제적 이유로 모니터링에 완벽히 참여하지 못하는 경우 선생님들이 매주 학부모와 만나서 학생들의 상황과 배경을 공유해 원인을 찾고 다시 학습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처음에 서명한 마스터 계약에서 학부모가 가상아카데미의 학습 방식을 확실히 이해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다른 다양한 대응방식을 학부모와 함께 논의해 대처한다."
-
▲ 인도 미디어 복합기업인 지 엔터테인먼트(Zee Entertainment Enterprises) 로고인도 미디어 복합기업인 지 엔터테인먼트(Zee Entertainment Enterprises)에 따르면 소니(Sony) 인도 자회사와의 US$ 100억 달러 규모의 합병 계획이 무산됐다.2년 동안 협상 기간을 거치며 합의점을 찾지 못했기 때문이다. 지 엔터테인먼트와 소니의 인도 합병체는 글로벌 미디어 파워하우스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됐었다.소니 측에서 합병 계획을 철회하며 지 엔터테인먼트의 주가는 30% 하락했다. 지 엔터테인먼트의 자금 문제와 국내 미디어 유통망 내의 손익 부족을 우려한 것으로 조사됐다.지 엔터테인먼트의 2022/23 회계연도 광고 매출액은 US$ 4억8800만 달러로 5년 전과 비교해 6억 달러 하락했다. 또한 현금 보유고는 5년 전 1억1600만 달러에서 2022/23 회계연도 8600만 달러로 축소됐다.
-
2022-02-10미국 글로벌 가상화폐 거래 플랫폼인 바이낸스(Binance)에 따르면 2022년 2월 8일 대한민국 다국적 엔터테인먼트 기업인 YG 엔터테인먼트(YG Entertainment)와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파트너쉽 체결을 통해 암호화폐, 대체불가능토큰(NFT), 메타버스(Metaverse)를 포함한 블록체인 산업에의 영향을 급증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할 계획이다. 메타버스 구축과 바이낸스 기반의 게이밍 플랫폼과 앱 개발, 디지털 자산 소유 및 거래 공간 구축을 목표로 정했다. YG 엔터테인먼트의 케이팝(K-pop) 내 다양한 분야의 지적 자산 권리를 활용한 디지털 자산으로 독특한 서비스와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바이낸스(Binance) 로고
-
2021-12-16세계최대 장난감 기업 MGA 엔터테인먼트(MGA Entertainment)에 따르면 $US 250억달러 규모의 L.O.L 서프라이즈 트레이딩 카드의 최초 NFT 기반 카드를 출시할 계획이다.2021년 연말이 되기 전 전세계 소매점에 5000만개의 개인 카드가 포함된 1000만개의 물리적 카드게임 팩이 도착될 예정이다.L.O.L 서프라이즈 구매자들은 QR코드를 받아 스캔하면 Play L.O.L Surprise 포털에서 온라인 상품으로 교환할 수 있다. 디지털 트레이딩 카드, 토큰, NFT 또는 물리적 소장품의 디지털 버전 등이 포함된다.미국 내 월마트, 타겟, 월그린, 유럽의 테스코, 아스다, 스미스, 아마존 등을 포함해 전세계 2만개의 주요 소매점에서 1000만개의 카드 팩을 판매한다. MGA 엔터테인먼트의 L.O.L 서프라이즈 브랜드 트레이딩 카드를 구매하는 고객에게 NFT 컬렉션을 함께 제공하게 된다. 구매자들은 L.O.L. Surprise Art Gallery에서 보며 L.O.L. Art Shop에서 추가로 NFT를 구매할 수 있다. 제한된 드롭을 통해 새로운 컬렉션을 사용할 수 있다.참고로 2021년 9월 MGA와 NFT 기업 Loconic은 제휴했다. NFT컬렉션을 호스팅하기 위해 폴리건(Polygon)의 레이어 2 블록체인을 활용하고 있다.▲ MGA 엔터테인먼트(MGA Entertainment) 홈페이지
-
2021-11-16홍콩 게임 소프트웨어 및 벤처 캐피탈업체 애니모카(Animoca Brands)에 따르면 한국 음반사 큐브 엔터테인먼트(Cube Entertainment)와 'K-Pop 메타버스(K-Pop Metaverse)'를 구축하기로 합의했다.큐브엔터테인먼트 소속 인기 배우와 K-Pop 뮤지션을 기념하는 멀티미디어 NFT를 만들 계획이다. 아티스트 초상화, 앨범 아트, 정규앨범과 같은 디지털 음원 등도 포함된다.이번 협업을 통해 큐브엔터테인먼트의 아티스트와 팬 모두에게 진정한 디지털 재산권, 기타 블록체인 혜택이 돌아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애니모카는 2020년 포뮬라 1(Formula 1)과 글로벌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해 F1 델타 타임(F1 Delta Time) 게임을 출시했다.2020년 말 바이낸스(Binace)가 주최한 초기 거래소에서 메타버스 자회사 샌드박스(Sandbox)의 가상 토지 NFT를 US$ 300만달러 규모로 판매했다.2021년 11월 초 샌드박스는 NFT 메타버스 확장을 위해 9300만달러를 추가로 모금하기도 했다. 또한 2020년 포뮬라 1과 계약해 F1 델타 타임 게임을 론칭했다.▲ 애니모카(Animoca Brands) 홈페이지
-
2021-07-20영국 금융감독원(FCA)에 따르면 암호화폐 투자와 관련된 위험에 대해 시민들에게 경고하기 위해 £1100만파운드를 지출했다.금융감독원의 역할과 사업 계획의 일환으로 상기 지출금으로 암호화폐 투자 위험을 알리는 디지털 마케팅 캠페인을 추진했다. 젊은층에서 암호화폐 투자가 증가하는 것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암호화폐 투자를 오락거리로 인식하고 있지만 이러한 비이성적인 행동으로 상당한 손실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18세에서 30세 사이의 사람들은 소셜 미디어에 이끌릴 가능성이 더 높아 디지털 기술이 접목된 암호화폐 투자를 더욱 매력적으로 인식한다.이에 따라 홍보 캠페인 또한 디지털 홍보 캠페인으로 진행하기로 결정했다. 가장 큰 문제는 젊은층이 금융감독원이 접근하고 관여하기에 매우 어려운 소비자층이라는 점이다.모든 돈을 잃을 각오를 해야할 만큼 암호화폐 투자는 위험요소가 크다고 지적한다. 오해의 소지가 있고 사회적으로 무책임한 암호화폐 투자 광고에 현혹되지 않길 촉구했다.▲금융감독원(FCA) 홈페이지--------------UK FCA will spend £11M to warn people about investing in cryptoU.K. financial regulators have announced an 11 million pound digital marketing war chest to warn people about the dangers of crypto investments.15 july 2021The United Kingdom’s Financial Conduct Authority (FCA) created an 11 million pound ($15.2 million) digital marketing campaign to warn citizens about the risks associated with crypto investments.Nikhil Rathi, chief executive of the FCA, made this known in a draft speech for the agency’s webinar titled “Our Role and Business Plan” delivered on Thursday.Detailing the FCA’s decision to create the campaign fund, Rathi stated that the U.K. regulator is concerned about the increasing adoption of crypto investment among the younger demographic.According to Rathi, “more people are seeing investment as entertainment” and that such irrational behavior may lead to significant losses on their part:“This is a category of consumer that we are not used to engaging with: 18 to 30-year-olds more likely to be drawn in by social media. That’s why we are creating an £11m digital marketing campaign to warn them of the risks.”According to Rathi, the risks involved in crypto investments are “stark,” with the FCA boss restating the agency’s popular refrain that people should be “prepared to lose all their money” if they invest in cryptocurrencies.The FCA’s digital marketing campaign is coming on the heels of actions taken by the U.K.’s Advertising Standards Authority against crypto ads that are deemed “misleading and socially irresponsible.”As previously reported by Cointelegraph, the U.K. ad watchdog agency ordered crypto exchange platform Luno to halt its “time to buy” Bitcoin (BTC) advert. Earlier in July, the advertising regulator announced a crackdown on cryptocurrency-related ads, which the body described as a “red alert” priority.Apart from the crypto warning campaign, the FCA boss also stated that the agency will continue to focus on robust examinations of “financials and business models” for operators in complex markets like cryptocurrencies, especially in the area of Anti-Money Laundering (AML) compliance.------------------------------
-
미국 부동산 개발업체인 MSG 엔터테인먼트(Madison Square Garden Entertainment Corp.)에 따르면 MSG 네트워크(MSG Networks Inc.)를 합병할 계획이다.엔터테인먼트와 미디어 산업으로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한 목적이다. 2023년까지 US$ 16억달러 가치의 MSG Sphere를 완성할 예정이다.MSG 네트워크는 2015년 설립됐으며 스포츠와 엔터테인먼트 사업부가 모기업으로부터 분사했다. 합병으로 MSG 네트워크의 주주들은 MSG 엔터테인먼트의 주식을 받는다.2021년 3월 10일 기준 양사의 주가를 기반으로 합병비율이 정해졌다. MSG 네트워크의 1주당 MSG 엔터테인먼트의 주식 0.172주로 산정했다.▲MSG 엔터테인먼트(Madison Square Garden Entertainment Corp.) 로고
-
2020-08-27나이지리아 유료디지털TV 플랫폼운영기업인 스타타임스(StarTimes)에 따르면 유료 디지털TV의 이용 가격을 상향 조정했다.80개의 채널을 제공하는 기본상품 가격은 1개월 N1300나이라에서 1700나이라로 인상됐다. 100개의 채널을 제공하는 클래식상품 가격은 1개월 1900나이라에서 2500나이라로 올랐다. 스타타임스는 부가가치세(VAT) 인상과 함께 회사의 운영비에 영향을 준 환율에 따른 가격 상승이라고 주장했다. 나이지리아 역시 중국발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집에 머무는 사람들이 증가하면서 지난 3개월 동안 유료TV의 고객 수가 늘어났다.스타타임스 이외에도 DStv, Gotv 등도 이용 가격을 인상시킬 것으로 전망된다. 인상폭이 아직은 크지 않아 고객들의 저항은 우려되지 않은 상황이다.하지만 전문가들은 데이터 용량이 무료가 아니며 전기공급도 원활하지 않아 또다른 발전 설비 세트를 구입하는 등 비용이 추가될 것을 고려하라고 조언한다.참고로 스타타임스는 나이지리아를 비롯한 아프리카대륙 내 국가들에서 활발한 디지털TV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중국의 전자 및 미디어기업이다. ▲스타타임스(StarTimes) 홈페이지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