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Petronas"으로 검색하여,
5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1-06-29말레이시아 국영 에너지 기업인 페트로나스(Petronas)에 따르면 남아프리카공화국 연료 소매업체인 엔젠(Engen)의 퇴출에 대한 논의를 다시 시작한 것으로 드러났다.페트로나스는 엔젠의 지분 74%를 매각 또는 상장(IPO)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잠재적인 인수자들로부터 관심을 받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2020년 연초 페트로나스는 엔젠의 상장을 논의했지만 거래가 성사되지 않았다. 2019년 연말 기준 엔젠의 총 자산은 R408억랜드(US$ 29억달러)로 집계됐다. 2020년 12월 엔젠은 화재 발생 이후 1일 12만배럴 규모의 정유시설을 저장시설로 전환하기로 결정했다. 엔젠은 1881년 설립됐으며 2021년 6월 기준 아프리카 7개국에 1280개의 주유소를 소유하고 있다. ▲엔젠(Engen) 홈페이지
-
말레이시아 국영석유기업인 페트로나스 가스(Petronas Gas Bhd)에 따르면 42킬로미터 규모의 가스 파이프라인을 건설 및 설치할 계획이다.비용은 5억4100만링깃으로 기존의 PGU(Peninsular Gas Utilisation) II와 풀라우 인다(Pulau Indah)의 발전소와 연결된다.해당 발전소는 1억3700만큐빅피트의 천연가스 공급이 필요하다. 프로젝트는 2023년 1분기까지 완료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3년간 추진할 프로젝트 파이낸싱은 RHB Islamic Bank Bhd가 담당하며 최대 투자금은 RM13억링깃이며, 30개월간 유효하다.▲페트로나스 가스(Petronas Gas Bhd) 플랜트(출처 : 홈페이지)
-
2021-01-14글로벌 에너지 컨설팅기업인 CITAC에 따르면 최소 2022년까지 남아프리카공화국 정유 용량의 43%를 차지하는 2곳의 석유정유소가 폐쇄될 것으로 예상된다.스위스 및 영국의 다국적 에너지기업인 글렌코어(Glencore), 말레이시아 국영에너지기업인 페트로나스(Petronas) 등의 남아공 국내 석유정유소들이다. 2020년 7월 글렌코어의 계열사인 에스트론 에너지(Astron Energy)는 치명적인 폭발과 화재 사고가 발생했다. 이후부터 2021년 1월 현재까지 1일 10만 배럴의 케이프 타운(Cape Town) 정유소를 재가동하지 못하고 있다.페트로나스의 자회사인 엔젠 홀딩스(Engen Holdings)의 더반(Durban)정유소 역시 화재 사고 이후 2020년 12월 생산을 중단했다.▲CITAC 홈페이지
-
말레이시아 친환경기술공사 Greentech에 따르면 2020년까지 국내 전기자동차(EV) 보급량을 10만대까지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동시에 전기충전소도 2만5000개까지 구축할 예정이다.EV 프로젝트와 관련해정부 차원에도 올해인 2016년 11월 미국의 전기자동차인 테슬라S 100대를 대여해 각종 테스트를 진행할 계획이다. 이는 EV에 대한 직접적인 홍보가 주목적이다.또한 당사에서는 220만링깃을 투자해 충전소 수십개를 추가로 설치할 계획이다. 충전소는 주요 고속도로에 위치하며 석유소매업체인 Petronas Dagangan과 합작사업으로 전개될 예정이다.하지만 현재 EV 보급량은 110~120대, 전기충전소도 100여개에 불과하기 때문에 비용과 시간이 더욱 소요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EV 소비층에 대한 보조금도 검토돼야할 것으로 판단된다.경제전문가들은 아직 EV에 대한 수급이 부족하고 수억링깃 상당의 지출이 요구되고 있지만 향후 석유소비 및 탄소배출량의 감소로 얻는 다양한 기회비용을 고려한다면 효율적인 투자라고 주장했다.▲테슬라 홈페이지
-
2016-10-06말레이시아 해양유전서비스업체 Perdana Petroleum에 따르면 2016년 10월 석유업체 페트로나스(Petronas)와 해양지원선박 17척에 관한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공급될 선박은 업무형소형선박(workboat) 2척, 해양작업예인선(AHTS) 8척, 바지선(barge) 10척 등이다. 2019년 9월까지 약 3년간 공급계약이 이행되며 계약금은 6700만링깃이다.▲Perdana Petroleum 홈페이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