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3
"PwC"으로 검색하여,
28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4-05-24□ 팬데믹으로 친환경 의식이 높아지고, 그린슈머가 부상◇ 이상기온 및 기후변화로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특히, 코로나 팬데믹 이후 이에 대한 관심도가 크게 증가** 환경파괴·생태계 교란에 따른 새로운 질병의 대유행을 우려○ ’20년 글로벌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BCG Survey)에 따르면, 응답자의 약 70%가 팬데믹 발생 이후 환경문제를 더 심각하게 인식하게 되었다고 답변◇ 또한, ’19년과 ’21년의 글로벌 소비자 대상 조사(PwC Survey) 결과를 비교해보면, 친환경 제품을 구매하고 친환경 포장으로 이루어진 소비를 한다는 응답이 약 20%p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소비자들의 그린슈머*(Greensumer) 성향이 강해졌으며, 향후에도 일반 소비자가 그린슈머화 되는 현상이 지속될 전망* 그린슈머(Greensumer) : ‘그린(green)’과 ‘컨슈머(consumer)’의 합성어로, 친환경 제품을 구매하는 소비자를 지칭. 이들은 ‘가치소비’를 주된 소비패턴으로 가지며, 경제성보다는 자신들의 친환경적 가치에 좀 더 높은 관여도를 보임▲ 팬데믹 전후 친환경 제품 구매▲ 팬데믹 전후 친환경 포장 제품 선호□ MZ 세대를 중심으로 친환경 소비가 트렌드로 정착◇ 그린슈머는 MZ 세대에 다수 포진되어 있어 이들을 중심으로 친환경 소비가 주요 트렌드로 정착되어 가는 상황◇ MZ 세대는 단순히 물건을 구매하는 데에서 그치지 않고 사회적 가치나 특별한 메시지를 담은 “물건을 구매해 자신의 신념을 표출”하는 이른바 미닝아웃(Meaning Out) 소비를 지향,○ 일반 제품 대비 가격이 비싼 친환경 제품에 대해서 높은 지불의사를 보이며 높은 가격대의 친환경 제품을 구매하는 경향이 뚜렷* 전문가들은 이를 ‘트레이딩업(Trading Up) 소비성향’이라 정의: 중저가의 상품을 구매하던 중산층 소비자가 고품질·감성적인 만족을 위해 기꺼이 높은 가격을 지불하는 소비패턴▲ 친환경 제품 선호 비중▲ 친환경 제품 추가지불 의사※ 일반적으로 베이비부머 세대(’55~’64년생), X세대(’65~’80년생), 밀레니얼 세대(’81~’96년생), Z세대(’97~2010년대 초반)로 구분□ 국내에서도 친환경 소비재 시장의 규모가 커지는 상황◇ ’20년 국내 친환경 소비재시장 가치는 30조 원에 육박해 ’01년(1조5,000억 원) 대비 20배 성장○ 관련 제품과 인증기업 수도 ’01년 대비 각각 300배, 20배 이상 증가하는 등 국내의 친환경 시장 규모도 크게 증가하는 추세○ 전체 소비재 내 친환경 소비제품이 차지하는 비중도 ’01년 1.2%에서 ’20년 8%까지 높아진 가운데, 올해는 전체시장의 10%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 국내 친환경 제품 수 및 시장가치 현황▲ 국내 친환경 인증기업 현황 (개)◇ 한국무역협회에서 지난 2월 국내 소비재 수출기업 409개 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 결과○ 51.3%의 기업이 ‘친환경 트렌드가 자사의 수출 및 매출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답하였으며 팬데믹 이후 친환경 제품 수요가 높아졌다는 기업도 52.1%에 달함◇ 아울러, 친환경 제품 수출 시 겪는 애로 사항으로는 ‘가격 경쟁력 하락’이 31.2%로 가장 많았으며, 친환경 인증 획득(19.3%), 친환경 제품 마케팅(15.8%), 낮은 브랜드 인지도(15.3%) 순으로 나타남○ 이어 필요한 지원에 대해서는 ‘친환경 인증 획득 지원(25.7%)이 1위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금융지원(25.2%), 마케팅 지원(22.9%), R&D 지원(15.8%) 순으로 답변□ 정부·자치단체에서는 친환경 소비를 독려하기 위한 시책을 추진◇ 정부는 국민의 탄소중립 생활실천 문화 확산과 친환경 소비를 독려하기 위해 지난 1월부터 ’탄소중립 실천포인트제‘를 시행○ 전자영수증, 리필스테이션(세제·샴푸 등), 다회용기 사용, 친환경 차 렌트 등에 대해 포인트를 적립하고 현금, 상품권 등으로 전환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함◇ 자치단체에서는 민간 기업과 협업하여 리필스테이션을 확대하거나 친환경 소재를 활용한 제품 생산을 추진하는 한편,○ 지역 내 기업의 글로벌 친환경 인증 지원을 위한 사업도 추진< 자치단체별 추진 시책 내용 >◇ 서울시지난해 12월 세제·샴푸·화장품 등 리필이 가능한 제품을 필요한 만큼 개인용기에 구매할 수 있는 ‘제로마켓’을 대형마트, 백화점 등 10곳에 개장◇ 제주도’20.4월 효성TNC와 지역자원 순환 프로젝트 추진 업무협약을 체결, 제주에서 분리배출·수거된 페트병을 효성TNC*에서 리사이클 섬유(리젠제주)로 생산한 뒤 가방, 의류 등의 프로모션 상품을 개발하여 생산·판매* ’21년에는 서울시와 협약을 체결하여 친환경 섬유(리젠서울)을 활용한 가방·의류를 제작·판매◇ 경기도지난 4.15일 도내 섬유·패션 기업을 대상으로 한 ‘글로벌 친환경 인증* 지원사업’을 발표, 2억원의 사업비로 20여개사를 지원할 계획이며, 글로벌 친환경 인증 교육 및 컨설팅을 통해 기업별 최대 2개의 인증 획득을 돕겠다는 방침* 친환경 인증 분야: △ 블루사인(bluesign) △ 오코텍스(oekotex) △ 히그인덱스(higgindex) △ 지알에스(grs)□ 정책적 시사점◇ 전문가들은 기후변화와 팬데믹을 거치면서 과거 친환경에 비교적 수동적이었던 소비자들이 그린슈머로 성장, 기업변화를 보다 적극적으로 요구하는 등 친환경 소비트렌드는 거스를 수 없는 흐름임을 지적◇ 그린슈머의 친환경 요구는 단편적인 제품과 생산공장 차원에서 더 나아가 기업 경영활동의 전과정과 기업의 신념에까지 확대· 강화되고 있으며, 우리 수출에 미치는 영향도 점차 커지고 있어,○ 이들의 특징을 파악한 판매·홍보전략을 마련하는 등 기업들의 적극적인 대응전략 마련이 필요함을 주장◇ 국내 수출 중소기업들의 글로벌 친환경 소비재시장 공략을 위해서는 기업들의 노력 외에도 정부 차원에서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함을 강조○ 친환경 제품 개발·수출하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해외마케팅 및 R&D 자금을 집중적으로 지원해야 하며,○ 친환경 제품 수출 성공사례의 전파, 친환경 시장 진출 노하우를 공유함으로써 기업들의 동기부여를 고취하여야 함을 주장○ 국내의 친환경 인증마크가 해외에서 인정*받을 수 있도록 국제협력을 확대하는 한편, 국내기업이 주요국의 친환경 인증 취득을 할 수 있도록 지원이 필요함을 강조* 미국, 캐나다, 중국, 일본, 북유럽 등과는 상호인정협정 체결로 국내 인증마크(환경성적표지)가 상호 인정되고 있음
-
2024-01-30▲ 영국 회계기업인 프라이스워터하우스쿠퍼스(PwC) 로고영국 회계법인인 프라이스워터하우스쿠퍼스(PwC)에 따르면 2022년 인도 기업들의 인수합병(M&A)이 103건이며 거래 규모는 US$ 1590억달러를 기록했다. 2021년 M&A 거래액과 비교하면 29% 상승해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 이전을 초과했다. 글로벌 주요 국가들과 비교해 안정적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2022년 M&A 부문에서 대규모 거래는 20건을 상회했다. 이러한 M&A 거래액은 1070억달러로 2021년과 비교해 2배 증가했다.
-
▲ 영국 왕립요트협회(RYA) 로고□ 수로 항해 및 수상스포츠 활성화를 위한 가이드라인 제공○ 왕립요트협회(RYA)는 1875년 영국 내 요트 경주의 진흥을 위해 요트 경주 협회로 설립되었으며 1953년 엘리자베스 2세 여왕에게 왕실 칭호를 받아 왕립요트협회가 됨.○ 현재는 항해 경주, RIB 및 스포츠 보트, 윈드서핑, 개인 선박을 위한 공인 관리기관이 되었으며 특히 내륙 수로 항해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대표 기관으로 활동○ 안전한 항해를 위한 기본 안전 절차와 가이드라인 제공, 일기 예보에 이르기까지 항해 분야 전반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고 있는 RYA는 58개국에 2400여 개의 공인교육센터와 1500개 이상의 RYA 네트워크를 운영○ 또한 보트와 수상스포츠 활동의 홍보와 안전한 보트 운행 독려, 영국 요트와 항해 표준을 제공하는데 기여하고 있으며 영국에서 역할 외에도 국제사회에서 영국 보트와 선원들의 이익을 대변하고 보트 및 항해를 홍보○ 협회의 회원들은 주말에 취미로 요트를 모는 일반인부터 올림픽 경기에 출전하는 선수까지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음□ 영국의 항해 인재 육성을 위한 지원과 교육 프로그램 운영○ RYA의 중요한 역할 중 하나는 요트와 보트 등 개인 선박 소유자 대상 교육과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기본 항해부터 고급 경주와 근해 항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코스를 제공○ 특히 젊은이들이 요트 관련 활동과 수상 스포츠에 참여하도록 장려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데 대표적인 프로그램으로는 젊은 선원들에게 훈련과 인증을 제공하는 RYA Youth Saling Scheme과 청년들에게 요트와 윈드서핑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OnBoard드 프로그램이 있음.○ 주요 교육으로는 △항해기술 △모터 크루징 △파워보팅 △윈드서핑 △당기세일링 △개인 선박(Personal watercraf, PWC) 등이 있으며 자격을 갖춘 RYA 강사가 되고자 하는 사람들을 위한 강사 교육 프로그램도 운영○ RYA에서 제공하는 인증과 프로그램은 전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RYA는 영국 보트 커뮤니티의 중요한 조직으로서 교육, 안전 및 항해 활동 홍보를 위한 노력으로 업계 내에서 영향력 있는 기관으로 자리잡고 있음.▲ RYA는 영국 보트 커뮤니티의 중요한 조직으로서 교육, 안전 및 항해 활동 홍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현장사진 ▲ 왕립요트협회의 전경.
-
영국 다국적 회계감사 법인인 EY에 따르면 러시아와 벨라루스에서 사업을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동종업계 기업인 딜로이트(Deloitte), KPMG도 이와 같은 결정에 동참했다. 최근 PwC는 러시아 자회사인 PwC 러시아(PwC Russia) 사업을 중단한다고 공개적으로 밝혔다. 글로벌 회계법인들은 러시아 사업을 중단하는데 수개월 또는 수년이 걸릴 것으로 예상했었다.하지만 미국, 영국 및 유럽연합(EU)의 러시아에 대한 경제 제재가 한층 강화되면서 예상보다 아주 빠르게 사업중단을 결정했다.다국적 회계법인뿐만 아니라 많은 다국적 기업들이 러시아에서 철수함으로써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응하고 있다. 기업들은 러시아 및 벨라루스의 사업을 영구적으로 중단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하지만 많은 다국적 기업들은 향후 법적으로 러시아 및 벨라루스 협력사 및 자회사 등의 법인들을 분리하는 절차를 밟을 것으로 전망된다. 법적인 사업체 분리가 실현될 경우 러시아 및 벨라루스에서 유명한 모기업의 브랜드 및 회사명을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세계 4대 회계법인이 러시아 및 벨라루스에서의 사업을 중단하면서 영향을 받게 될 러시아 및 벨라루스 직원은 ▶EY는 4700명 ▶딜로이트 3000명 ▶KPMG 4500명 ▶PwC 3700명 등이다.▲EY 로고
-
2022-03-09영국 다국적 회계 감사기업인 PwC에 따르면 러시아 푸틴 정부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러시아 사업을 중단할 계획이다. PwC는 세계 4대 회계법인 중 하나이다. PwC의 러시아 자회사인 PwC 러시아(PwC Russia)의 3700명 파트너 및 직원에게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PwC의 결정으로 딜로이트(Deloitte), EY, KPMG 등은 선례를 따르도록 압력을 받게 될 것이다.하지만 글로벌 회계법인들은 PwC처럼 러시아 사업을 중단하기까지 수개월 또는 수년이 걸릴 정도로 복잡한 과정이 촉발될 것으로 예상된다.PwC의 러시아 사업 철수는 우크라이나 침공의 여파로 러시아와 관계를 끊는 일련의 주요 기업들 중 가장 최근 사례가 된다.마크스 앤 스펜서(Marks & Spencer), 넥스트(Next) 등과 같은 회사들을 포함한 소매업, 소비재 산업에서부터 미디어와 스포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산업에 걸친 러시아 대탈출이 이뤄지고 있다.많은 다국적 기업들이 러시아에서의 영구 철수를 선언하기보다는 러시아에서의 활동을 중단한 사례가 더 많다. 지난 10일 동안 많은 다국적 기업들이 러시아를 떠났다.PwC 이전 영국 기업들 중 가장 중요한 러시아 탈퇴 발표는 러시아 국영석유공사인 로즈네프트(Rosneft)의 지분을 매각하기로 한 석유대기업인 BP의 결정이었다.▲PwC 로고
-
2022-02-10영국 재무보고위원회(FRC)에 따르면 글로벌 회계법인인 PwC의 회계감사 부실에 대한 조사를 진행한 것으로 드러났다. PwC는 국내 최대 건설업체 중 2곳인 갈리포드 트라이(Galliford Try), 키어(Kier)의 회계감사를 맡고 있다.정부 산하 기관이자 회계감독당국인 재무보고위원회(FRC)는 2년 전 갈리포드 트라이의 계좌에 대한 변경을 명령했다. 2018년 6월까지 갈리포드 트라이가 £9430만파운드의 자산을 과대 계상한 것을 발견했기 때문이다.재무보고위원회(FRC)는 갈리포드 트라이에 대한 PwC의 감사를 심사한 결과 장기계약의 회계처리와 매출 부문도 포함시킨 것을 적발했다. 키어는 2018년 부채로 인해 위기에 빠졌으며, 2018년 회계 오류의 폭로로 수백만명의 주주들이 큰 피해를 입었다. 2022년 2월 현재 PwC가 키어의 회계감사를 맡고 있다.▲PwC 홈페이지
-
영국 글로벌 회계법인 PwC에 따르면 2021년 미국 지분 증명 블록체인 플랫폼 테조스(Tezos)의 에너지 효율성이 70%로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이는 연간 테조스 네트워크의 에너지 소비량이 단지 17명이 사용하는 것과 같다. 탄소발자국 감소 및 에너지 소비 감소 측면에서 에너지 효율성이 크게 개선됐다.테조스 블록체인은 5000만건의 거래를 기록해 네트워크 활동이 증가했으나 탄소 배출량은 크게 감소했다. 네트워크의 각 트랜잭션당 에너지 효율성을 70% 증가시켰다. 트랜잭션당 예상 전력 요구량은 2020년 대비 30% 줄어들었다. 테조스 네트워크의 연간 에너지 추정 소비량은 0.001테라와트시(TWh)로 비트코인(BTC) 130TWh 대비 13만대, 이더리움(ETH) 26TWh 대비 2만6000배 효율이 높다. 테조스는 거래당 2.5g의 CO2를 소비한다.▲ 테조스(Tezos) 홈페이지
-
2021-07-14케냐 B2B 소매 유통 플랫폼 제공업체인 마켓포스(MarketForce)에 따르면 프리 시리즈 A 라운드에서 US$ 200만달러를 모금했다. 마켓포스는 상기 모금액을 상인들을 위한 자사의 B2B 전자상거래 시장인 레자레자(RejaReja) 사업에 집중 투자할 계획이다. 마켓포스의 상기 라운드에 참여한 투자업체들은 다음과 같다. P1 Ventures, Y Combinator, Launch Africa, V8 Capital, Future Africa, GreenHouse Capital, Rebel Fund, Remapped Ventures 등이다.글로벌 컨설팅업체인 PwC에 따르면 2016년 기준 아프리카 주요 경제에서 매출의 90%가 시장 및 가판대와 같은 비공식 채널을 통해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사하라사막 이남 아프리카(SSA) 지역에서는 비공식 채널을 통한 가계 소매 거래의 90%가 1억개의 초소형 및 소형업체(MSME)들의 네트워크를 통한다.대부분 현금으로 지급되는 아프리카의 소매 지급액은 2025년까지 2조1000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관련 시장의 디지털화에 대한 수요는 급증할 것으로 전망된다.▲마켓포스(MarketForce) 홈페이지
-
2021-04-05영국 다국적 회계감사 대기업인 PwC에 따르면 2021년 7월과 8월 두달 동안 2만2000명의 직원들이 금요일에 오전에만 근무하거나 재택근무 중이라면 근무 시간의 절반만 일하도록 할 계획이다.PwC는 직원들과 협상을 통해 직원들이 원한다면 전체 근무 시간의 평균 40%에서 60%%까지 원격 근무에 사용하도록 허용할 방침이다. 또한 직원들은 근무방식에서 더 효과적이라면 정해진 날짜에 업무를 시작하거나 마치는 시간을 변경할지 등을 결정할 수 있다.유연근무를 오랫동안 추진해 온 PwC는 가정과 사무실에서 일하는 것의 혼합 방식을 점진적으로 확대할 방침이다.▲PwC 홈페이지
-
영국 글로벌 컨설팅기업인 PwC(PwC Japan Group)에 따르면 일본 기업 경영자 중 향후 1년 동안 기업이 성장할 것으로 믿는 사람은 11%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지난 8년 동안 기업경영에 자신감을 갖고 있는 경영자는 글로벌 평균보다 낮았다. 경영자가 자심감이 없다면 기업이 좋은 실적을 내기 어렵다.일본 경제학자인 케이이치 카야(加谷珪一)에 따르면 2012년부터 시작된 아베노믹스에도 불구하고 국내 경제는 정체됐다. 정부의 대규모 금융완화 정책에도 불구하고 기업의 설비투자가 증가하지 않기 때문이다.경영자와 마찬가지로 회사원의 10%가 일을 하지 않는 사내 실업자의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부의 다양한 정책 노력에도 불구하고 경제가 호전되기 어려운 이유다.▲PwC(PwC Japan Group) 로고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