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 자치행정과, 2021년 직업계고 졸업자 취업 현황_211206
직업계고 졸업자의 취업 유지 비율은 낮은 수준
박동완 대기자
2024-05-03 오후 1:19:49
□ ’21년 직업계고 취업률이 지난해 대비 소폭 증가

◇ 지난 2일 교육부에 따르면 ’21년 직업계고(특성화고·마이스터고·일반고 직업반) 전체 졸업자 78,994명 중 취업자는 2만2,583명으로 집계

○ 취업률은 전년 대비 4.7%p 증가한 55.4%로 나타남


▲ 2020년 대비 2021년 졸업자 졸업 후 상황 (단위: 명, %)



* 취업률 = 취업자 / [졸업자-(진학자+입대자+제외인정자)] x100 / 진학률 = 진학자/졸업자 x100

** 제외인정자 : 사망자, 외국인유학생, 해외봉사단, 장애인, 수형자, 장기입원자(6개월 이상)

◇ 학교유형별로는 마이스터고의 취업률이 75%(전년 대비 3.8%p 상승)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특성화고 53.4%, 일반고 직업반 35.9%순임

○ 교육부 관계자는 마이스터고는 교육과정 편성 때부터 산업체가 참여하고 맞춤형 프로그램, 산학겸임교사 활용도가 높으며 사업체와 연결될 수 있는 분야가 많기 때문으로 설명


▲ 직업계고 졸업 후 현황



▲ 학교 유형별 취업률


◇ 직업계고 졸업자의 취업률은 고등교육기관(전문대 이상) 졸업자 취업률(67.1%, ’19년 기준)과 비교시 11.7%p 낮게 나타남

○ 고등교육기관 진학률은 45%이나, 실제 진학 인원 수는 약 3만5천명으로 취업자 수(약 2만2000명, 28.6%)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남

< 원인 분석 >

○ 교육부는 산업구조 변화, 정보기술(IT) 발달 등으로 고졸 일자리가 축소되고 전문대졸 이상 인력수요가 확대됨에 따라 더욱 심화된 수준의 직업교육 수요가 증가한 것으로 분석

○ 직업계고 졸업자들은 실제 고졸 취업자에 대한 차별과 편견이 있어 직장생활이 쉽지 않으며 대졸과 고졸의 벽을 실력으로만 넘기에는 한계가 있어 전문대학을 졸업해서라도 대졸 졸업장을 받으려는 학생이 많아졌다는 의견

○ 전문가들은 소득이 높아지면서 직업구조가 고도화된 영향이며 대학의 장학금 제도가 잘 되어 있어서 형편이 몹시 어려운 가정이 아니면 진학에 큰 부담이 없다고 설명

□ 학교 소재 지역별 취업 현황

◇ 직업계고 졸업자의 취업률은 55.4%이며 지역별로는 경북이 65.1%로 가장 높았으며 전북이 49.1%로 가장 낮은 취업률을 보임

○ 그 외는 대구, 대전, 충북, 경남, 인천, 충남, 전남, 서울 순임

◇ 한편 직업계고 졸업자의 진학률은 45.0%이며 지역별로는 제주가 60.2%로 가장 높았으며 경북이 30.2%로 가장 낮은 진학률을 보임

○ 그 외는 부산, 충북, 울산, 대구, 광주, 경기, 전북, 세종 순임

※ 시·도별 취업률과 진학률 간의 유의미한 상관관계는 없는 것으로 파악


▲ 시·도별 취업률 현황



▲ 시·도별 진학률 현황


◇ 수도권(서울·인천·경기) 취업률은 53.9%, 비수도권 취업률은 56.5%로 비수도권의 취업률이 수도권보다 2.6%p 높은 것으로 나타남

○ 근로지역 기준으로 살펴보면 수도권 소재기업 취업자 비중이 55.5%, 비수도권 소재기업의 취업자 비중은 44.5%로 수도권으로의 취업비중이 훨씬 높은 것(11%p ↑)으로 나타남

○ 특·광역시의 취업률은 55.9%, 도지역은 54.9%로 특·광역시의 취업률이 소폭 높은 것으로 나타남

⇒ 학교 소재지의 수도권 소재 여부보다는 일자리의 소재지인 근로 지역의 수도권 소재 여부가 취업자 비중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

□ 직업계고 졸업자의 취업 유지 비율은 낮은 수준

◇ 지난해 졸업자들의 취업 6개월 후의 1차 유지취업률은 77.3%이며, 1년 뒤의 2차 유지취업률은 65%로 집계

○ 전문대 졸업생 1년 유지취업률 75%(’19년 기준)와 4년제 대졸자 유지취업률 81%(’19년 기준)와 큰 격차를 보임

◇ 학교 소재지별로 2차 유지취업률은 서울이 70.5%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인천 69.2%, 대전 68.4%, 충북 67% 순으로 나타남

○ 1차 유지취업률 대비 가장 큰 폭으로 감소된 지역은 울산과 경북으로 각각 17.8%p이며, 제주 15.3%p, 전북 14.3%p 순으로 나타남

○ 1차 유지취업률 대비 가장 감소폭이 적은 지역은 충북 6.9%p로 나타남

⇒ 관계자는 공단 밀집지역의 위치와 업종이 지역별 취업률과 유지취업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 또한, 지역마다 취업의 질적 요소가 다를 수 있으며, 유지취업률이 높은 서울의 경우에는 사무직 등이 많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며 정확한 지역적 요인을 분석 중이라 설명

□ 정부는 고졸 취업 활성화 정책을 적극 추진할 계획

◇ 교육부는 코로나19 상황이 지속되고 청년들의 불황 체감도가 높은 상황에서 직업계고 취업역량 강화, 산업수요 맞춤형 일자리 발굴, 기업 유인책 제공 확대 등을 적극 추진할 계획

○ 직업계고 졸업자들의 18개월 후의 3차 유지취업률까지 조사해 취업자의 고용 안정성 등 질적 측면을 분석할 예정

◇ 최근 발생한 현장실습 사고와 관련하여 관계기관 등과 협력하여 제도 개선 방안도 발표할 예정
저작권자 © 파랑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카카오톡 공유 보내기 버튼
관련 기사
Digest 분류 내의 이전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