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VDE, 국가 차원의 연구개발(R&D) 평가관리시스템 지휘
박사학위 취득자 가운데 5년 이상 산업계에 근무한 전문가들로 내부 평가요원 구성
○ 독일의 R&D 지원과 평가 지휘
독일의 R&D 지원과 평가를 진두지휘하는 기관은 'VDI/VDE-IT'이다. 이곳의 R&D지원에서 가장 큰 중점을 두는 것은 '혁신가치'이며 이외에 비용절감, 경제효과, 고용효과 등을 염두에 두고 장기적인 지원을 하고 있다.
VDI/VDE-IT는 1978년 독일 중앙정부(BMFT)의 연구개발 프로그램 중 정밀기계, 정보통신 분야 기술개발에 대한 R&D관리를 수행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VDI가 모태이며 1986년 VDE와 합병했다. VDI/VDE-IT에는 110명의 각계 전문가들이 근무하고 있으며 부서는 기술, 사업개발, 사회경제 이슈, 유럽 혁신, 지원프로젝트 관리 분야 등이 있다.
○ MST와 InnoNet 프로그램 운영
VDI/VDE-IT에서 운영하는 지원 프로그램은 MST(Micro System Technology)프로그램과 InnoNet프로그램으로 나뉜다. MST프로그램은 기업, 국공립연구소 등을 대상으로 연구개발비를 지원하며 주로 기계, 전자, 정보통신분야에 지원한다.
이 프로그램은 반드시 중소기업과 연구기관이 동시에 참여해야 하며 주로 중대형 장기과제다. InnoNet프로그램은 산학협력 증진, 기업의 연구역량 확대, 연구소의 보유기술 이전 등을 주 내용으로 하고 있으며 지원 분야는 제한이 없다. 컨소시엄 형태의 연구를 지향해 반드시 2개의 연구소와 4개의 기업이 공동으로 참여해야 한다. 최대 3년의 단기 소형 과제 위주다.
○ 크로스 체킹 방식의 평가관리
평가관리는 박사학위 취득자 가운데 5년 이상 산업계에 근무한 전문가들로 내부 평가요원을 구성해서 추진한다. 평가 시에는 내부평가요원과 외부평가요원이 크로스 체킹하는 시스템으로 운영된다.
기술적인 목적 달성도, 기술개발경과의 상업화, 비용집행의 적정성 등을 평가지표로 삼고 있다. VDI/VDE-IT는 독일의 실용주의를 대변하는 기관으로 연구개발 역시 상용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VDI/VDE-IT를 방문하여 R&D 지원과 평가에 대한 브리핑을 추진하였다.
○ 독일의 R&D 지원 방법
기술 왕국 독일의 R&D 지원은 다각적이고 체계적이다. 기술개발과제 선정에서부터 지원, 평가가 '에스컬레이터식'으로 단계적으로 이루어진다. 규모면에서도 유럽은 물론 세계에서도 손꼽을 만하다.
올해 독일의 중앙정부 예산은 전년 대비 0.38%(10억 유로)증가한 2,583억 유로이다. 이 가운데 중앙정부의 과학예산은 110억7,600만 유로다. 전년 대비 2.28% 증액된 수치로 전체 예산 대비 4.29%에 해당한다.
과학예산은 R&D 예산과 기타 예산을 포함한다. R&D예산은 전년 대비 2.0% 증액된 89억5,930만 유로이며 중앙정부 전체 예산 대비 3.47%에 달한다. 기타 예산은 학술지도, 교육, 과학기술활동에 대한 지출 예산을 말한다.
독일 R&D 예산의 특징은 연구개발 주무부처인 교육연구부의 R&D 예산이 크게 증가했다는 점이다. 과학예산의 증가는 대부분 R&D 예산의 증가로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반면 식품, 농업 및 산림부의 예산이 크게 감소했다. 독일이 강점을 갖고 있는 기술에 집중하는 한편 농업 등 노동집약적인 산업의 예산을 줄여나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 IT, BT에 중점 지원
독일이 중점을 두고 지원하는 R&D 분야는 기초연구를 위한 대규모 장비(전년 대비 3.33% 증액), 정보기술(1.54%), 바이오기술(3.68%), 재료기술(3.29%), 항공연구와 극초음파기술(5.14%) 등이다. 이들 예산은 기초연구를 위한 대규모 장비부문을 제외하고 대부분 순수 연구예산이다.
VDI/VDE-IT의 주요 업무 중 하나는 EU 협력이다. VDI/VDE-IT가 EU 협력의 중추세력으로 삼고 있는 것은 TAFTIE(Through the Association for Technology Implimentation Europe)이다.
TAFTIE는 EU 16개국 17개 기관이 연합해 만든 R&D 기구로 공동의 연구를 통해 유럽의 기술발전을 이끌자는 취지에서 만들어졌다. 이 기구의 출범으로 유럽은 단일통화 뿐만 아니라 기술개발에서도 하나의 권역을 이루었다고 평가하고 있다.
○ 연 1회 기술과제 선정
VDI/VDE-IT는 연 1회 기술과제를 선정한다. 접수 후 자금지원 시까지 약 6∼9개월 소요된다. 과제 평가기준은 프로그램 목적 적합성, 중소기업의 참여도, 연구결과의 실용화 가능성, 시장 기대효과 등을 고려한다. 평가 또한 우리나라와는 사뭇 다르다.
내부 평가인력이 과제별로 2인 1조로 1차 사전 검토 후 평가위원회에 심의를 의뢰한다. 사전 검토시 부정을 막기 위해 인터뷰 및 일체의 방문접촉을 금지한다. 사전검토에서는 약 2.5배수의 접수과제를 선정 후 1차 평가위원회에 상정한다.
내부 평가요원은 박사학위 후 산업계 5년 이상 근무한 전문가로 1인당 연평균 5∼6개의 과제를 관리한다. 평가위원회는 내부 전문가 평가와 외부 전문가 평가 등 이중구조로 되어 있다.
중간 및 최종 평가관리는 과제별로 수시 점검하고 집행금액은 후불 정산한다. 1차년도 완료 후 내부평가인력을 대상으로 세미나를 개최하고 2차년도 공개 세미나를 실시한다. 경우에 따라 외부기관을 통해 기술개발 결과에 대한 만족도를 설문조사한다.
독일의 R&D는 중소기업을 우대하고 기업과 연구소의 공동연구가 전제돼야 한다. 정부는 R&D예산을 배정하고 시행은 VDI/VDE-IT와 같은 기술평가기관에서 담당하되 지원 여부는 정부가 최종 확정한다. 선정에서 평가에 이르기까지 최고의 전문가들이 평가에 참여해 성공률을 최대한 높이는 데 역점을 두고 있다.
□ GMM-VDE 자료
기관방문은 아쉽게도 무산되었지만 연수단이 출국한 뒤 이메일을 통해 VDE의 평가관리시스템에 관한 자료를 받아 볼 수 있었다. 번역한 자료를 요약했다.
□ GMM–VDE/VDI - Gesellschaft, Mikroelektronik, mikro-und feinwerktechnik
○ GMM - 소명
마이크로 일렉트로닉, 마이크로 시스템, 나노 기술과 정밀 엔지니어링은 독일 산업의 생산성 혁신의 원동력이다. GMM은 이런 분야에 집중하여, 기술분야, 엔지니어링 분야, 과학계를 통합하는 네트워크를 설립하는 것을 소명으로 하고 있다.
○ GMM – 개괄
• VDI와 VDE를 포함한 총 회원수 : 8,100명
• 50개의 위원회
• 2개의 젊은 과학자와 개발엔지니어를 대상으로 한 권위 있는 상(賞)
• 메카트로닉스에 대한 회원지 발간
○ GMM - 목표
• 기술적 토론의 장 제공
• 워크숍과 컨퍼런스 주최
• 전략 연구 보고서 작성
• 정치적인 영향력 행사
• 네트워킹
• 젊은 엔지니어 지원
• 기술적 가이드라인 제공
○ GMM - 주요 컨퍼런스
• EMLC – 전 유럽 마스크와 리토그라피 컨퍼런스
(주: 반도체 생산공정 관련)
• 이크로 시스템 기술 회의
• EBL 컨퍼런스 (Elektronische Baugruppen und Leiterplatten)
• EMV in der Kraftfahrzeugtechnik 컨퍼런스
[GMM – 조직표]
○ FB1 : 마이크로 일렉트로닉스 테크놀로지, 나노 일렉트로닉스 테크놀로지
FB1부의 주요 관심사는 마이크로 일렉트로닉스 테크놀로지와 나노 일렉트로닉스 테크놀로지 분야로서, 생산 장비 제조분야부터 소재, 상품 전체 제조 과정까지를 포함하고 있다. 주요 의제는 생산 장비 제조, 상품 제조, 프로세스 모듈, 그리고 디바이스 모델링, 시뮬레이션을 포함하는 양극공정(바이폴라)과 CMOS 등의 공정이다.
위원회는 각 분야의 개별 기업과 응용 분양의 대표자들로 구성된 회원 간 광범위한 경험의 교환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 위원회
- 생산과 장비 제조 : 장비와 소재, 자동화, 수율(收率) 개선, 테스트 장비와 테스트 방법, 생산
- 공정 : 리토그라피, 이온 주입, 스푸터링과 식각, 금속 열 확산 장치, 화학 기계적 연마공정, 공정 제어
- 전단부 처리 과정 : 베이시스, CMOS, Bipolar/GeSi-반도체, III/V 반도체, 시뮬레이션
○ FB2 : 고밀도 집적회로 응용, 나노 전자공학 응용
FB2 부서의 활동의 주요 초점은 광학을 포함한 아날로그와 디지털 서킷과 시스템 개발에 있다. 이 개발에 따라 복잡도(Complexity Metric)를 증진시킬 수 있는 새로운 응용 기법이 가능하게 된다.
최근 부각되고 있는 이 분야의 활동은 늘어나고 있는 기술 응용 분야와 생산 분야에서 고밀도 집적회로와 나노 일렉트로닉스의 주요 영향력을 반증하고 있다.
FB2 부서가 기획하는 것은 기술과 전략 연구보고서를 출판이다. 또한 보고서에는 워크숍과 컨퍼런스 조직과 로드맵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다. 모든 활동은 ITG의 연관 부서와 긴밀한 협조 아래 이루어지고 있다.
△ 계획된 FB2 기술팀:
- 자동차 생산 부분의 서킷과 시스템 응용
- 정보통신 분야의 서킷과 시스템 응용
○ FB3 : 정밀 엔지니어링과 메카트로닉스
FB3 부서의 주요 활동은 마이크로시스템과 정밀엔지니어링 상품의 개발, 디자인, 엔지니어링, 생산과 조립이다.
기술적 장치들은 기능과 특성, 부품에 의해 고려된다. 메카트로닉스와 정밀 엔지니어링은 여러 가지로 응용이 가능한 기술이며, 마이크로 테크놀로지와 나노 테크놀로지 등 여러 가지 신기술 발달에 그 근간을 두고 있다.
△ 위원회
- 극소, 정밀 성분
- 구동기를 위한 일렉트리컬 드라이브와 기구
- 전기기구와 전자기구의 재사용
- 광학 커넥터와 일렉트리컬 커넥터
○ FB4 : 마이크로 시스템 테크놀로지
FB4 부서는 복잡한 미세전자시스템(MEMS) 제조와 첨단기술 분야 응용에 활동의 중심을 두고 있다. 새로운 기능이 기계공학, 유체공학, 광학, 화학, 생체시료분석 등의 분야에서 미크로시스템 테크놀로지에 의해 개발되었다.
위원회는 이러한 기술들이 과학계, 엔지니어링 분야에서 응용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위원회는 이런 기술들이 경제적으로 이용될 수 있고 일상생활에 영향을 주는 여러 분야에 이용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 위원회
- MEMS 와 나노테크놀로지의 근원적인 중요성에 관한 문제
- 미세광학
- 센서
- 마이크로 엑츄에이터 (미세 구동기)
- 리소그라픽 마스크
- 기능적 표면 (Functional Surfaces)
- 마이크로-나노 인터그레이션
- 소재와 제조 공정
○ FB5 : 조립, 포장과 인쇄기판 회로 테크놀로지
FB5 부서는 디자인, 마이크로 일렉트로닉 시스템과 마이크로시스템에 중심을 두고 있다. FB5는 반도체 칩 표면의 포장에서부터 새로운 인쇄기판회로 조립까지 여러 가지 수준의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인쇄기판 회로, 전자회로기판, 조립, 인터커넥션, 가전기술 분야에서 가장 최근에 개발된 방법 응용은 여러 가지 면에서 서로 상승작용을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위원회는 마이크로 시스템과 조립 시뮬레이션과 테스팅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 위원회
- 고밀도 포장 디자인
- 인쇄기판 회로 제조
- PCBs의 장착
- 전자 산업의 테스팅 기술
- 설치와 연결
○ FB6 : 일렉트로닉 디자인 오토메이션(전자 디자인 자동화)
FB6는 GI, ITG, GMM과 같은 단체와의 협력을 통해 마이크로일렉트로닉 서킷과 시스템의 전자디자인 자동화 같은 주요한 분야의 전문성을 극대화 하고 있다. 디지털 서킷과 아나로그 서킷을 위한 시스템 설계에서부터 시방서 제작, 모형 제작, 유용성 입증, 테스팅까지 디자인 전 과정에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 위원회
- 방법론
- 아나로그 서킷 디자인
- 디자인 언어, 모델 제작, 검증
- 테스트 방법, 신뢰성
- 도안
○ FB7 : 전자환경 적합성(EMC)
△ 활동
- 전자환경 적합성 전 분야의 기술적·과학적 활동의 협조
- 전자기장 방사 및 면역분야의 지식 교육 진흥
- 1996년 1월부터 전자환경 적합성이 법에 의해 요구되는 사항이 되었으며 전자환경 적합성에 관한 과학, 기술 경제적인 주제와 더불어 법률적 질문에 대한 토론을 진행한다. 위원회는 컨퍼런스, 워크숍, 세미나를 전문가들의 위해 개최하고 있다.
△ 위원회
- 전자환경 적합성 기계 장치, 설치와 시스템
- 정전기 방전(ESD)
위원회의 목표는 회원 간 광범위한 경험의 교류다.
독일의 R&D 지원과 평가를 진두지휘하는 기관은 'VDI/VDE-IT'이다. 이곳의 R&D지원에서 가장 큰 중점을 두는 것은 '혁신가치'이며 이외에 비용절감, 경제효과, 고용효과 등을 염두에 두고 장기적인 지원을 하고 있다.
VDI/VDE-IT는 1978년 독일 중앙정부(BMFT)의 연구개발 프로그램 중 정밀기계, 정보통신 분야 기술개발에 대한 R&D관리를 수행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VDI가 모태이며 1986년 VDE와 합병했다. VDI/VDE-IT에는 110명의 각계 전문가들이 근무하고 있으며 부서는 기술, 사업개발, 사회경제 이슈, 유럽 혁신, 지원프로젝트 관리 분야 등이 있다.
○ MST와 InnoNet 프로그램 운영
VDI/VDE-IT에서 운영하는 지원 프로그램은 MST(Micro System Technology)프로그램과 InnoNet프로그램으로 나뉜다. MST프로그램은 기업, 국공립연구소 등을 대상으로 연구개발비를 지원하며 주로 기계, 전자, 정보통신분야에 지원한다.
이 프로그램은 반드시 중소기업과 연구기관이 동시에 참여해야 하며 주로 중대형 장기과제다. InnoNet프로그램은 산학협력 증진, 기업의 연구역량 확대, 연구소의 보유기술 이전 등을 주 내용으로 하고 있으며 지원 분야는 제한이 없다. 컨소시엄 형태의 연구를 지향해 반드시 2개의 연구소와 4개의 기업이 공동으로 참여해야 한다. 최대 3년의 단기 소형 과제 위주다.
○ 크로스 체킹 방식의 평가관리
평가관리는 박사학위 취득자 가운데 5년 이상 산업계에 근무한 전문가들로 내부 평가요원을 구성해서 추진한다. 평가 시에는 내부평가요원과 외부평가요원이 크로스 체킹하는 시스템으로 운영된다.
기술적인 목적 달성도, 기술개발경과의 상업화, 비용집행의 적정성 등을 평가지표로 삼고 있다. VDI/VDE-IT는 독일의 실용주의를 대변하는 기관으로 연구개발 역시 상용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VDI/VDE-IT를 방문하여 R&D 지원과 평가에 대한 브리핑을 추진하였다.
○ 독일의 R&D 지원 방법
기술 왕국 독일의 R&D 지원은 다각적이고 체계적이다. 기술개발과제 선정에서부터 지원, 평가가 '에스컬레이터식'으로 단계적으로 이루어진다. 규모면에서도 유럽은 물론 세계에서도 손꼽을 만하다.
올해 독일의 중앙정부 예산은 전년 대비 0.38%(10억 유로)증가한 2,583억 유로이다. 이 가운데 중앙정부의 과학예산은 110억7,600만 유로다. 전년 대비 2.28% 증액된 수치로 전체 예산 대비 4.29%에 해당한다.
과학예산은 R&D 예산과 기타 예산을 포함한다. R&D예산은 전년 대비 2.0% 증액된 89억5,930만 유로이며 중앙정부 전체 예산 대비 3.47%에 달한다. 기타 예산은 학술지도, 교육, 과학기술활동에 대한 지출 예산을 말한다.
독일 R&D 예산의 특징은 연구개발 주무부처인 교육연구부의 R&D 예산이 크게 증가했다는 점이다. 과학예산의 증가는 대부분 R&D 예산의 증가로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반면 식품, 농업 및 산림부의 예산이 크게 감소했다. 독일이 강점을 갖고 있는 기술에 집중하는 한편 농업 등 노동집약적인 산업의 예산을 줄여나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 IT, BT에 중점 지원
독일이 중점을 두고 지원하는 R&D 분야는 기초연구를 위한 대규모 장비(전년 대비 3.33% 증액), 정보기술(1.54%), 바이오기술(3.68%), 재료기술(3.29%), 항공연구와 극초음파기술(5.14%) 등이다. 이들 예산은 기초연구를 위한 대규모 장비부문을 제외하고 대부분 순수 연구예산이다.
VDI/VDE-IT의 주요 업무 중 하나는 EU 협력이다. VDI/VDE-IT가 EU 협력의 중추세력으로 삼고 있는 것은 TAFTIE(Through the Association for Technology Implimentation Europe)이다.
TAFTIE는 EU 16개국 17개 기관이 연합해 만든 R&D 기구로 공동의 연구를 통해 유럽의 기술발전을 이끌자는 취지에서 만들어졌다. 이 기구의 출범으로 유럽은 단일통화 뿐만 아니라 기술개발에서도 하나의 권역을 이루었다고 평가하고 있다.
○ 연 1회 기술과제 선정
VDI/VDE-IT는 연 1회 기술과제를 선정한다. 접수 후 자금지원 시까지 약 6∼9개월 소요된다. 과제 평가기준은 프로그램 목적 적합성, 중소기업의 참여도, 연구결과의 실용화 가능성, 시장 기대효과 등을 고려한다. 평가 또한 우리나라와는 사뭇 다르다.
내부 평가인력이 과제별로 2인 1조로 1차 사전 검토 후 평가위원회에 심의를 의뢰한다. 사전 검토시 부정을 막기 위해 인터뷰 및 일체의 방문접촉을 금지한다. 사전검토에서는 약 2.5배수의 접수과제를 선정 후 1차 평가위원회에 상정한다.
내부 평가요원은 박사학위 후 산업계 5년 이상 근무한 전문가로 1인당 연평균 5∼6개의 과제를 관리한다. 평가위원회는 내부 전문가 평가와 외부 전문가 평가 등 이중구조로 되어 있다.
중간 및 최종 평가관리는 과제별로 수시 점검하고 집행금액은 후불 정산한다. 1차년도 완료 후 내부평가인력을 대상으로 세미나를 개최하고 2차년도 공개 세미나를 실시한다. 경우에 따라 외부기관을 통해 기술개발 결과에 대한 만족도를 설문조사한다.
독일의 R&D는 중소기업을 우대하고 기업과 연구소의 공동연구가 전제돼야 한다. 정부는 R&D예산을 배정하고 시행은 VDI/VDE-IT와 같은 기술평가기관에서 담당하되 지원 여부는 정부가 최종 확정한다. 선정에서 평가에 이르기까지 최고의 전문가들이 평가에 참여해 성공률을 최대한 높이는 데 역점을 두고 있다.
□ GMM-VDE 자료
기관방문은 아쉽게도 무산되었지만 연수단이 출국한 뒤 이메일을 통해 VDE의 평가관리시스템에 관한 자료를 받아 볼 수 있었다. 번역한 자료를 요약했다.
□ GMM–VDE/VDI - Gesellschaft, Mikroelektronik, mikro-und feinwerktechnik
○ GMM - 소명
마이크로 일렉트로닉, 마이크로 시스템, 나노 기술과 정밀 엔지니어링은 독일 산업의 생산성 혁신의 원동력이다. GMM은 이런 분야에 집중하여, 기술분야, 엔지니어링 분야, 과학계를 통합하는 네트워크를 설립하는 것을 소명으로 하고 있다.
○ GMM – 개괄
• VDI와 VDE를 포함한 총 회원수 : 8,100명
• 50개의 위원회
• 2개의 젊은 과학자와 개발엔지니어를 대상으로 한 권위 있는 상(賞)
• 메카트로닉스에 대한 회원지 발간
○ GMM - 목표
• 기술적 토론의 장 제공
• 워크숍과 컨퍼런스 주최
• 전략 연구 보고서 작성
• 정치적인 영향력 행사
• 네트워킹
• 젊은 엔지니어 지원
• 기술적 가이드라인 제공
○ GMM - 주요 컨퍼런스
• EMLC – 전 유럽 마스크와 리토그라피 컨퍼런스
(주: 반도체 생산공정 관련)
• 이크로 시스템 기술 회의
• EBL 컨퍼런스 (Elektronische Baugruppen und Leiterplatten)
• EMV in der Kraftfahrzeugtechnik 컨퍼런스
VDE 8,100 GMM -Member VDI | VDE 8,100명의 GMM-회원 VDI |
Advisory Board | 자문위원회 |
Board | 이사회 |
Business Management | 경영진 |
Council of Elders | 연장자 |
Regional Committees | 지역 위원회 |
Professors Committee | 교수 위원회 |
7 Departments (FB) with 50 Technical Committees | 7개부서 (FB)와 50개의기술위원회 |
[GMM – 조직표]
○ FB1 : 마이크로 일렉트로닉스 테크놀로지, 나노 일렉트로닉스 테크놀로지
FB1부의 주요 관심사는 마이크로 일렉트로닉스 테크놀로지와 나노 일렉트로닉스 테크놀로지 분야로서, 생산 장비 제조분야부터 소재, 상품 전체 제조 과정까지를 포함하고 있다. 주요 의제는 생산 장비 제조, 상품 제조, 프로세스 모듈, 그리고 디바이스 모델링, 시뮬레이션을 포함하는 양극공정(바이폴라)과 CMOS 등의 공정이다.
위원회는 각 분야의 개별 기업과 응용 분양의 대표자들로 구성된 회원 간 광범위한 경험의 교환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 위원회
- 생산과 장비 제조 : 장비와 소재, 자동화, 수율(收率) 개선, 테스트 장비와 테스트 방법, 생산
- 공정 : 리토그라피, 이온 주입, 스푸터링과 식각, 금속 열 확산 장치, 화학 기계적 연마공정, 공정 제어
- 전단부 처리 과정 : 베이시스, CMOS, Bipolar/GeSi-반도체, III/V 반도체, 시뮬레이션
○ FB2 : 고밀도 집적회로 응용, 나노 전자공학 응용
FB2 부서의 활동의 주요 초점은 광학을 포함한 아날로그와 디지털 서킷과 시스템 개발에 있다. 이 개발에 따라 복잡도(Complexity Metric)를 증진시킬 수 있는 새로운 응용 기법이 가능하게 된다.
최근 부각되고 있는 이 분야의 활동은 늘어나고 있는 기술 응용 분야와 생산 분야에서 고밀도 집적회로와 나노 일렉트로닉스의 주요 영향력을 반증하고 있다.
FB2 부서가 기획하는 것은 기술과 전략 연구보고서를 출판이다. 또한 보고서에는 워크숍과 컨퍼런스 조직과 로드맵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다. 모든 활동은 ITG의 연관 부서와 긴밀한 협조 아래 이루어지고 있다.
△ 계획된 FB2 기술팀:
- 자동차 생산 부분의 서킷과 시스템 응용
- 정보통신 분야의 서킷과 시스템 응용
○ FB3 : 정밀 엔지니어링과 메카트로닉스
FB3 부서의 주요 활동은 마이크로시스템과 정밀엔지니어링 상품의 개발, 디자인, 엔지니어링, 생산과 조립이다.
기술적 장치들은 기능과 특성, 부품에 의해 고려된다. 메카트로닉스와 정밀 엔지니어링은 여러 가지로 응용이 가능한 기술이며, 마이크로 테크놀로지와 나노 테크놀로지 등 여러 가지 신기술 발달에 그 근간을 두고 있다.
△ 위원회
- 극소, 정밀 성분
- 구동기를 위한 일렉트리컬 드라이브와 기구
- 전기기구와 전자기구의 재사용
- 광학 커넥터와 일렉트리컬 커넥터
○ FB4 : 마이크로 시스템 테크놀로지
FB4 부서는 복잡한 미세전자시스템(MEMS) 제조와 첨단기술 분야 응용에 활동의 중심을 두고 있다. 새로운 기능이 기계공학, 유체공학, 광학, 화학, 생체시료분석 등의 분야에서 미크로시스템 테크놀로지에 의해 개발되었다.
위원회는 이러한 기술들이 과학계, 엔지니어링 분야에서 응용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위원회는 이런 기술들이 경제적으로 이용될 수 있고 일상생활에 영향을 주는 여러 분야에 이용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 위원회
- MEMS 와 나노테크놀로지의 근원적인 중요성에 관한 문제
- 미세광학
- 센서
- 마이크로 엑츄에이터 (미세 구동기)
- 리소그라픽 마스크
- 기능적 표면 (Functional Surfaces)
- 마이크로-나노 인터그레이션
- 소재와 제조 공정
○ FB5 : 조립, 포장과 인쇄기판 회로 테크놀로지
FB5 부서는 디자인, 마이크로 일렉트로닉 시스템과 마이크로시스템에 중심을 두고 있다. FB5는 반도체 칩 표면의 포장에서부터 새로운 인쇄기판회로 조립까지 여러 가지 수준의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인쇄기판 회로, 전자회로기판, 조립, 인터커넥션, 가전기술 분야에서 가장 최근에 개발된 방법 응용은 여러 가지 면에서 서로 상승작용을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위원회는 마이크로 시스템과 조립 시뮬레이션과 테스팅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 위원회
- 고밀도 포장 디자인
- 인쇄기판 회로 제조
- PCBs의 장착
- 전자 산업의 테스팅 기술
- 설치와 연결
○ FB6 : 일렉트로닉 디자인 오토메이션(전자 디자인 자동화)
FB6는 GI, ITG, GMM과 같은 단체와의 협력을 통해 마이크로일렉트로닉 서킷과 시스템의 전자디자인 자동화 같은 주요한 분야의 전문성을 극대화 하고 있다. 디지털 서킷과 아나로그 서킷을 위한 시스템 설계에서부터 시방서 제작, 모형 제작, 유용성 입증, 테스팅까지 디자인 전 과정에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 위원회
- 방법론
- 아나로그 서킷 디자인
- 디자인 언어, 모델 제작, 검증
- 테스트 방법, 신뢰성
- 도안
○ FB7 : 전자환경 적합성(EMC)
△ 활동
- 전자환경 적합성 전 분야의 기술적·과학적 활동의 협조
- 전자기장 방사 및 면역분야의 지식 교육 진흥
- 1996년 1월부터 전자환경 적합성이 법에 의해 요구되는 사항이 되었으며 전자환경 적합성에 관한 과학, 기술 경제적인 주제와 더불어 법률적 질문에 대한 토론을 진행한다. 위원회는 컨퍼런스, 워크숍, 세미나를 전문가들의 위해 개최하고 있다.
△ 위원회
- 전자환경 적합성 기계 장치, 설치와 시스템
- 정전기 방전(ESD)
위원회의 목표는 회원 간 광범위한 경험의 교류다.
저작권자 © 파랑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